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01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Story== 1897년(광무 원년) 정유(丁酉) 9월 25일 서풍이 불어오던 깊은 가을 밤(亥時 2刻 12分) 경운궁(慶運宮) 숙옹재(肅雝齋)에서 남자 아기씨...)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Story== | ==Story== | ||
− | 1897년(광무 원년 | + | 1897년(광무 원년) 9월 25일 고종의 후궁 엄씨의 출산 후에 배출된 영친왕의 태(胎)는 태항아리에 담아 숙옹재 산실 안 월덕(月德) 병방(丙方)에 안치하였다. 출산 후 삼일 째인 9월 27일 산실 길방에 놓아두었던 태를 씻었다. 숙옹재 앞 뜰에 월덕 병방의 물을 자정에 길러 넣어 둔 독 4좌를 배열하였다. 묘정 초각 금루에서 시각을 아뢰자 호산관이 흑단령을 차려 입고, 차지와 종사관이 함께 차례로 서고, 의녀 죽엽과 진향이 태항아리를 받들고 나가 도소라에 옮겨 담고 병방의 물을 부어 깨끗이 씻은 후 향온주로 다시 씻었다. <개원통보>의 글자면이 아래로 가게 하여 태를 안치한 태항아리를 봉하였다. 붉은 목패 전면에 쌍행으로 ‘광무 원년 9월 25일 궁인 엄씨가 순산한 남자 아기씨 태’라 쓰고, 뒷면에 차지내관과 호산의원의 성명을 함께 써 넣었다. 세태의식을 마친 후 엄씨와 아기씨의 세욕이 진행되었다. 9월 30일 산후 초칠일에 숙옹재 대청에서 권초제를 행한 후 장태중사 김규복을 선두로 한 48명의 장태행렬은 석류문과 선양문, 새로 세운 목책문, 은행소 앞 길, 정동, 명례궁 앞 길, 사동, 황토현, 혜정교, 파자전, 석교, 돈화문 앞길, 금호문,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동용문, 경화문, 집례문, 숭지문, 명광문, 청양문, 금마문, 연경당 앞 길을 거쳐 능허정 남쪽 기슭 자좌에 영친왕의 태를 안치하였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Node Description=== | ===Node Description===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E1- | + | | [[E1-010]] || Story || Episode || ||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1-010 || <html><img width="6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E1-010.jpg"/></html> |
|- | |- | ||
|} | |}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E1-010]] || [[덕수궁_숙옹재]]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E1-010]] || [[장태의례]]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E1-010]] || [[태봉산도]]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E1-010]] || [[덕수궁평면도]] || [[isRelatedTo]] || || |
+ | |- | ||
+ | | [[E1-010]] || [[영친왕_태항아리]] || [[isRelatedTo]] || || | ||
+ | |- | ||
+ | | [[E1-010]] || [[영친왕_개원통보]] || [[isRelatedTo]] || || | ||
+ | |- | ||
+ | | [[E1-010]] || [[호산청소일기]] || [[isRelatedTo]] || || | ||
|} | |} | ||
* [[Ontology:Relation 2021]] | * [[Ontology:Relation 2021]] | ||
27번째 줄: | 33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장태(藏胎)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장태(藏胎) |
+ | |- | ||
+ | | 원문 || 디지털 장서각 || 호산청소일기 || ||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3618 | ||
|}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
34번째 줄: | 42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역 호산청일기』 , 민속원, 2007. || || |
|} | |}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42번째 줄: | 50번째 줄: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0"></iframe><br/>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0'"> |
</html>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Story]] [[분류:김지영]]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Story]] [[분류:김지영]] |
2021년 11월 4일 (목) 19:10 기준 최신판
목차
Story
1897년(광무 원년) 9월 25일 고종의 후궁 엄씨의 출산 후에 배출된 영친왕의 태(胎)는 태항아리에 담아 숙옹재 산실 안 월덕(月德) 병방(丙方)에 안치하였다. 출산 후 삼일 째인 9월 27일 산실 길방에 놓아두었던 태를 씻었다. 숙옹재 앞 뜰에 월덕 병방의 물을 자정에 길러 넣어 둔 독 4좌를 배열하였다. 묘정 초각 금루에서 시각을 아뢰자 호산관이 흑단령을 차려 입고, 차지와 종사관이 함께 차례로 서고, 의녀 죽엽과 진향이 태항아리를 받들고 나가 도소라에 옮겨 담고 병방의 물을 부어 깨끗이 씻은 후 향온주로 다시 씻었다. <개원통보>의 글자면이 아래로 가게 하여 태를 안치한 태항아리를 봉하였다. 붉은 목패 전면에 쌍행으로 ‘광무 원년 9월 25일 궁인 엄씨가 순산한 남자 아기씨 태’라 쓰고, 뒷면에 차지내관과 호산의원의 성명을 함께 써 넣었다. 세태의식을 마친 후 엄씨와 아기씨의 세욕이 진행되었다. 9월 30일 산후 초칠일에 숙옹재 대청에서 권초제를 행한 후 장태중사 김규복을 선두로 한 48명의 장태행렬은 석류문과 선양문, 새로 세운 목책문, 은행소 앞 길, 정동, 명례궁 앞 길, 사동, 황토현, 혜정교, 파자전, 석교, 돈화문 앞길, 금호문,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동용문, 경화문, 집례문, 숭지문, 명광문, 청양문, 금마문, 연경당 앞 길을 거쳐 능허정 남쪽 기슭 자좌에 영친왕의 태를 안치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E1-010 | Story | Episode |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1-010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E1-010 | 덕수궁_숙옹재 | isRelatedTo | ||
E1-010 | 장태의례 | isRelatedTo | ||
E1-010 | 태봉산도 | isRelatedTo | ||
E1-010 | 덕수궁평면도 | isRelatedTo | ||
E1-010 | 영친왕_태항아리 | isRelatedTo | ||
E1-010 | 영친왕_개원통보 | isRelatedTo | ||
E1-010 | 호산청소일기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장태(藏胎)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장태(藏胎) | |
원문 | 디지털 장서각 | 호산청소일기 |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3618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역 호산청일기』 , 민속원, 2007.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