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위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de Description) |
(→Contextual Relations)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경위원(警衛院)은 각종 정치 사찰과 정보 기구로서의 기능을 경찰 행정에서 특화시킨 단일 기구였다. 대한제국의 정치 구조는 궁내부와 의정부가 국정을 운영하는 이원적인 체계였다. 그런데 궁내부가 의정부의 업무를 점차 흡수하면서 국정을 전담해 가는 형태로 변하였다. 황제권 강화와 함께 경찰 제도도 변하였다. 경부의 조직과 기능이 경위원과 경무청으로 분화되었는데 이것도 궁내부의 강화와 연관되었다.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경위원 || [[궁내부]] || [[ | + | | 경위원 || [[궁내부]] || [[hasPart]] || || 경위원은 궁내부 산하 조직이다. |
|- | |- | ||
| 경위원 || 경위학교 || [[isRelatedTo]] || || 1903년 설치된 경위학교는 경위원 장정 교육을 맡았다. | | 경위원 || 경위학교 || [[isRelatedTo]] || || 1903년 설치된 경위학교는 경위원 장정 교육을 맡았다. | ||
|- | |- | ||
− | | 경위원 || 경부 || [[isRelatedTo]] || || 경위원은 경부와 별도의 조직으로 황제의 신변을 호위하였다. | + | | 경위원 || [[경부]] || [[isRelatedTo]] || || 경위원은 경부와 별도의 조직으로 황제의 신변을 호위하였다. |
|- | |- | ||
− | | 경위원 || 경무청 || [[isRelatedTo]] || || 경위원은 경무청과 별도 조직으로 경위원 최고 직책은 [[경무사]]가 아니라 무관(참령관)이었다. | + | | 경위원 || [[경무청]] || [[isRelatedTo]] || || 경위원은 경무청과 별도 조직으로 경위원 최고 직책은 [[경무사]]가 아니라 무관(참령관)이었다. |
|- | |- | ||
− | | 경위원 || 경무서 || [[ | + | | 경위원 || [[경무서]] || [[hasPart]] || || 경위원 산하에는 개항장 경무서가 있었다. |
|} | |}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실록위키 || 경위원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 | + | | 해설 || 실록위키 || 경위원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위원(警衛院) |
− | |||
|} | |} | ||
46번째 줄: | 45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서진교, 「대한제국기 | + | | 논문 || 서진교, 「대한제국기 고종의 황제권 강화책과 경위원」,『한국근현대사연구』 9, 1998. || || |
|- | |- | ||
| 논문 || 차선혜, 「대한제국기 경찰제도의 변화와 성격」, 『역사와현실』19, 1996. || || | | 논문 || 차선혜, 「대한제국기 경찰제도의 변화와 성격」, 『역사와현실』19, 1996. || || | ||
− | |||
|} | |} | ||
59번째 줄: | 57번째 줄: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경위원"></iframe><br/>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경위원'"> |
</html>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 ||
− | [[분류: | + | [[분류:Actor]] |
[[분류:장경호]] | [[분류:장경호]] |
2021년 12월 3일 (금) 09:59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경위원(警衛院)은 각종 정치 사찰과 정보 기구로서의 기능을 경찰 행정에서 특화시킨 단일 기구였다. 대한제국의 정치 구조는 궁내부와 의정부가 국정을 운영하는 이원적인 체계였다. 그런데 궁내부가 의정부의 업무를 점차 흡수하면서 국정을 전담해 가는 형태로 변하였다. 황제권 강화와 함께 경찰 제도도 변하였다. 경부의 조직과 기능이 경위원과 경무청으로 분화되었는데 이것도 궁내부의 강화와 연관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경위원 | Actor | 관서 | 경관 | 경위원(警衛院) | 경위원 | 警衛院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경위원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경위원 | 궁내부 | hasPart | 경위원은 궁내부 산하 조직이다. | |
경위원 | 경위학교 | isRelatedTo | 1903년 설치된 경위학교는 경위원 장정 교육을 맡았다. | |
경위원 | 경부 | isRelatedTo | 경위원은 경부와 별도의 조직으로 황제의 신변을 호위하였다. | |
경위원 | 경무청 | isRelatedTo | 경위원은 경무청과 별도 조직으로 경위원 최고 직책은 경무사가 아니라 무관(참령관)이었다. | |
경위원 | 경무서 | hasPart | 경위원 산하에는 개항장 경무서가 있었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실록위키 | 경위원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위원(警衛院)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서진교, 「대한제국기 고종의 황제권 강화책과 경위원」,『한국근현대사연구』 9, 1998. | ||
논문 | 차선혜, 「대한제국기 경찰제도의 변화와 성격」, 『역사와현실』19, 1996.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