"각색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Node Descrip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2022 3D모델링-음식]]}} | ||
+ | |||
==Definition== | ==Definition== | ||
각색병은 고임상의 음식 중 가장 높게 고이는 궁중연회에서 중요한 음식이다. 편편한 시루떡을 밑에 깔고 그 위에 여러 가지 색을 들여 작게 모양 낸 절편, 조악, 단자 등 웃기떡을 위에 올려 다양한 종류의 떡을 한 그릇에 담아 고인다. 궁중연회에서 왕과 왕족에게 많은 가짓수의 음식을 높이 고인 고임상을 올린다. 고임은 음식에 따라 높이가 다른데, 이 중 가장 높이 고이는 음식은 떡이다. 궁중에서는 고임떡을 여러 가지의 떡이라는 의미로 ‘각색병(各色餠)’이라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떡을 한 그릇에 고여 연회상에 차린 것이다. 헌종무신진찬의궤에 따르면 각색병 1 그릇은 1척 5촌으로 고였다. | 각색병은 고임상의 음식 중 가장 높게 고이는 궁중연회에서 중요한 음식이다. 편편한 시루떡을 밑에 깔고 그 위에 여러 가지 색을 들여 작게 모양 낸 절편, 조악, 단자 등 웃기떡을 위에 올려 다양한 종류의 떡을 한 그릇에 담아 고인다. 궁중연회에서 왕과 왕족에게 많은 가짓수의 음식을 높이 고인 고임상을 올린다. 고임은 음식에 따라 높이가 다른데, 이 중 가장 높이 고이는 음식은 떡이다. 궁중에서는 고임떡을 여러 가지의 떡이라는 의미로 ‘각색병(各色餠)’이라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떡을 한 그릇에 고여 연회상에 차린 것이다. 헌종무신진찬의궤에 따르면 각색병 1 그릇은 1척 5촌으로 고였다. | ||
6번째 줄: | 8번째 줄: | ||
===Node Description=== | ===Node Description===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 |
|- | |- | ||
− | | 각색병 || Food || 음식 || || 각색병(各色餠) || 각색병 || 各色餠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각색병 || | + | | 각색병 || Food || 음식 || || 각색병(各色餠) || 각색병 || 各色餠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각색병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wiki/images/d/de/각색병_사진.jpg" width="100"/></html>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 | {|class="wikitable | + | {| class="wikitable" |
− | ! source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통명전_정일진찬-대왕대비전-진어찬안 || [[각색병 ]] || [[hasPart]] || 1척5촌 |
|- | |- | ||
− | | | + | | 통명전_정일진찬-내진헌찬안 || [[각색병]] || [[hasPart]] || 1척3촌 |
|- | |- | ||
− | | | + | | 통명전_정일진찬-대전·중궁전-진어찬안 || [[각색병 ]] || [[hasPart]] || 8촌 |
|- | |- | ||
− | | | + | | 통명전_정일진찬-순화궁-진찬안 || [[각색병 ]] || [[hasPart]] || 8촌 |
|- | |- | ||
− | | [[ | + | | [[각색병]] || [[3D-각색병]] || [[isShownBy]] || |
+ | |- | ||
+ | | [[3D-각색병]] || [[각색병]] || [[hasReferenceNote]] || | ||
|} | |} | ||
− | |||
* [[Ontology:Relation 2021]] | * [[Ontology:Relation 2021]] | ||
41번째 줄: | 43번째 줄: | ||
炒豆粘甑餠 : 粘米 二斗, 去皮豆 一斗二升, 大棗·實生栗 各 二升, 淸 八升. | 炒豆粘甑餠 : 粘米 二斗, 去皮豆 一斗二升, 大棗·實生栗 各 二升, 淸 八升. | ||
白雪只: 白米 二斗五升, 粘米 五升, 石耳 三升, 甘苔 三張, 實栢子 五合</br> | 白雪只: 白米 二斗五升, 粘米 五升, 石耳 三升, 甘苔 三張, 實栢子 五合</br> | ||
− | 통명전 정일진찬_대왕대비전 진어찬안 | + | 통명전 정일진찬_대왕대비전 진어찬안</br> |
각색병 1 그릇은 1척 5촌으로 고였다. 들어가는 떡의 재료는 | 각색병 1 그릇은 1척 5촌으로 고였다. 들어가는 떡의 재료는 | ||
백두경증병 : 백미 6두, 점미 1두3승, 거피두 4두4승, 대조·실생률 각 1두5승. | 백두경증병 : 백미 6두, 점미 1두3승, 거피두 4두4승, 대조·실생률 각 1두5승. | ||
48번째 줄: | 50번째 줄: | ||
석이밀설기 : 백미 1두5승, 점미 5승, 대조·실생률 각 3승, 석이말 4승, 신감초말 2승, 청 5승, 실백자 5합. | 석이밀설기 : 백미 1두5승, 점미 5승, 대조·실생률 각 3승, 석이말 4승, 신감초말 2승, 청 5승, 실백자 5합. | ||
초두점증병 : 점미 2두, 거피두 1두2승, 대조·실생률 각 2승, 청 8승. | 초두점증병 : 점미 2두, 거피두 1두2승, 대조·실생률 각 2승, 청 8승. | ||
− | 백설기: 백미 2두5승, 점미 5승, 석이 3승, 감태 3장, 실백자 5합이다. || | + | 백설기: 백미 2두5승, 점미 5승, 석이 3승, 감태 3장, 실백자 5합이다. |
+ | || <html><img width="200" src="http://dh.aks.ac.kr/hanyang2/wiki/images/7/70/각색병_문헌.png"/></html> | ||
|- | |- | ||
| 한국학디지털아카이브 || [[3D-각색병]] || [[references]] || 은접시 銀接匙(影幀摹寫都監儀軌) 접시는 반찬이나 과일 등을 담는 그릇이다. 얇고 납작하며 비교적 편편한 모양의 것이 일반적인데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다. 은접시는 은으로 만든 접시이다 http://yoksa.aks.ac.kr/jsp/ee/List.jsp?gb=3&cd=003030&ee93no= || | | 한국학디지털아카이브 || [[3D-각색병]] || [[references]] || 은접시 銀接匙(影幀摹寫都監儀軌) 접시는 반찬이나 과일 등을 담는 그릇이다. 얇고 납작하며 비교적 편편한 모양의 것이 일반적인데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다. 은접시는 은으로 만든 접시이다 http://yoksa.aks.ac.kr/jsp/ee/List.jsp?gb=3&cd=003030&ee93no= || | ||
57번째 줄: | 60번째 줄: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원문 || | + | | 원문 || 디지털장서각 || (무신)진찬의궤 3책-찬품 || 연회명, 상차림명, 음식 구성, 재료 분량 상세히 기록함. ||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2874%7C003&itemCode=TXT_ARC_AA#node?depth=2&upPath=001&dataId=001 |
|- | |- | ||
− | | 원문 || | + | | 원문, 해설 || 디지털장서각 || (무신)진찬의궤 || ||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
|- | |- | ||
− | | 원문 || | + | | 원문 || 국립중앙박물관>소장품검색>무신년의 궁중 잔치 ||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 통명전 야진찬도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693 |
|- | |- | ||
− | | 해설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진찬의궤(進饌儀軌)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937 |
|- | |- | ||
− | | | +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헌종무신진찬의궤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헌종무신진찬의궤 |
|- | |- | ||
− | | | +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무신진찬도병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무신진찬도병 |
+ | |- | ||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역사백과>역사기록물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만경전 잔치의 찬품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869&docId=5678717&categoryId=62869 | ||
|} | |} | ||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
− | |||
− | * type: 해설, 참고, | ||
==Bibliography== | ==Bibliography== | ||
79번째 줄: | 82번째 줄: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 | ||
− | | 단행본 || | + | | ISBN:8956383286 93670 || 단행본 || 전통예술원 편,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1-3, 서울:민속원, 2004, 2005. || RISS || http://www.riss.kr/link?id=M10415588 |
|- | |- | ||
− | | 단행본 || | + | | ISBN:9788985764940 || 단행본 || 이효지, 한복려, 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NAVER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62869&categoryId=62869 |
|- | |- | ||
− | | 단행본 || | + | | ISBN:8970943366 || 단행본 || 황혜성 외, 『한국음식문화대관 6권』,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 RISS || http://www.riss.kr/link?id=M9030570 |
|- | |- | ||
− | | 단행본 || 정길자 외, 『궁중의 떡과 과자』 , 소풍, 2012. || | + | | ISBN:9788996416890 || 단행본 || 정길자 외, 『궁중의 떡과 과자』 , 소풍,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105437 |
|- | |- | ||
− | | | + | | ISBN:9788985719124 || 단행본 || 한복려 외, 『(정조의 효심이 담긴 원행상차림)수라일기』, 1,2권, 궁중음식연구원, 2018. || RISS || http://www.riss.kr/link?id=M16495249 |
− | |||
− | | 단행본 || 한복려 외, 『(정조의 효심이 담긴 원행상차림)수라일기』, 1,2권, 궁중음식연구원, 201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d: [[인용전거]] | ||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
==Notes== | ==Notes== | ||
115번째 줄: | 108번째 줄: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Food]] [[분류:Food-음식]] [[분류:2022:이소영]]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Food]] [[분류:Food-음식]] [[분류:2022:이소영]] | ||
− | |||
− |
2022년 11월 24일 (목) 16:27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각색병은 고임상의 음식 중 가장 높게 고이는 궁중연회에서 중요한 음식이다. 편편한 시루떡을 밑에 깔고 그 위에 여러 가지 색을 들여 작게 모양 낸 절편, 조악, 단자 등 웃기떡을 위에 올려 다양한 종류의 떡을 한 그릇에 담아 고인다. 궁중연회에서 왕과 왕족에게 많은 가짓수의 음식을 높이 고인 고임상을 올린다. 고임은 음식에 따라 높이가 다른데, 이 중 가장 높이 고이는 음식은 떡이다. 궁중에서는 고임떡을 여러 가지의 떡이라는 의미로 ‘각색병(各色餠)’이라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떡을 한 그릇에 고여 연회상에 차린 것이다. 헌종무신진찬의궤에 따르면 각색병 1 그릇은 1척 5촌으로 고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 |
---|---|---|---|---|---|---|---|---|---|
각색병 | Food | 음식 | 각색병(各色餠) | 각색병 | 各色餠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각색병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통명전_정일진찬-대왕대비전-진어찬안 | 각색병 | hasPart | 1척5촌 |
통명전_정일진찬-내진헌찬안 | 각색병 | hasPart | 1척3촌 |
통명전_정일진찬-대전·중궁전-진어찬안 | 각색병 | hasPart | 8촌 |
통명전_정일진찬-순화궁-진찬안 | 각색병 | hasPart | 8촌 |
각색병 | 3D-각색병 | isShownBy | |
3D-각색병 | 각색병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무신진찬의궤:1848 | 3D-각색병 | references | 各色餠 一器 [一尺高五寸]
白豆粳甑餠 : 白米 六斗, 粘米 一斗三升, 去皮豆 四斗四升, 大棗·實生栗 各 一斗五升.
菉豆粳甑餠 : 白米 三斗, 粘米 六升, 菉豆 二斗二升, 大棗·實生栗 各 八升.
荏子粘甑餠 : 粘米 二斗, 實荏子 八升, 甘苔 五張, 實栢子 五合.
石耳蜜雪只 : 白米 一斗五升, 粘米 五升, 大棗·實生栗 各 三升, 石耳末 四升, 辛甘草末 二升, 淸 五升, 實栢子 五合.
炒豆粘甑餠 : 粘米 二斗, 去皮豆 一斗二升, 大棗·實生栗 各 二升, 淸 八升.
白雪只: 白米 二斗五升, 粘米 五升, 石耳 三升, 甘苔 三張, 實栢子 五合 |
|
한국학디지털아카이브 | 3D-각색병 | references | 은접시 銀接匙(影幀摹寫都監儀軌) 접시는 반찬이나 과일 등을 담는 그릇이다. 얇고 납작하며 비교적 편편한 모양의 것이 일반적인데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다. 은접시는 은으로 만든 접시이다 http://yoksa.aks.ac.kr/jsp/ee/List.jsp?gb=3&cd=003030&ee93no= | |
"병기(餠器)"(유물번호 종묘7900),『국립고궁박물관』online | 3D-각색병 | references | 병기 餠器 크기(cm)높이: 6.3cm, 최대지름: 20.3cm, 굽지름: 13cm 제사에서 떡을 올려놓는 제기이다. 진전(眞殿)이나 산릉(山陵) 제사 등 속제(俗祭)에 사용한다. 병기는 굽이 높은 접시 형태로 적기(炙器)와 같이 정사각형인 것과 원형인 것이 있다. 원형인 것은 끝부분이 살짝 위로 말려있다.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cultureSeq=00023972RT&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원문 | 디지털장서각 | (무신)진찬의궤 3책-찬품 | 연회명, 상차림명, 음식 구성, 재료 분량 상세히 기록함. |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2874%7C003&itemCode=TXT_ARC_AA#node?depth=2&upPath=001&dataId=001 |
원문, 해설 | 디지털장서각 | (무신)진찬의궤 |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 |
원문 | 국립중앙박물관>소장품검색>무신년의 궁중 잔치 |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 통명전 야진찬도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693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진찬의궤(進饌儀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937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헌종무신진찬의궤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헌종무신진찬의궤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무신진찬도병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무신진찬도병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역사백과>역사기록물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만경전 잔치의 찬품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869&docId=5678717&categoryId=62869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8956383286 93670 | 단행본 | 전통예술원 편,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1-3, 서울:민속원, 2004, 2005. | RISS | http://www.riss.kr/link?id=M10415588 |
ISBN:9788985764940 | 단행본 | 이효지, 한복려, 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NAVER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62869&categoryId=62869 |
ISBN:8970943366 | 단행본 | 황혜성 외, 『한국음식문화대관 6권』,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 RISS | http://www.riss.kr/link?id=M9030570 |
ISBN:9788996416890 | 단행본 | 정길자 외, 『궁중의 떡과 과자』 , 소풍,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105437 |
ISBN:9788985719124 | 단행본 | 한복려 외, 『(정조의 효심이 담긴 원행상차림)수라일기』, 1,2권, 궁중음식연구원, 2018. | RISS | http://www.riss.kr/link?id=M16495249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