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해옥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 1755년】. 소론 일파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일으킨 역모 사건. 숙종 말년 왕위계승 문제를 놓고 노론과 소론 사이에 대립...)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1755년】. 소론 일파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일으킨 역모 사건. 숙종 말년 왕위계승 문제를 놓고 노론과 소론 사이에 대립이 심화되고 있었다. 경종의 무자다병(無子多病)을 이유로, 영의정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의 세자책봉 주장이 관철되었다. 이로써 연잉군(延礽君) 이금(李昑)이 세제(世弟)로 봉해졌다.이에 우의정 조태구(趙泰耉) 등 소론 4대신은 이를 시기상조라고 따지고 공격하였다. 경종 말년 세제 연잉군의 정무대리(政務代理)까지 강행되었다. 그러자, 소론에서는 승지인 김일경(金一鏡)·이진유(李眞儒)·목호룡(睦虎龍) 등을 시켜 노론의 역모를 무고(誣告), 4대신 및 수 백인의 노론 일파가 참살, 실각당하였다.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다시 노론이 등장하면서 김일경의 옥사를 일으켜 대대적으로 소론 일파를 처형하였다. 이 때 김일경 부자의 참살은 물론, 윤지의 아버지인 훈련대장 취상(就商)도 고문으로 죽었다.또한 뒷날 을해옥사의 주역인 윤지도 이 사건에 연좌되어 제주도로 유배당하고, 뒤에 나주로 옮겨져 20여년 그곳에서 귀양살이를 하게 되었다.영조 즉위 얼마 뒤 실세한 소론들은 기회를 엿보다가 1727년(영조 3) 노론 일부가 실각하자, 그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일으켰다.영조의 왕위 정통을 정면으로 부정하면서 소현세자의 적파손(嫡派孫)인 밀풍군 탄(密豐君坦)을 왕으로 옹립한 반란이었다. 한 때 청주를 중심으로 형세가 매우 커졌으나 곧 진압되어 주모자들이 처형되었다. 이 사건으로 소론은 또 크게 타격을 받았다.경과 및 결과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난 뒤 윤지가 적소(謫所)인 나주에서 나라와 노론에 대한 원한을 품고 은밀히 세력을 규합해 모의를 계획하고 있었다.윤지는 아들 광철(光哲)과 함께 나주목사 이하징(李夏徵) 및 이효식(李孝植), 박찬신(朴纘新) 등 서울과 지방 각지의 소론을 모으고, 벼슬에 나아가지 못한 불평분자들을 끌어들여 점차 기반을 구축해갔다.윤지는 거사 전에 우선 인심을 동요시키고자 1755년 1월에 나주 객사(客舍)에 나라를 비방하는 괘서를 붙였고, 푸닥거리로 민심을 현혹시키며 동지 규합에 힘을 썼다.그러나 거사 전에 괘서가 발각되었다. 이로써 윤지는 전라감사 조운규(趙雲逵)에게 체포되고, 서울로 압송되어, 영조의 친국(親鞫)을 받았으며, 그해 2월에 처형당하였다.이 때, 박찬신 및 조동정(趙東鼎)·조동하(趙東夏)·김윤(金潤) 등 많은 소론파 인물들이 함께 사형되었고, 이광사(李匡師)·윤득구(尹得九) 등은 원찬(遠竄)되었다. 3월에는 조태구·김일경 등에게 역률(逆律)을 추시(追施)하였다.5월에는 토역경과정시(討逆慶科庭試)에서 답안지변서사건(答案紙變書事件)과 관련, 윤지의 일파인 심정연(沈鼎衍)이 붙잡혀 사형되었다. 이어 춘천에서 윤혜(尹惠)·김도성(金道成)·신치운(申致雲) 등이 주모한 역모 사건이 발각되자 이들 모두 사형되었다.이와 같은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남아 있는 소론파 인물들도 대부분 연루, 실세되어 재기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소론의 역모 주동자를 모두 제거한 영조는 《천의소감 闡義昭鑑》이라는 책을 편찬하게 하여 이 사건들의 시말을 자세하게 밝히게 하였다.영조는 즉위 초부터 당쟁의 여러 가지 폐단을 없애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인좌의 난 이후 정권은 대개 노론계에서 차지하였다.반면, 실세한 소론들은 거의 신원되지 않았으며, 그들의 원망이 누적되어 당화(黨禍)는 잠재된 채 윤지의 난으로 폭발되었던 것이다. 이는 영조의 탕평책이 여의치 못했음을 반영한 사건이었다.
+
【1755년】. 소론 일파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일으킨 역모 사건. 소론인 윤지가 적소(謫所)인 나주에서 노론에 대한 원한을 품고 은밀히 세력을 규합해 모의를 계획하고 있었다. 윤지는 아들 광철(光哲)과 함께 나주목사 이하징(李夏徵) 및 이효식(李孝植), 박찬신(朴纘新) 등 서울과 지방 각지의 소론을 모으고, 벼슬에 나아가지 못한 불평분자들을 끌어들여 점차 기반을 구축해갔다. 윤지는 거사 전에 우선 인심을 동요시키고자 1755년 1월에 나주 객사(客舍)에 나라를 비방하는 괘서를 붙였고, 푸닥거리로 민심을 현혹시키며 동지 규합에 힘을 썼다.그러나 거사 전에 괘서가 발각되었다. 이로써 윤지는 전라감사 조운규(趙雲逵)에게 체포되고, 서울로 압송되어, 영조의 친국(親鞫)을 받았으며, 그해 2월에 처형 당하였다. 이 때, 박찬신 및 조동정(趙東鼎)·조동하(趙東夏)·김윤(金潤) 등 많은 소론파 인물들이 함께 사형되었고, 이광사(李匡師)·윤득구(尹得九) 등은 원찬(遠竄)되었다. 당시 처형 장소가 남대문이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6번째 줄: 25번째 줄:
 
| [[을해옥사]] || [[윤지의 난]]  || [[SameAs]]  || ||
 
| [[을해옥사]] || [[윤지의 난]]  || [[SameAs]]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윤지]]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조운규]]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박찬신]]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조동정]]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조동하]]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김윤]]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이광사]]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윤득구]]  || [[isRelatedTo]]  ||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남대문]]  || [[isRelatedTo]]  || ||
|-
 
| [[을해옥사]] || [[  ]]  || [[isRelatedTo]]  || ||
 
 
|-
 
|-
 
|}
 
|}
55번째 줄: 52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나주괘서사건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나주괘서사건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1459
 
|-
 
|-
| 해설 || 나무위키 || 이길용 ||  || https://namu.wiki/w/이길용
+
| 해설 || 위키백과 || 나주괘서사건 ||  || https://ko.wikipedia.org/wiki/나주괘서사건
 
|-
 
|-
| 해설 || 두산백과 || 이길용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3012
+
| 해설 || 두산백과 || 나주벽서사건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7445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체육학대사전 || 이길용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58090&cid=42876&categoryId=42876
 
 
|-  
 
|-  
 
|}
 
|}
72번째 줄: 67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이희환. 「기자 이길용의 생애와 저널리즘의 지향」, 『한국민족문화』 78,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0645
+
| 논문 || 조윤선. "조선후기 영조 31년 乙亥獄事의 추이와 정치적 의미" 韓國史學報 no.37, 고려사학회, 200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91371
 +
|-
 +
| 논문 || 심재우. "영조대 정치범 처벌을 통해 본 법과 정치 : 을해옥사를 중심으로" 한국학 33, no.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01041
 
|-
 
|-
| 논문 || 김동규, 주동진. 「李吉用 체육문화 활동의 스포츠내셔널리즘적 의의」,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14-3, 한국체육철학회, 2006. || KCI || h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32466
+
| 논문 || 송정란. "영조대 남대문의 장소성 -권위의 공간에서 권력의 장소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1, no.2, 역사문화학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8338
 
|-
 
|-
 
|}
 
|}

2021년 8월 28일 (토) 23:39 판

Definition

【1755년】. 소론 일파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일으킨 역모 사건. 소론인 윤지가 적소(謫所)인 나주에서 노론에 대한 원한을 품고 은밀히 세력을 규합해 모의를 계획하고 있었다. 윤지는 아들 광철(光哲)과 함께 나주목사 이하징(李夏徵) 및 이효식(李孝植), 박찬신(朴纘新) 등 서울과 지방 각지의 소론을 모으고, 벼슬에 나아가지 못한 불평분자들을 끌어들여 점차 기반을 구축해갔다. 윤지는 거사 전에 우선 인심을 동요시키고자 1755년 1월에 나주 객사(客舍)에 나라를 비방하는 괘서를 붙였고, 푸닥거리로 민심을 현혹시키며 동지 규합에 힘을 썼다.그러나 거사 전에 괘서가 발각되었다. 이로써 윤지는 전라감사 조운규(趙雲逵)에게 체포되고, 서울로 압송되어, 영조의 친국(親鞫)을 받았으며, 그해 2월에 처형 당하였다. 이 때, 박찬신 및 조동정(趙東鼎)·조동하(趙東夏)·김윤(金潤) 등 많은 소론파 인물들이 함께 사형되었고, 이광사(李匡師)·윤득구(尹得九) 등은 원찬(遠竄)되었다. 당시 처형 장소가 남대문이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을해옥사 Event 사건 을해옥사(乙亥獄事) 을해옥사 乙亥獄事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을해옥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을해옥사 나주괘서사건 SameAs
을해옥사 윤지의 난 SameAs
을해옥사 윤지 isRelatedTo
을해옥사 조운규 isRelatedTo
을해옥사 박찬신 isRelatedTo
을해옥사 조동정 isRelatedTo
을해옥사 조동하 isRelatedTo
을해옥사 김윤 isRelatedTo
을해옥사 이광사 isRelatedTo
을해옥사 윤득구 isRelatedTo
을해옥사 남대문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나주괘서사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1459
해설 위키백과 나주괘서사건 https://ko.wikipedia.org/wiki/나주괘서사건
해설 두산백과 나주벽서사건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7445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조윤선. "조선후기 영조 31년 乙亥獄事의 추이와 정치적 의미" 韓國史學報 no.37, 고려사학회, 2009.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91371
논문 심재우. "영조대 정치범 처벌을 통해 본 법과 정치 : 을해옥사를 중심으로" 한국학 33, no.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01041
논문 송정란. "영조대 남대문의 장소성 -권위의 공간에서 권력의 장소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1, no.2, 역사문화학회, 201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833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