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yalFeast1848-E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Generative Storytelling)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9번째 줄: 39번째 줄:
 
==Story Network Graph==
 
==Story Network Graph==
  
{{StoryGraph | key=RoyalFeast1848-E1}}
+
{{StoryGraph | key=RoyalFeast1848-E1}}<br/>
 +
{{AINarrative | db=hanyang2023 | project=hanyang | title=RoyalFeast1848-E1}}
  
==Generative Stritelling===
+
==Generative Storytelling==
  
 
===Korean Narrative===
 
===Korean Narrative===
51번째 줄: 52번째 줄:
 
창경궁과 창덕궁, 이 두 궁의 전각들은 조선시대 궁궐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상징하는 장소들입니다. 창경궁의 통명전은 대비전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전각이며, 창덕궁의 인정전은 조선후기 법궁인 창덕궁의 정전입니다.
 
창경궁과 창덕궁, 이 두 궁의 전각들은 조선시대 궁궐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상징하는 장소들입니다. 창경궁의 통명전은 대비전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전각이며, 창덕궁의 인정전은 조선후기 법궁인 창덕궁의 정전입니다.
  
이 행사에는 많은 중요 인물들이 참여했습니다. 헌종과 그의 후궁 경빈 김씨,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와 그의 세자 익종의 왕비 신정왕후, 그리고 순조와 헌종 사이의 연결고리였던 효명세자와 그의 아내 신정왕후까지, 이들 모두가 이 잔치의 주역이었습니다.
+
이 행사에는 많은 중요 인물들이 참여했습니다. 헌종과 그의 후궁 경빈 김씨,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 그리고 순조와 헌종 사이의 연결고리였던 효명세자의 아내 신정왕후까지, 이들 모두가 이 잔치의 주역이었습니다.
  
 
이 잔치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무신진찬도병과 무신진찬의궤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들은 당시의 잔치와 의례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잔치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무신진찬도병과 무신진찬의궤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들은 당시의 잔치와 의례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67번째 줄: 68번째 줄:
 
Changgyeonggung and Changdeokgung, along with their respective halls, represent the beauty and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s palatial architecture. Tongmyeongjeon in Changgyeonggung served primarily as a residence for the queen dowager, while Injeongjeon in Changdeokgung was the main hall of Changdeokgung, the Joseon dynasty's official palace.
 
Changgyeonggung and Changdeokgung, along with their respective halls, represent the beauty and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s palatial architecture. Tongmyeongjeon in Changgyeonggung served primarily as a residence for the queen dowager, while Injeongjeon in Changdeokgung was the main hall of Changdeokgung, the Joseon dynasty's official palace.
  
Many prominent figures participated in this banquet. King Heonjong, his concubine Gyeongbin Kim, Queen Sunwon (Consort to King Sunjo), Queen Shinjeong (Consort to Crown Prince Hyomyeong), and Crown Prince Hyomyeong, who linked King Sunjo and King Heonjong, along with his wife Queen Shinjeong, were central to this celebration.
+
Many prominent figures participated in this banquet. King Heonjong, his concubine Gyeongbin Kim, Queen Sunwon (Consort to King Sunjo), Queen Shinjeong (Consort to Crown Prince Hyomyeong who linked King Sunjo and King Heonjong), were central to this celebration.
  
 
To commemorate the feast, items such as the Mushingjinchan Dobyeong (a screen depicting the banquet) and the Mushingjinchan Uigwe (the official record of the banquet) were created and are preserv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G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se items meticulously document the ceremonies and banquets of the time.
 
To commemorate the feast, items such as the Mushingjinchan Dobyeong (a screen depicting the banquet) and the Mushingjinchan Uigwe (the official record of the banquet) were created and are preserv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G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se items meticulously document the ceremonies and banquets of the time.

2024년 6월 2일 (일) 04:51 기준 최신판


Story Network Graph




Generative Storytelling

Korean Narrative

1848년, 조선 왕실에서는 두 명의 중요한 인물을 위한 특별한 잔치가 열렸습니다. 이는 순원왕후의 육순과 신정왕후의 망오를 축하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창경궁의 통명전과 창덕궁의 인정전은 이 뜻깊은 행사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통명전에서는 여러 연향이 진행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상호일 진별찬, 야진찬, 익일야연, 익일회작, 정일진찬과 인정전에서의 진하례가 특히 기록에 남아 있습니다. 이 행사들은 무신년 진찬, 즉 1848년 헌종 14년에 거행된 궁중연향의 일부였습니다.

창경궁과 창덕궁, 이 두 궁의 전각들은 조선시대 궁궐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상징하는 장소들입니다. 창경궁의 통명전은 대비전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전각이며, 창덕궁의 인정전은 조선후기 법궁인 창덕궁의 정전입니다.

이 행사에는 많은 중요 인물들이 참여했습니다. 헌종과 그의 후궁 경빈 김씨,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 그리고 순조와 헌종 사이의 연결고리였던 효명세자의 아내 신정왕후까지, 이들 모두가 이 잔치의 주역이었습니다.

이 잔치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무신진찬도병과 무신진찬의궤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들은 당시의 잔치와 의례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3D 모델과 사진첩, 그리고 3D 지도는 이 빼어난 궁궐의 전각들을 현대에도 생생하게 재현하여, 우리가 조선 왕실의 잔치를 더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다양한 자료들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며, 조선 왕실의 문화와 역사를 현대에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조선 왕실의 중요한 순간 중 하나를 기념하며, 당시의 사회, 문화, 예술을 오늘날까지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English Narrative

In 1848, the Joseon royal family hosted a special banquet to celebrate two significant figures: the 60th birthday of Queen Sunwon and the 41st birthday, or "Mang'o," of Queen Shinjeong. The settings for this momentous occasion were the Changgyeonggung Palace's Tongmyeongjeon Hall and the Changdeokgung Palace's Injeongjeon Hall.

Various festivities took place within Tongmyeongjeon, including the Sanghoil Jinbyeolchan (a special banquet), Yajinchan (a night feast), Ikilyayeon (a banquet on the following night), Ikilhuuijak (a gathering on the next day), and Jeongiljinchan (the main banquet day), along with the Jinhalrye ceremony held at Injeongjeon in Changdeokgung Palace. These events were part of the Mushingnyeon Jinchan, or the Royal Banquet of 1848 during Heonjong's 14th year of reign.

Changgyeonggung and Changdeokgung, along with their respective halls, represent the beauty and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s palatial architecture. Tongmyeongjeon in Changgyeonggung served primarily as a residence for the queen dowager, while Injeongjeon in Changdeokgung was the main hall of Changdeokgung, the Joseon dynasty's official palace.

Many prominent figures participated in this banquet. King Heonjong, his concubine Gyeongbin Kim, Queen Sunwon (Consort to King Sunjo), Queen Shinjeong (Consort to Crown Prince Hyomyeong who linked King Sunjo and King Heonjong), were central to this celebration.

To commemorate the feast, items such as the Mushingjinchan Dobyeong (a screen depicting the banquet) and the Mushingjinchan Uigwe (the official record of the banquet) were created and are preserv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G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se items meticulously document the ceremonies and banquets of the time.

Additionally, 3D models, photo albums, and 3D maps bring the splendor of these palatial halls to life for contemporary audiences, bridging the past and present, and serving as crucial conduits for transmitting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Joseon royal court to the modern era.

This story commemorates one of the royal family's significant moments, conveying the society, culture, and arts of the time to today's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