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1-26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End
 
#End
 
-->
 
-->
='''[[S2022-R1-26 | 조선왕의 휴식처, 소요정]] 》소요정을 건립한 인조'''=
+
='''[[S2022-R1-26 | 조선 왕의 휴식처, 소요정]] 》소요정을 건립한 인조'''=
  
 
==Story==
 
==Story==
36번째 줄: 36번째 줄:
 
|-
 
|-
 
| [[E2022-R1-26A]] || [[창덕궁_소요정_건립]]  || [[isRelatedTo]] || ||  
 
| [[E2022-R1-26A]] || [[창덕궁_소요정_건립]]  || [[isRelatedTo]] || ||  
|-
 
| [[E2022-R1-26A]] || [[창덕궁_소요정]]  || [[isRelatedTo]] || ||
 
 
|-
 
|-
 
| [[E2022-R1-26A]] || [[장자]]  || [[isRelatedTo]] || ||  
 
| [[E2022-R1-26A]] || [[장자]]  || [[isRelatedTo]] || ||  
53번째 줄: 51번째 줄: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해당 스토리와 연관되어 있는 링크를 기재 (개별 노드에 관한 것이 아님)
 
  
 
==Bibliography==
 
==Bibliography==

2022년 7월 20일 (수) 19:01 기준 최신판

조선 왕의 휴식처, 소요정 》소요정을 건립한 인조

Story

조선의 16대 임금 인조(재위 1623~1649)는 1636년(인조 14) 후원 북쪽 가장 안쪽에 인근의 북악산 응봉 자락에서 발원한 계곡물을 끌어와 창덕궁_옥류천을 꾸미고, 여러 개의 정자를 지었다. 옥류천 물길을 감상할 수 있는 창덕궁_소요정 역시 같은 해에 지어졌으며, 『궁궐지』에 관련 기록이 남아있다.
이 정자의 첫 이름은 ‘탄서정(歎逝亭)’이었는데, 후에 『장자 내편』의 「소요유(逍遙遊)」에서 이름을 따와 지금과 같이 바꾸었다고 전한다. ‘소요(逍遙)’는 ‘마음 내키는 대로 슬슬 걷는다’는 의미이다.
인조는 옥류천의 물길을 만들면서 물길 가운데에 있던 큰 바위 ‘소요암’을 없애는 대신, 최소한만 가공해 곡선의 물길과 작은 폭포를 조성했다. 바위 위쪽에 U자형의 홈을 파 물길이 바위를 한 바퀴 돌게 하고, 물길이 끝나는 지점을 수직으로 깎아내 작은 폭포를 이루게 했다. 이는 곡수연에 즐기기 용이한 곡수거(曲水距)의 형태를 띤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2022-R1-26A Story Episode 소요정을 건립한 인조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1-26A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1-26A 조선_인조 isRelatedTo
E2022-R1-26A 창덕궁_소요정_건립 isRelatedTo
E2022-R1-26A 장자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