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왕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군신과 충의, 부의 신으로 비유되는 촉한의 장수 관우를 제사하는 사당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무안왕(武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군신과 충의, 부의 신으로 비유되는 촉한의 장수 관우를 제사하는 사당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무안왕(武安王)’으로 추봉된 관우를 모시는 사당을 건립하면서 ‘관왕묘(關王廟)또는 ‘무안왕묘’ 줄여서 ‘관묘’라고 하였다. 1902년 이후에는 ‘관제묘(關帝廟)’라고 불렀으나, 1908년 관제묘가 곧바로 폐지되면서 이 명칭은 오래가지 않았다.
+
군신과 충의, 부의 신으로 비유되는 촉한의 장수 관우를 제사지내는 사당이다. ‘관왕묘(關王廟)', '관성묘(關聖廟)' 또는 '무안왕묘((武安王廟)'로 불렸으며 줄여서 '관묘'라고 하였다. 1902년 이후에는 '관제묘(關帝廟)'라고 불렀으나, 1908년 관제묘가 폐지되면서 이 명칭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초기에 주로 유교적 사당의 의미로 참배되었다가, 숙종(肅宗)과 영⋅정조(英⋅正祖) 및 고종(高宗) 등 역대 국왕들이 직접  참배하면서 점차 의례화 되었고, 정치적 명분과 왕실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로 들어서면서 관우를 신격화하여 관우신으로 부르며 민간신앙 및 무속신앙으로 이어졌고, 급기야는 종교화되는 경향을 띠었다. 명나라 장수 진린(陳寅)이 1598년 남대문 밖 남산기슭에 관우묘를 건립하면서 조선시대에는 대략 27곳 이상에 건립되었는데 그중 현존하는 곳은 14곳이 남아있다. 서울에는 남·동관왕묘 외에 지방에는 강진·안동·성주·남원 등 네 곳에 관왕묘가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9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관왕묘]] || Architecture || 건축 || 유교건축 || 관왕묘(關王廟) || 관왕묘 || 關王廟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관왕묘 || <html><imgsrc="http://dh.aks.ac.kr/hanyang2/icon/architecture.png"/></html>
+
| [[관왕묘]] || Architecture || 건축 || 유교건축 || 관왕묘(關王廟) || 관왕묘 || 關王廟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관왕묘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architecture.png"/></html>  
 
|-
 
|-
 
|}
 
|}
45번째 줄: 44번째 줄:
 
|-
 
|-
 
| 해설 || 위키백과 || 관제묘 ||  || https://ko.wikipedia.org/wiki/관제묘
 
| 해설 || 위키백과 || 관제묘 ||  || https://ko.wikipedia.org/wiki/관제묘
|-
 
| 해설 || 두산백과 ||  ||  ||
 
|-
 
| 참고 ||  ||  ||  ||
 
 
|-
 
|-
 
|}
 
|}
 
  
 
==Bibliography==
 
==Bibliography==
60번째 줄: 54번째 줄:
 
| 논문 || 심승구,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한국공연문화학회, 『공연문화연구』(24), 2012.02, pp.265~30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41906
 
| 논문 || 심승구,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한국공연문화학회, 『공연문화연구』(24), 2012.02, pp.265~30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41906
 
|-
 
|-
| 단행본 || || ||  
+
| 논문 || 상기숙, 「한중(韓中) 관우의례(關羽儀禮) 비교 연구」,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41), 2019.08, pp.285~3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2128
 
|-
 
|-
 
|}
 
|}
75번째 줄: 69번째 줄: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Object]] [[분류:박지윤]]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rchitecture]] [[분류:박지윤]]

2021년 12월 6일 (월) 22:01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군신과 충의, 부의 신으로 비유되는 촉한의 장수 관우를 제사지내는 사당이다. ‘관왕묘(關王廟)', '관성묘(關聖廟)' 또는 '무안왕묘((武安王廟)'로 불렸으며 줄여서 '관묘'라고 하였다. 1902년 이후에는 '관제묘(關帝廟)'라고 불렀으나, 1908년 관제묘가 폐지되면서 이 명칭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초기에 주로 유교적 사당의 의미로 참배되었다가, 숙종(肅宗)과 영⋅정조(英⋅正祖) 및 고종(高宗) 등 역대 국왕들이 직접 참배하면서 점차 의례화 되었고, 정치적 명분과 왕실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로 들어서면서 관우를 신격화하여 관우신으로 부르며 민간신앙 및 무속신앙으로 이어졌고, 급기야는 종교화되는 경향을 띠었다. 명나라 장수 진린(陳寅)이 1598년 남대문 밖 남산기슭에 관우묘를 건립하면서 조선시대에는 대략 27곳 이상에 건립되었는데 그중 현존하는 곳은 14곳이 남아있다. 서울에는 남·동관왕묘 외에 지방에는 강진·안동·성주·남원 등 네 곳에 관왕묘가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관왕묘 Architecture 건축 유교건축 관왕묘(關王廟) 관왕묘 關王廟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관왕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관왕묘 관우 enshrines
관왕묘 안동_관왕묘 isRelatedTo
관왕묘 성주_관왕묘 isRelatedTo
관왕묘 고금도_관왕묘 isRelatedTo
관왕묘 남원_관왕묘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관왕묘(關王廟)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948
해설 위키실록사전 관왕묘(關王廟)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관왕묘(關王廟)
해설 위키백과 관제묘 https://ko.wikipedia.org/wiki/관제묘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심승구,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한국공연문화학회, 『공연문화연구』(24), 2012.02, pp.265~3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41906
논문 상기숙, 「한중(韓中) 관우의례(關羽儀禮) 비교 연구」,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41), 2019.08, pp.285~3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2128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