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01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Story== 1897년(광무 원년) 정유(丁酉) 9월 25일 서풍이 불어오던 깊은 가을 밤(亥時 2刻 12分) 경운궁(慶運宮) 숙옹재(肅雝齋)에서 남자 아기씨...)
 
 
1번째 줄: 1번째 줄:
 
==Story==
 
==Story==
1897년(광무 원년) 정유(丁酉) 9월 25일 서풍이 불어오던 깊은 가을 밤(亥時 2刻 12分) 경운궁(慶運宮) 숙옹재(肅雝齋)에서 남자 아기씨가 태어났다. 그가 바로 대한제국을 선포하던 해에 태어난 영친왕이다. 명성왕후를 황망하게 잃고 두려움에 떨던 고종을 위로하고 지근거리에서 모시던 궁인 엄씨가 낳은 아들이었다. 호산을 담당할 임시기구인 호산청(護産廳)이 급히 마련되었다. 호산관들의 처소는 대전장방으로 정해졌고, 호산청 차지는 김규복, 종사관은 최석두, 호산관 전의는 박준승, 최석우로 정하여졌다. 탕약고원은 김용환과 유호영이, 대령의녀는 죽엽과 진향으로 정하여졌다. 해산했던 자리인 초석은 숙옹재 서쪽 중문인 유청문(維淸門) 밖에 현초(懸草)하였다. 9월 30일 산후 초칠일에 숙옹재 대청에서 권초제를 행하였다.
+
1897년(광무 원년) 9월 25일 고종의 후궁 엄씨의 출산 후에 배출된 영친왕의 태()는 태항아리에 담아 숙옹재 산실 안 월덕(月德) 병방(丙方)에 안치하였다. 출산 후 삼일 째인 9월 27일 산실 길방에 놓아두었던 태를 씻었다. 숙옹재 앞 뜰에 월덕 병방의 물을 자정에 길러 넣어 둔 독 4좌를 배열하였다. 묘정 초각 금루에서 시각을 아뢰자 호산관이 흑단령을 차려 입고, 차지와 종사관이 함께 차례로 서고, 의녀 죽엽과 진향이 태항아리를 받들고 나가 도소라에 옮겨 담고 병방의 물을 부어 깨끗이 씻은 후 향온주로 다시 씻었다. <개원통보>의 글자면이 아래로 가게 하여 태를 안치한 태항아리를 봉하였다. 붉은 목패 전면에 쌍행으로 ‘광무 원년 9월 25일 궁인 엄씨가 순산한 남자 아기씨 태’라 쓰고, 뒷면에 차지내관과 호산의원의 성명을 함께 써 넣었다. 세태의식을 마친 후 엄씨와 아기씨의 세욕이 진행되었다. 9월 30일 산후 초칠일에 숙옹재 대청에서 권초제를 행한 후 장태중사 김규복을 선두로 한 48명의 장태행렬은 석류문과 선양문, 새로 세운 목책문, 은행소 앞 길, 정동, 명례궁 앞 길, 사동, 황토현, 혜정교, 파자전, 석교, 돈화문 앞길, 금호문,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동용문, 경화문, 집례문, 숭지문, 명광문, 청양문, 금마문, 연경당 앞 길을 거쳐 능허정 남쪽 기슭 자좌에 영친왕의 태를 안치하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Node Description===
6번째 줄: 6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E1-015]] || Story || Episode || || 숙옹재 유청문의 현초(懸草)와 숙옹재 대청에서 행한 권초제(捲草祭)|| 숙옹재 유청문의 현초(懸草)와 숙옹재 대청에서 행한 권초제(捲草祭)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1-015 || <html><img width="6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E1-015.jpg"/></html>
+
| [[E1-010]] || Story || Episode || ||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1-010 || <html><img width="6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E1-010.jpg"/></html>
 
|-
 
|-
 
|}
 
|}
14번째 줄: 14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숙옹재 유청문의 현초(懸草)와 숙옹재 대청에서 행한 권초제(捲草祭)]] || [[권초례]] || [[isRelatedTo]] || ||
+
| [[E1-010]] || [[덕수궁_숙옹재]] || [[isRelatedTo]] || ||
 
|-
 
|-
| [[숙옹재 유청문의 현초(懸草)와 숙옹재 대청에서 행한 권초제(捲草祭)]] || [[현초문]] || [[isRelatedTo]] || ||
+
| [[E1-010]] || [[장태의례]] || [[isRelatedTo]] || ||
 
|-
 
|-
| [[숙옹재 유청문의 현초(懸草)와 숙옹재 대청에서 행한 권초제(捲草祭)]] || [[덕수궁_숙옹재]] || [[isRelatedTo]] || ||
+
| [[E1-010]] || [[태봉산도]] || [[isRelatedTo]] || ||
 
|-
 
|-
| [[숙옹재 유청문의 현초(懸草)와 숙옹재 대청에서 행한 권초제(捲草祭)]] || [[호산청소일기]] || [[isRelatedTo]] || ||
+
| [[E1-010]] || [[덕수궁평면도]] || [[isRelatedTo]] || ||
 +
|-
 +
| [[E1-010]] || [[영친왕_태항아리]] || [[isRelatedTo]] || ||
 +
|-
 +
| [[E1-010]] || [[영친왕_개원통보]] || [[isRelatedTo]] || ||
 +
|-
 +
| [[E1-010]] || [[호산청소일기]] || [[isRelatedTo]] || ||
 
|}
 
|}
 
* [[Ontology:Relation 2021]]
 
* [[Ontology:Relation 2021]]
27번째 줄: 33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권초제(捲草祭)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권초제(捲草祭)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장태(藏胎)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장태(藏胎)
 +
|-
 +
| 원문 || 디지털 장서각 || 호산청소일기 || ||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3618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34번째 줄: 42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김지영, 「조선시대 왕실 ‘권초례(捲草禮)’의 변화)」, 『민속학연구』 30, 국립민속박물관, 2012.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579
+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역 호산청일기』 , 민속원, 2007. || ||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42번째 줄: 50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5"></iframe><br/>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0"></iframe><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5'">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0'">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Story]] [[분류:김지영]]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Story]] [[분류:김지영]]

2021년 11월 4일 (목) 19:10 기준 최신판

Story

1897년(광무 원년) 9월 25일 고종의 후궁 엄씨의 출산 후에 배출된 영친왕의 태(胎)는 태항아리에 담아 숙옹재 산실 안 월덕(月德) 병방(丙方)에 안치하였다. 출산 후 삼일 째인 9월 27일 산실 길방에 놓아두었던 태를 씻었다. 숙옹재 앞 뜰에 월덕 병방의 물을 자정에 길러 넣어 둔 독 4좌를 배열하였다. 묘정 초각 금루에서 시각을 아뢰자 호산관이 흑단령을 차려 입고, 차지와 종사관이 함께 차례로 서고, 의녀 죽엽과 진향이 태항아리를 받들고 나가 도소라에 옮겨 담고 병방의 물을 부어 깨끗이 씻은 후 향온주로 다시 씻었다. <개원통보>의 글자면이 아래로 가게 하여 태를 안치한 태항아리를 봉하였다. 붉은 목패 전면에 쌍행으로 ‘광무 원년 9월 25일 궁인 엄씨가 순산한 남자 아기씨 태’라 쓰고, 뒷면에 차지내관과 호산의원의 성명을 함께 써 넣었다. 세태의식을 마친 후 엄씨와 아기씨의 세욕이 진행되었다. 9월 30일 산후 초칠일에 숙옹재 대청에서 권초제를 행한 후 장태중사 김규복을 선두로 한 48명의 장태행렬은 석류문과 선양문, 새로 세운 목책문, 은행소 앞 길, 정동, 명례궁 앞 길, 사동, 황토현, 혜정교, 파자전, 석교, 돈화문 앞길, 금호문,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동용문, 경화문, 집례문, 숭지문, 명광문, 청양문, 금마문, 연경당 앞 길을 거쳐 능허정 남쪽 기슭 자좌에 영친왕의 태를 안치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1-010 Story Episode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1-010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1-010 덕수궁_숙옹재 isRelatedTo
E1-010 장태의례 isRelatedTo
E1-010 태봉산도 isRelatedTo
E1-010 덕수궁평면도 isRelatedTo
E1-010 영친왕_태항아리 isRelatedTo
E1-010 영친왕_개원통보 isRelatedTo
E1-010 호산청소일기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위키실록사전 장태(藏胎)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장태(藏胎)
원문 디지털 장서각 호산청소일기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3618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역 호산청일기』 , 민속원, 2007.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