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tology:EKC 202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EKC 데이터 모델==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은 한국의 전통문화 속의 역사적 사실 관계 및 그 사실의 문헌적 근거에 관한 지식...)
 
(EKC 데이터 모델)
 
1번째 줄: 1번째 줄:
 
==EKC 데이터 모델==   
 
==EKC 데이터 모델==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은 한국의 전통문화 속의 역사적 사실 관계 및 그 사실의 문헌적 근거에 관한 지식을 데이터화 하기 위해 개발한 온톨로지 스키마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2016년에 처음 제정하였고([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KC_Data_Model-Draft_1.1 EKC 1.0/2016, EKC 1.1/2027]), 매년 유관 분야 연구를 통해 확장해 가고 있다.
+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은 한국의 전통문화 속의 역사적 사실 관계 및 그 사실의 문헌적 근거에 관한 지식을 데이터화 하기 위해 개발한 온톨로지 스키마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2016년에 처음 제정하였고([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KC_Data_Model-Draft_1.1 EKC 1.0/2016, EKC 1.1/2017]), 매년 유관 분야 연구를 통해 확장해 가고 있다.
  
 
==EKC 온톨로지(EKC Data Model) 운용 및 확장 프로세스==
 
==EKC 온톨로지(EKC Data Model) 운용 및 확장 프로세스==

2023년 6월 20일 (화) 15:37 기준 최신판

EKC 데이터 모델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은 한국의 전통문화 속의 역사적 사실 관계 및 그 사실의 문헌적 근거에 관한 지식을 데이터화 하기 위해 개발한 온톨로지 스키마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2016년에 처음 제정하였고(EKC 1.0/2016, EKC 1.1/2017), 매년 유관 분야 연구를 통해 확장해 가고 있다.

EKC 온톨로지(EKC Data Model) 운용 및 확장 프로세스

  • 연구팀은 새 프로젝트의 기초 연구자료와 스토리 주제가 선정된 시점에 그 프로젝트의 데이터 큐레션에 적용할 온톨로지 초안을 제정. (※ 기존의 EKC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되, 당해 연도의 기초 연구자료 처리에 필요한 신규 어휘를 추가)
  • 이 온톨로지에 입각하여 데이터 큐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온톨로지 어휘의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
  • 온톨로지 어휘의 관리를 담당하는 태스크 포스를 구성하여, 새로운 어휘 제정의 요구가 있을 때 이를 판단, 제정, 공시하는 일을 수행.

EKC 2022 Class 명세

온톨로지: Class

EKC 2022 Object Property (Relation) 명세

온톨로지: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