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거류민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887년 ~ 1914년】. 경성거류민단은 공식적으로는 1905년 3월 일본 본국에서 '거류민단법'이 성립되고, 이 법률에 근거하여 1906년 7월 통감부가 '거류민단법시행규칙'(통감부령 제20호)을 발포함으로써 성립되었다. 그러나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1887년에 [[일본공사관]](현재의 [[녹천정]]터) 및 진고개(현재의 충무로2가) 일대에 거주하는 소수의 일본인 거류민들이 '총대사무소'를 설치하고 자신들의 대표를 뽑아, 거류민들로부터 공금을 징수하는 등 사회적 조직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들은 행정기관인 거류민역소와 의결기관인 거류민회를 두고 있었으며, 거류민들로부터 징수한 재원과 일본 정부로부터의 보조금 등을 바탕으로 도로개수와 상하수도사업, 공중위생・의료기관 설치 등 공공사업을 진행하였다. 1903년에 이르면 경성의 일본인거류민은 약 4,500명이었고 이들이 납부한 분담금이 연간 21,000엔 정도에 이르렀다고 한다. 대한제국에 소재하면서도 일본 법률의 적용을 받는 치외법권 지역이었던 거류민단은 한국병합 이후인 1914년에 폐지되었다.
+
【1885년 ~ 1914년】. 경성거류민단은 공식적으로는 1905년 3월 일본 본국에서 '거류민단법'이 성립되고, 이 법률에 근거하여 1906년 7월 통감부가 '거류민단법시행규칙'(통감부령 제20호)을 발포함으로써 성립되었다. 그러나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갑신정변으로 소실된 일본공사관이 [[녹천정]]터로 이전한 직후인 1885년에, 일본공사관 인근 및 진고개(현재의 충무로2가) 일대에 거주하는 소수의 일본인 거류민들이 자신들의 '총대(総代, 대표)'를 뽑고, 거류민들로부터 공금을 징수하는 등 사회적 조직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1886년에는 거류민총대규칙을 제정하고, 1887년에 처음으로 사무소를 개소하여 거류민단의 실질적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총대약장(総代役場)'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행정기관인 총대역소와 의결기관인 의회를 두고 있었으며, 거류민들로부터 징수한 재원과 일본 정부로부터의 보조금 등을 바탕으로 도로개수와 상하수도사업, 공중위생・의료기관 설치 등 공공사업을 진행하였다. 1901년에 명칭을 총대역장에서 거류민역소(居留民役所)로 개칭하였다. 1903년에 이르면 경성의 일본인거류민은 약 4,500명이었고 이들이 납부한 분담금이 연간 21,000엔 정도에 이르렀다고 한다. 대한제국에 소재하면서도 일본 법률의 적용을 받는 치외법권 지역이었던 거류민단은 한국병합 이후인 1914년에 폐지되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7번째 줄: 27번째 줄:
 
|-
 
|-
 
| [[경성거류민단]] || [[제일국립은행]] || [[isRelatedTo]] ||  || 거류민단의 적극적인 요청으로 1888년 제일국립은행 경성출장소 설치
 
| [[경성거류민단]] || [[제일국립은행]] || [[isRelatedTo]] ||  || 거류민단의 적극적인 요청으로 1888년 제일국립은행 경성출장소 설치
 +
|-
 +
| [[경성거류민단]] || [[야마구치 다헤에]] || [[isRelatedTo]] ||  || 경성거류민단 의원, 대표
 +
|-
 +
| [[경성거류민단]] || [[고조 간도]] || [[isRelatedTo]] ||  || 경성거류민단 의원, 대표
 
|-
 
|-
 
* [[Ontology:Relation 2021]]
 
* [[Ontology:Relation 2021]]

2021년 11월 8일 (월) 17:4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885년 ~ 1914년】. 경성거류민단은 공식적으로는 1905년 3월 일본 본국에서 '거류민단법'이 성립되고, 이 법률에 근거하여 1906년 7월 통감부가 '거류민단법시행규칙'(통감부령 제20호)을 발포함으로써 성립되었다. 그러나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갑신정변으로 소실된 일본공사관이 녹천정터로 이전한 직후인 1885년에, 일본공사관 인근 및 진고개(현재의 충무로2가) 일대에 거주하는 소수의 일본인 거류민들이 자신들의 '총대(総代, 대표)'를 뽑고, 거류민들로부터 공금을 징수하는 등 사회적 조직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1886년에는 거류민총대규칙을 제정하고, 1887년에 처음으로 사무소를 개소하여 거류민단의 실질적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총대약장(総代役場)'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행정기관인 총대역소와 의결기관인 의회를 두고 있었으며, 거류민들로부터 징수한 재원과 일본 정부로부터의 보조금 등을 바탕으로 도로개수와 상하수도사업, 공중위생・의료기관 설치 등 공공사업을 진행하였다. 1901년에 명칭을 총대역장에서 거류민역소(居留民役所)로 개칭하였다. 1903년에 이르면 경성의 일본인거류민은 약 4,500명이었고 이들이 납부한 분담금이 연간 21,000엔 정도에 이르렀다고 한다. 대한제국에 소재하면서도 일본 법률의 적용을 받는 치외법권 지역이었던 거류민단은 한국병합 이후인 1914년에 폐지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경성거류민단 Actor 기관 행정기구 경성거류민단(京城居留民團, 1887~1914) 경성거류민단 京城居留民團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경성거류민단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경성거류민단 일본공사관 isRelatedTo 일본공사관을 중심으로 발전
경성거류민단 녹천정 isRelatedTo 1887년, 녹천정 터에 세워진 일본공사관과 진고개 일대를 중심으로 거류민단 형성
경성거류민단 제일국립은행 isRelatedTo 거류민단의 적극적인 요청으로 1888년 제일국립은행 경성출장소 설치
경성거류민단 야마구치 다헤에 isRelatedTo 경성거류민단 의원, 대표
경성거류민단 고조 간도 isRelatedTo 경성거류민단 의원, 대표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