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릉-弘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조선 제21대 국왕 영조의 비 정성왕후(貞聖王后) 서씨(徐氏)를 모신 왕비릉으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서오릉 경내에 있다. 1757년 66세의 나이로 승하하자, 영조는 훗날 정성왕후의 옆에 묻히기 위해 우측 옆을 비워놓았으나, 1776년 영조가 승하한 후 손자인 정조는 영조의 뜻과는 다르게 서오릉의 정 반대에 위치한 동오릉(오늘날의 동구릉)에 안장하였다. 이에 따라서 능침은 정성왕후 한 분만 모신 단릉의 형식이나, 석물의 배치는 쌍릉의 형식으로 조성되었다. 능제는 기본적으로 숙종의 명릉(明陵) 형식을 따라 간소하게 조성되었으며, <국조속오례의>와 <국조상례보편>의 제도가 잘 반영되어 있다. 3면의 낮은 담으로 둘러싸인 능에는 병풍석이 없고, 봉분은 12칸의 난간석에 에워싸여 있다. 혼유석 1좌, 망주석 1쌍, 석호(石虎)·석양(石羊) 각 2쌍, 문인석·석마(石馬) 각 1쌍, 장명등 1좌, 무인석·석마 각 1쌍의 석물을 갖추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9번째 줄: 9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홍릉-弘陵]] || Place || 능묘 || 왕릉 || 홍릉-弘陵 || 홍릉-홍릉 || 弘陵-弘陵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홍릉_弘陵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place.png"/></html>  
+
| [[홍릉-弘陵]] || Place || 능묘 || 왕비릉 || 홍릉-弘陵 || 홍릉-홍릉 || 弘陵-弘陵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홍릉_弘陵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place.png"/></html>  
 
|-
 
|-
 
|}
 
|}
20번째 줄: 20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홍릉-弘陵]] || [[ ]] ||  [[ ]]  ||    ||
+
| [[홍릉-弘陵]] || [[ 단릉 ]] ||  [[ type ]]  ||    ||
 
|-
 
|-
| [[홍릉-弘陵]] || [[ ]] ||  [[ ]]  ||    ||
+
| [[홍릉-弘陵]] || [[ 정성왕후_서씨 ]] ||  [[ isTombOf ]]  ||    ||
 
|-
 
|-
| [[홍릉-弘陵]] || [[ ]] ||  [[ ]]  ||    ||
+
| [[홍릉-弘陵]] || [[ 서오릉 ]] ||  [[ isPartOf ]]  ||    ||
 
|-
 
|-
 
|}
 
|}
35번째 줄: 35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홍릉(弘陵)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050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  ||
 
 
|-
 
|-
| 해설 || 위키백과 ||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홍릉(弘陵)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홍릉(弘陵)
 
|-
 
|-
| 해설 || 두산백과 || ||  ||  
+
| 해설 || 위키백과 || 홍릉 (정성왕후) ||  ||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B%A6%89_(%EC%A0%95%EC%84%B1%EC%99%95%ED%9B%84)
 
|-
 
|-
| 참고 || || ||  ||  
+
| 해설 || 두산백과 || 홍릉[弘陵]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446
 
|-
 
|-
| 동영상 || || ||  ||  
+
| 참고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고양 서오릉 || 서오릉 이야기>홍릉 ||  || http://royaltombs.cha.go.kr/tombs/selectTombInfoList.do?tombseq=145&mn=RT_01_10_01
 
|-
 
|-
 +
| 참고 || 주간동아>신의 정원 조선 왕릉33 ||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홍릉 ||  || https://weekly.donga.com/3/all/11/91225/1
 
|}
 
|}
  
55번째 줄: 54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  ||  
+
| 단행본 || 한국문원 편집실, (문화유산)왕릉 : 왕릉 기행으로 엮은 조선왕조사, (주)한국문원, 1995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MarcView.do?cn=MONO1199502972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이규원, 조선왕릉실록, 글로세움, 2012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MarcView.do?cn=MONO1201202439
 
|-
 
|-
 
|}
 
|}

2021년 9월 25일 (토) 16:10 판

Definition

조선 제21대 국왕 영조의 비 정성왕후(貞聖王后) 서씨(徐氏)를 모신 왕비릉으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서오릉 경내에 있다. 1757년 66세의 나이로 승하하자, 영조는 훗날 정성왕후의 옆에 묻히기 위해 우측 옆을 비워놓았으나, 1776년 영조가 승하한 후 손자인 정조는 영조의 뜻과는 다르게 서오릉의 정 반대에 위치한 동오릉(오늘날의 동구릉)에 안장하였다. 이에 따라서 능침은 정성왕후 한 분만 모신 단릉의 형식이나, 석물의 배치는 쌍릉의 형식으로 조성되었다. 능제는 기본적으로 숙종의 명릉(明陵) 형식을 따라 간소하게 조성되었으며, <국조속오례의>와 <국조상례보편>의 제도가 잘 반영되어 있다. 3면의 낮은 담으로 둘러싸인 능에는 병풍석이 없고, 봉분은 12칸의 난간석에 에워싸여 있다. 혼유석 1좌, 망주석 1쌍, 석호(石虎)·석양(石羊) 각 2쌍, 문인석·석마(石馬) 각 1쌍, 장명등 1좌, 무인석·석마 각 1쌍의 석물을 갖추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홍릉-弘陵 Place 능묘 왕비릉 홍릉-弘陵 홍릉-홍릉 弘陵-弘陵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홍릉_弘陵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홍릉-弘陵 단릉 type
홍릉-弘陵 정성왕후_서씨 isTombOf
홍릉-弘陵 서오릉 isPartOf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홍릉(弘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050
해설 위키실록사전 홍릉(弘陵)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홍릉(弘陵)
해설 위키백과 홍릉 (정성왕후)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B%A6%89_(%EC%A0%95%EC%84%B1%EC%99%95%ED%9B%84)
해설 두산백과 홍릉[弘陵]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446
참고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고양 서오릉 서오릉 이야기>홍릉 http://royaltombs.cha.go.kr/tombs/selectTombInfoList.do?tombseq=145&mn=RT_01_10_01
참고 주간동아>신의 정원 조선 왕릉33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홍릉 https://weekly.donga.com/3/all/11/91225/1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한국문원 편집실, (문화유산)왕릉 : 왕릉 기행으로 엮은 조선왕조사, (주)한국문원, 1995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MarcView.do?cn=MONO1199502972
단행본 이규원, 조선왕릉실록, 글로세움, 2012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MarcView.do?cn=MONO1201202439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