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1-26D"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 #Links E2022-R1-26D 창덕궁_소요정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조선_정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계축년_유상곡수연(1793) hasContextualElement E2...)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E2022-R1-26D 창덕궁_소요정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창덕궁_소요정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조선_정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조선_정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계축년_유상곡수연(1793) hasContextualElement
+
E2022-R1-26D 계축년_유상곡수연(1793)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내원상화계축갱재축 hasContextualElement
+
E2022-R1-26D 내원상화계축갱재축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국립고궁박물관 hasContextualElement
+
E2022-R1-26D 국립문화재연구소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규장각제학 hasContextualElement
+
E2022-R1-26D 창덕궁_옥류천_소요암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창덕궁_옥류천_소요암 hasContextualElement
+
 
E2022-R1-26D 난정계회 hasContextualElement
 
E2022-R1-26D 왕희지 hasContextualElement
 
  
 
#End
 
#End
 
-->
 
-->
='''[[S2022-R1-26 | 조선 왕의 휴식처, 소요정]] 》정조의 유상곡수연과 <내원상화갱재축>'''=
+
='''[[S2022-R1-26 | 조선 왕의 휴식처, 소요정]] 》왕희지의 고사를 본뜬 유상곡수연과 <내원상화계축갱재축>'''=
  
 
==Story==
 
==Story==
조선의 22대왕 정조(재위 1776~1800)는 왕희지의 ‘난정수계(난정의 모임)’ 고사(故事)를 본떠 24주갑(周甲·1440년) 뒤인 1793년 음력 3월 20일에 규장각의 전·현직 관원과 그 자제, 승지나 사관을 지냈던 사람 등 41명을 특별히 불러들여 창덕궁 후원 옥류천(玉流川) 지역의 소요암(逍遙巖)곡수구(曲水溝)에 술잔을 띄워 술을 마시고 시를 읊었다. 이 모임에 참여한 정조와 신하들이 직접 쓴 친필 시문 42수는 <내원상화계축갱재축>이란 이름으로 묶여졌다. <br/>
+
조선의 22대왕 정조(재위 1776~1800)는 자신의 뜻을 펼치기 위한 기구로 '규장각'을 설립하고, 봄이 되면 '각신'이라 부르던 규장각 소속 관원들과 창덕궁 후원에서 꽃을 감상하고 활쏘기나 시짓기를 하는 모임을 가졌다. <br/> 1793년 3월 20일, 정조는 계축년 계축일을 기념하면서 규장각 소속 관원과 그 자제, 승지나 사관을 지냈던 사람 등 총 40명을 창덕궁 후원으로 불러 옥류천(玉流川) 구역 소요암(逍遙巖) 곡수구(曲水溝)에서 술을 마시며 시를 읊는 자리를 마련했다. <br/>
이것은 중국 동진 시대의 서예가 왕희지(303~361)가 계축년(癸丑年)인 353년 음력 3월 3일에 ‘난정(蘭亭)’에서 당대의 이름난 문인 41명을 초대해 열었던 계회(契會)와, 그 자리에서 나눈 시를 모은 후 왕희지가 지은 <난정서(蘭亭序)>를 앞에 붙여 책을 만들었던 고사를 따른 것이다. <br/>
+
옥류천 내에 여러 정자 중 이 해에 특별히 소요암을 선택한 것은 중국 동진 시대의 서예가 왕희지(303~361)가 계축년(癸丑年)인 353년 음력 3월 3일 ‘난정(蘭亭)’에서 당대의 이름난 문인 41명을 초대해 유상곡수연을 열고, 그 자리에서 나눈 시를 모아 책을 만들었던 일을 본뜬 것이다.<br/>
<내원상화계축갱재축>은 높이 33㎝, 길이 2490㎝에 달하며, 조선후기 왕실에서 사용한 최상급 종이의 모습도 살필 수 있다. 또 정조의 친필 시를 비롯해 당대 규장각 관원 및 주요 인사들의 친필을 한꺼번에 살필 수 있는 서예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다. 현재 서울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
이 모임에 참여한 정조와 신하들이 직접 쓴 친필 시문 42수는 <내원상화계축갱재축>이란 이름으로 묶여졌다. <br/>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7번째 줄: 25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E2022-R1-26D]]  ||  Story || Episode ||  || 정조의 유상곡수연과 <내원상화갱재축>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1-26D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 [[E2022-R1-26D]]  ||  Story || Episode ||  || 왕희지의 고사를 본뜬 유상곡수연과 <내원상화계축갱재축>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1-26D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
 
|}
 
|}
38번째 줄: 36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E0-503D]] || [[조선_정조]] || [[isRelatedTo]] || ||  
+
| [[E2022-R1-26D]] || [[조선_정조]] || [[isRelatedTo]] || ||  
 
|-
 
|-
| [[E0-503D]] || [[창덕궁_소요정]]  || [[isRelatedTo]] || ||  
+
| [[E2022-R1-26D]] || [[창덕궁_소요정]]  || [[isRelatedTo]] || ||  
 
|-
 
|-
| [[E0-503D]] || [[내원상화계축갱재축]]  || [[isRelatedTo]] || ||  
+
| [[E2022-R1-26D]] || [[내원상화계축갱재축]]  || [[isRelatedTo]] || ||  
 
|-
 
|-
| [[E0-503D]] || [[계축년_유상곡수연(1793)]]  || [[isRelatedTo]] || ||  
+
| [[E2022-R1-26D]] || [[계축년_유상곡수연(1793)]]  || [[isRelatedTo]] || ||  
 
|}
 
|}
  
54번째 줄: 52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참고 || 문화일보 || 정조와 신하들이 나눈 ‘계시’ 첫 공개 (2009-06-15, 최영창 기자)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9061501032330071002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
  
 
==Bibliography==
 
==Bibliography==

2022년 7월 20일 (수) 14:40 기준 최신판

조선 왕의 휴식처, 소요정 》왕희지의 고사를 본뜬 유상곡수연과 <내원상화계축갱재축>

Story

조선의 22대왕 정조(재위 1776~1800)는 자신의 뜻을 펼치기 위한 기구로 '규장각'을 설립하고, 봄이 되면 '각신'이라 부르던 규장각 소속 관원들과 창덕궁 후원에서 꽃을 감상하고 활쏘기나 시짓기를 하는 모임을 가졌다.
1793년 3월 20일, 정조는 계축년 계축일을 기념하면서 규장각 소속 관원과 그 자제, 승지나 사관을 지냈던 사람 등 총 40명을 창덕궁 후원으로 불러 옥류천(玉流川) 구역 소요암(逍遙巖) 곡수구(曲水溝)에서 술을 마시며 시를 읊는 자리를 마련했다.
옥류천 내에 여러 정자 중 이 해에 특별히 소요암을 선택한 것은 중국 동진 시대의 서예가 왕희지(303~361)가 계축년(癸丑年)인 353년 음력 3월 3일 ‘난정(蘭亭)’에서 당대의 이름난 문인 41명을 초대해 유상곡수연을 열고, 그 자리에서 나눈 시를 모아 책을 만들었던 일을 본뜬 것이다.
이 모임에 참여한 정조와 신하들이 직접 쓴 친필 시문 42수는 <내원상화계축갱재축>이란 이름으로 묶여졌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2022-R1-26D Story Episode 왕희지의 고사를 본뜬 유상곡수연과 <내원상화계축갱재축>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1-26D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1-26D 조선_정조 isRelatedTo
E2022-R1-26D 창덕궁_소요정 isRelatedTo
E2022-R1-26D 내원상화계축갱재축 isRelatedTo
E2022-R1-26D 계축년_유상곡수연(1793)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