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릉-淑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Web Resource)
(Bibliography)
51번째 줄: 51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 ||
+
| 논문 || 장경희,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조형디자인연구』15(2), 2012.06, pp.9~2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962
|-
 
| 논문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  ||
 
|-
 
|  ||  ||  ||  
 
 
|-
 
|-
 
|}
 
|}

2021년 9월 11일 (토) 15:45 판

Definition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증조모인 정숙왕후 최씨를 모신 시조왕릉이다. 태조는 조선을 개창한 다음해인 1393년(태조 2) 8월에 친히 선조가 묻혀 있는 동북면지방에 행차하여 증조모의 묘소에 제사를 드리고 즉위를 알리면서 숙릉이라는 능호를 올렸다. 능역에는 정자각을 비롯하여 비각, 수라간, 제기고, 제복고, 재실, 고직간, 전사청, 대문간 등이 배치되어 있었다. 능지기는 참봉 2인이고, 수호 인원은 15명을 두었다. 함경남도 문천시 도초면 능전리에 있다. 19세기에 태조의 4대조 및 그 비의 각 능의 도형을 그린 『북도각릉전도형』 제3폭에서 숙릉의 능상에는 곡장을 두르고 혼유석, 장명등, 문석인․ 무석인과 석양, 석마를 배치되어 있고, 능 아래의 제례공간에는 정자각, 수라간, 홍살문이 그려졌으며, 홍살문 밖에는 재실과 비각 등이 배치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숙릉-淑陵 Place 능묘 시조왕릉 숙릉-淑陵 숙릉-숙릉 淑陵-淑陵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숙릉-淑陵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숙릉-淑陵 정숙왕후 [[ ]]
정숙왕후 익조 [[ ]]
숙릉-淑陵 북도각릉전도형 [[ ]]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숙릉(淑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1798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숙왕후(貞淑王后)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0464
해설 위키백과 숙릉 (조선) https://ko.wikipedia.org/wiki/숙릉 (조선)
해설 두산백과 정숙왕후[貞淑王后,?~?]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67225
이미지 디지털장서각 북도각릉전도형(北道各陵殿圖形) http://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4428#node?depth=2&upPath=002&dataId=005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장경희,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조형디자인연구』15(2), 2012.06, pp.9~2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962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