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수호조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Bibliography) |
||
76번째 줄: | 76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 | + | | 논문 || 안종철. "19세기 ‘국제법’의 성격과 조일수호조규(1876)" 역사비평 no.114, 역사문제연구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8495 |
|- | |- | ||
− | | 단행본 || , | + | | 논문 || 김종학. "1876년 조일수호조규 체결과정의 재구성 : '심행일기(沁行日記)'와 몇 가지 미간문헌에 기초하여" 한국정치학회보 51, no.5, 한국정치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5585 |
+ | |- | ||
+ | | 논문 || 한승훈. "고립정책과 간섭정책의 이중주―조일수호조규에 대한 영국의 인식과 대응" 역사비평 no.114, 역사문제연구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8487 | ||
+ | |- | ||
+ | | 논문 || 김종학. "조일수호조규 체결과정에서의 오경석의 막후활동: 개화당 기원의 재검토"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8, no.1,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32930 | ||
+ | |- | ||
+ | | 논문 || 김흥수. "운요호사건과 이토 히로부미" 한일관계사연구 no.33, 한일관계사학회, 200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71364 | ||
+ | |- | ||
+ | | 논문 || 김종학. "조일수호조규는 포함외교의 산물이었는가?" 역사비평 no.114, 역사문제연구소, 201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8484 | ||
+ | |- | ||
+ | | 논문 || 이근관. "朝日修好條規(1876)의 再評價 ―아 國際秩序의 觀點으로부터" 서울국제법연구 11, no.1, 서울국제법연구원,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49745 | ||
+ | |- | ||
+ | | 단행본 || 김정호,김종학,김흥수,전상숙,한승훈, 『조일수호조규, 근대의 의미를 묻다』, 청아출판사, 2017. || || | ||
+ | |- | ||
+ | | 단행본 || 신헌 지음, 김종학 옮김,『심행일기-조선이 기록한 강화도조약』, 푸른역사, 2010. || || | ||
|- | |- | ||
|} | |} |
2021년 8월 17일 (화) 19:31 판
목차
Definition
【1876년(고종 13)】.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 조약의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이며, 강화조약(江華條約)이라고도 한다.
본관 여흥. 아버지는 민치록(閔致祿), 어머니는 한창부부인 이씨이다.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 민씨에 의해 왕비로 간택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 임오군란 때 궁중을 탈출했다가 돌아온 적이 있고 갑신정변이 무위에 그치는 데 일조를 했다[1]는 평가가 있다. 19세기 말 내외의 격동 속에서 고종과 함께 국정을 주도하고자 했으나 1895년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되었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고종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에 합장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병자수호조약 | Event | 사건 | 병자수호조약(1876) | 丙子修好條約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병자수호조약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
병자수호조약 | [[ ]] | [[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강화도조약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1508 | |
해설 | 위키백과 | 강화도_조약 | https://ko.wikipedia.org/wiki/강화도_조약 | |
해설 | 두산백과 | 강화도_조약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8492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근현대사사전 | 강화도조약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19483&cid=62048&categoryId=62048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네이버캐스트 > 조약사-조약이 맺은 역사의 고빗길 | 강화도_조약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6986&cid=59016&categoryId=59024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