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503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tory Network Graph)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E0-503B 민영익 hasContextualElement | E0-503B 민영익 hasContextualElement | ||
E0-503B 명성황후 hasContextualElement | E0-503B 명성황후 hasContextualElement | ||
− | |||
E0-503B 제임스_모스 hasContextualElement | E0-503B 제임스_모스 hasContextualElement | ||
+ | E0-503B 운산금광과_테일러_부자 hasLabel | ||
#End | #End | ||
--> | -->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E0-503B]] || Story || | + | | [[E0-503B]] || Story || Episode || || 운산금광과 테일러 부자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0503B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 | |- | ||
|} | |} | ||
72번째 줄: | 72번째 줄: | ||
==Story Network Graph== | ==Story Network Graph== | ||
− | + | {{StoryGraph | key=E0-503B}} | |
− | |||
− | |||
− | |||
−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김현]] | + | 19세기 말, 조선 땅에는 금의 꿈을 안고 먼 타국에서 온 이들이 있었다. 그 중심에 선 인물은 조지 테일러와 그의 두 아들, 앨버트 테일러와 윌리엄 테일러였다. 이들의 이야기는 평안북도 운산군에 위치한 운산금광에서 시작된다. |
+ | |||
+ | 1896년, 미국인 사업가 제임스 모스는 운산금광의 채굴권을 획득하며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어 1897년, 또 다른 미국인인 헌트와 파세트가 채굴권을 인수해 조선개광회사를 설립, 조선의 근대화에 불을 지폈다. 이 무렵, 조지 테일러가 광산 기술자로 조선에 발을 디뎠고, 그의 두 아들도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 한국에서의 삶을 선택했다. | ||
+ | |||
+ | 앨버트 테일러는 운산금광과 직산금광의 감독관으로, 한국 광산 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 동생 윌리엄과 함께 설립한 테일러 상회는 무역업에 종사하며 한국과 외국 간의 경제적 다리 역할을 했다. 이들의 삶은 단순한 사업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한국의 근대화와 세계화에 기여했다. | ||
+ | |||
+ | 이 가족의 이야기에는 명성황후와 민영익도 등장한다. 명성황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로, 민영익과는 혈연 관계였다. 민영익은 갑신정변 때 부상을 치료받으며 호레이스 뉴턴 알렌과 깊은 관계를 맺었고, 이는 운산금광 채굴권 교섭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
+ | |||
+ | 호레이스 뉴턴 알렌은 미국의 조선 주재 외교관이자 선교사로, 조선과 미국 간의 교류에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제임스 모스와도 깊은 인연을 맺으며 조선의 근대화에 기여한 바 있다. | ||
+ | |||
+ | 이들의 이야기는 단순히 금을 캐내는 사업가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는 조선의 근대화, 한국과 외국 간의 교류, 그리고 개인의 운명이 역사와 얽히며 만들어낸 깊고 풍부한 드라마다. 운산금광과 테일러 부자의 이야기는 한국 근현대사의 한 장을 장식하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2022:김현]] |
2024년 3월 30일 (토) 07:13 기준 최신판
목차
딜쿠샤와 테일러 가족 이야기 》 운산금광과 테일러 부자
Story
테일러 가문의 한국과의 인연은 평안북도 운산에서 일어난 세계적인 규모의 금광 개발 사업에 기인한다. 명성황후의 조카 민영익을 구한 공으로 조선왕실의 신임을 얻고 있었던 미국인 의사 알렌은 운산금광의 미국인 사업가 제임스 모스를 끌어들여 운산금광의 채굴권을 획득하게 하였다. 모스는 1895년에 조선개광회사(Korean Mining and Development Co.)를 설립하고 1896년에 조지 테일러를 광산기술자로 초빙하였다. 1897년 다른 미국인 사업가 헌트(Leigh S. J. Hunt)와 파세트(J. Sloat Fasset)가 모스로부터 운산금광에 관한 권리를 인수하여 동양합동광업개발주식회사(Oriental Consolidated Mining Company)를 설립하고 광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였다. 그러자 운산금광의 기술책임자였던 조지 테일러는 첨단 광업 장비인 쇄광기를 도입하기로 하고 미국에 있던 아들로 하여금 그 장비를 운송해 오도록 하였다. 1897년 앨버트는 샌프란시스코에서 구입한 쇄광기를 운송 가능한 부품으로 해체한 후 이것들을 인천을 거쳐 운산으로 운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4살이었던 동생 윌리엄도 이 때 형과 동행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E0-503B | Story | Episode | 운산금광과 테일러 부자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0503B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0-503B | 조지_테일러 | isRelatedTo | ||
E0-503B | 앨버트_테일러 | isRelatedTo | ||
E0-503B | 운산금광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
19세기 말, 조선 땅에는 금의 꿈을 안고 먼 타국에서 온 이들이 있었다. 그 중심에 선 인물은 조지 테일러와 그의 두 아들, 앨버트 테일러와 윌리엄 테일러였다. 이들의 이야기는 평안북도 운산군에 위치한 운산금광에서 시작된다.
1896년, 미국인 사업가 제임스 모스는 운산금광의 채굴권을 획득하며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어 1897년, 또 다른 미국인인 헌트와 파세트가 채굴권을 인수해 조선개광회사를 설립, 조선의 근대화에 불을 지폈다. 이 무렵, 조지 테일러가 광산 기술자로 조선에 발을 디뎠고, 그의 두 아들도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 한국에서의 삶을 선택했다.
앨버트 테일러는 운산금광과 직산금광의 감독관으로, 한국 광산 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 동생 윌리엄과 함께 설립한 테일러 상회는 무역업에 종사하며 한국과 외국 간의 경제적 다리 역할을 했다. 이들의 삶은 단순한 사업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한국의 근대화와 세계화에 기여했다.
이 가족의 이야기에는 명성황후와 민영익도 등장한다. 명성황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로, 민영익과는 혈연 관계였다. 민영익은 갑신정변 때 부상을 치료받으며 호레이스 뉴턴 알렌과 깊은 관계를 맺었고, 이는 운산금광 채굴권 교섭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호레이스 뉴턴 알렌은 미국의 조선 주재 외교관이자 선교사로, 조선과 미국 간의 교류에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제임스 모스와도 깊은 인연을 맺으며 조선의 근대화에 기여한 바 있다.
이들의 이야기는 단순히 금을 캐내는 사업가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는 조선의 근대화, 한국과 외국 간의 교류, 그리고 개인의 운명이 역사와 얽히며 만들어낸 깊고 풍부한 드라마다. 운산금광과 테일러 부자의 이야기는 한국 근현대사의 한 장을 장식하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