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3-00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
 +
#Links
 +
E3-006 크리스마스_씰-1932 hasContextualElement
 +
E3-006 크리스마스_씰-1938 hasContextualElement
 +
E3-006 셔우드_홀_크리스마스_씰 hasContextualElement
 +
E3-006 크리스마스_씰_최초_도안 hasContextualElement
 +
E3-006 셔우드_홀 hasContextualElement
 +
E3-006 해주구세요양원 hasContextualElement
 +
E3-006 숭례문 hasContextualElement
 +
E3-006 환구단_황궁우 hasContextualElement
 +
E3-006 이순신 hasContextualElement
 +
E3-006 조선총독부 hasContextualElement
 +
 +
#End
 +
-->
 
=''' 숭례문과_함께_조선의_상징이_된_황궁우'''=
 
=''' 숭례문과_함께_조선의_상징이_된_황궁우'''=
  
 
==Story==  
 
==Story==  
 
+
1938년도 크리스마스 실 도안에는 배경에 황궁우가 등장한다. 화면의 앞 중앙에 아이들 셋이 모여 제기를 찬다. 뒷 배경에 환구단의 황궁우가 웅장하게 자리잡고 있다. 김기창 화백의 작품이다. <ref>[http://dh.aks.ac.kr/~hanyang2/icon/%EB%AC%BC%ED%92%88/XmasSeal1938.png]</ref><br/> 셔우드 홀은 해주요양병원을 세워 결핵퇴치운동을 위해 노력하였던 인물로 유명하다. <ref>[셔우드 홀 지음, 김동열 옮김, 『닥터 홀의 조선회상』, 좋은 씨앗, 2009.]</ref><br/> 그는 1932년 병원의 운영 자금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크리스마스 실을 발행하였다. 그런데 크리스마스 실의 도안으로 거북선을 이용하려 하였다. 그 의도가 발각된 듯 일제의 검열에 걸렸다. 거북선을 사용하고 자 한 것은 결핵을 막겠다는 방비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거의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또 다른 뜻이 드러난다. 거북선이 막고자 한 것은 왜병이었기 때문이다. 그 대신 겨우 일제의 검열을 피할 수 있었던 최초의 도안은 숭례문이다. <ref>[http://dh.aks.ac.kr/~hanyang2/icon/물품/XmasSeal1934.png]</ref><br/> <ref>[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3945 신동규.「일제침략기 선교사 셔우드 홀(Sherwood Hall)과 크리스마스 씰(Christmas Seal)을 통해 본 한일관계에 대한 고찰」, 『한일관계사연구』 46, 한일관계사학회, 2013.]</ref><br/> 숭례문도 막는다는 것을 표상한다. 공격적인 거북선과는 달리 수세적이다. 하지만 이 문은 단순한 문이 아니었다. 문은 이미 조선왕조 이래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표상이었다. 그로부터 6년 후 바로 그 자리에 등장한 황궁우는 조선 왕조를 계승하여 살아남은 대한제국의 표상이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깊은 마음을 헤아린 것이다.<ref>[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0467 목수현. 「관광 대상과 문화재 사이에서-숭례문, 황궁우, 경회루를 통해 본 근대 ‘한국’ 표상 건축물의 위상-」, 『동아시아문화연구』59,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ref><br/>
1906년 4월 25일, [[경운궁중건도감]] 의궤당상 [[이재극|이재극(李載克)]]이 [[조선_고종|고종]]에게  “경운궁(慶運宮) [[대안문|대안문(大安門)]]의 수리를 음력 4월 12일로 길일(吉日)을 택하여 공사를 시작하겠습니다”라고 상주하였다. 이때 고종은 “대한문(大漢門)으로 고치되 아뢴 대로 거행하라”고 함으로써 덕수궁의 “대안문(大安門)”은 “[[대한문|대한문(大漢門)]]”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za_14304025_002 고종실록 43년 4월 25일: 경운궁의 대안문을 대한문으로 고치다]</ref><br/>
 
[[경운궁중건도감의궤|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의 [[대한문_상량문|대한문(大漢門) 상량문(上樑文)]]을 보면, “황하가 맑아지는 천재일우의 시운을 맞았으므로 국운이 길이 창대할 것이고, 한양(漢陽)이 억만년 이어갈 터전에 자리하였으니 문 이름으로 특별히 건다”고 하였다. <ref>[https://www.gogung.go.kr/ancientBooksView.do?bbsSeq=6157&bizDiv=2 대한문 상량문,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ref> [[대한문|대한문(大漢門)]]이라는 이름은 한양(漢陽)을 수도로 하여 새로 태어난 대한제국이 영원히 창대하라는 염원을 담은 것임을 알 수 있다.<ref>[http://www.deoksugung.go.kr/board/view?no=533&board_id=FAQ 대한문 명칭에 대하여, 덕수궁소식]</ref><br/>
 
그런데, 세간에는 일이 [[배정자|배정자(裵貞子)]]라는 [[이토_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의 내연녀와 관련이 있다는 속설이 돌았다.<br/>
 
일제강점기 대중잡지인 [[별건곤|『별건곤』]] 제33집(1933년 7월 1일자)에서  ‘문외한’이란 가명의 필자는 ‘대한문’ 관련 일화를 이렇게 소개했다: “원래 대안문(大安門)이었는데, 안(安)자가 계집 녀(女) 자에 갓쓴 글자이고 양장하고 모자 쓴 여자인 [[배정자]]의 대궐 출입이 빈번해서 ‘상서롭지 못하다’는 말쟁이의 말로 인해 대한문으로 고쳤다.<ref>[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004080900001 이기환, "갓 쓴 여자 재수없어"…덕수궁 대안문이 대한문 된 사연, 경향신문 2020-04-08]</ref><br/>
 
배정자는 1870년 경남 김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배지홍]]이 실각한 [[흥선대원군_이하응|흥선대원군]]의 추종세력이란 이유로 처형당한 후 1885년에 일본으로 보내졌다. 1887년 [[김옥균]]의 소개로 [[이토_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를 만나게 되었고, 조선으로 돌아와서는 일본의 특급 스파이 역할을 하였다고 전한다.<br/>
 
배정자 이외에도 러시아공사 [[카를_베베르|베베르]]의 부인과 그의 언니 [[앙트와네트_손탁|앙트와네트 손탁]]도 이 시절 대안문을 자주 드나들던, 모자 쓴 양장의 여인들이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8번째 줄: 37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황궁우]] || [[환구단]]  || [[isDerivativeOf]]  || 부속건물 ||
+
| [[E3-006]] || [[크리스마스 실]]  || [[isRelatedTo]]  ||   ||
 +
|-
 +
| [[E3-006]] || [[셔우드 홀]] || [[isRelatedTo]] ||  ||
 +
|-
 +
| [[E3-006]] || [[거북선]] || [[isRelatedTo]] ||  ||
 +
|-
 +
| [[E3-006]] || [[남대문]]  || [[isRelatedTo]]  ||    ||
 +
|-
 +
| [[E3-006]] || [[환구단_황궁우]] || [[isRelatedTo]] ||  ||
 +
|-
 +
| [[E3-006]] || [[이순신]] || [[isRelatedTo]] ||  ||
 
|-
 
|-
| [[황궁우]] || [[크리스마스 실]] || [[isUsedIn ]] ||도안 배경 ||
+
| [[E3-006]] || [[조선총독부]] || [[isRelatedTo]] ||   ||
 
|-
 
|-
| [[김기창]] || [[황궁우]] || [[depicts]] ||크리스마스 실 ||
+
| [[E3-006]] || [[해주요양병원]] || [[isRelatedTo]] ||   ||
 
|-
 
|-
 
|}
 
|}
41번째 줄: 60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환구단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617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환구단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617
47번째 줄: 66번째 줄:
 
| 해설 || 위키백과 || 황궁우 ||  || https://ko.wikipedia.org/wiki/황궁우
 
| 해설 || 위키백과 || 황궁우 ||  || https://ko.wikipedia.org/wiki/황궁우
 
|-
 
|-
| 참고 || 두산백과 || 황충위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28668
+
| 참고 || 두산백과 || 황궁우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28668
 
|-  
 
|-  
 
|}
 
|}
56번째 줄: 75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목수현. 「관광 대상과 문화재 사이에서-숭례문, 황궁우, 경회루를 통해 본 근대 ‘한국’ 표상 건축물의 위상-」, 『동아시아문화연구』59,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0467
 
| 논문 || 목수현. 「관광 대상과 문화재 사이에서-숭례문, 황궁우, 경회루를 통해 본 근대 ‘한국’ 표상 건축물의 위상-」, 『동아시아문화연구』59,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0467
|-
 
 
|-
 
|-
 
| 논문 || 신동규.「일제침략기 선교사 셔우드 홀(Sherwood Hall)과 크리스마스 씰(Christmas Seal)을 통해 본 한일관계에 대한 고찰」, 『한일관계사연구』46, 한일관계사학회, 2013. ||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3945
 
| 논문 || 신동규.「일제침략기 선교사 셔우드 홀(Sherwood Hall)과 크리스마스 씰(Christmas Seal)을 통해 본 한일관계에 대한 고찰」, 『한일관계사연구』46, 한일관계사학회, 2013. ||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3945
83번째 줄: 10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Semantic Network Graph==
+
==Story Network Graph==
  
<html>
+
{{StoryGraph | key=E3-006}}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3-006"></iframe><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3-006'">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ctor]] [[분류:김혁]]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ctor]] [[분류:김혁]]

2023년 5월 11일 (목) 01:19 기준 최신판

숭례문과_함께_조선의_상징이_된_황궁우

Story

1938년도 크리스마스 실 도안에는 배경에 황궁우가 등장한다. 화면의 앞 중앙에 아이들 셋이 모여 제기를 찬다. 뒷 배경에 환구단의 황궁우가 웅장하게 자리잡고 있다. 김기창 화백의 작품이다. [1]
셔우드 홀은 해주요양병원을 세워 결핵퇴치운동을 위해 노력하였던 인물로 유명하다. [2]
그는 1932년 병원의 운영 자금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크리스마스 실을 발행하였다. 그런데 크리스마스 실의 도안으로 거북선을 이용하려 하였다. 그 의도가 발각된 듯 일제의 검열에 걸렸다. 거북선을 사용하고 자 한 것은 결핵을 막겠다는 방비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거의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또 다른 뜻이 드러난다. 거북선이 막고자 한 것은 왜병이었기 때문이다. 그 대신 겨우 일제의 검열을 피할 수 있었던 최초의 도안은 숭례문이다. [3]
[4]
숭례문도 막는다는 것을 표상한다. 공격적인 거북선과는 달리 수세적이다. 하지만 이 문은 단순한 문이 아니었다. 이 문은 이미 조선왕조 이래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표상이었다. 그로부터 6년 후 바로 그 자리에 등장한 황궁우는 조선 왕조를 계승하여 살아남은 대한제국의 표상이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깊은 마음을 헤아린 것이다.[5]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3-006 Story Episode 숭례문과 함께 조선(朝鮮)의 상징(象徴)이 된 황궁우(皇穹宇) 숭례문과 함께 조선의 상징이 된 황궁우 崇禮門과 함께 朝鮮의 象徵이 된 皇穹宇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3-006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3-006 크리스마스 실 isRelatedTo
E3-006 셔우드 홀 isRelatedTo
E3-006 거북선 isRelatedTo
E3-006 남대문 isRelatedTo
E3-006 환구단_황궁우 isRelatedTo
E3-006 이순신 isRelatedTo
E3-006 조선총독부 isRelatedTo
E3-006 해주요양병원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환구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617
해설 위키백과 황궁우 https://ko.wikipedia.org/wiki/황궁우
참고 두산백과 황궁우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28668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목수현. 「관광 대상과 문화재 사이에서-숭례문, 황궁우, 경회루를 통해 본 근대 ‘한국’ 표상 건축물의 위상-」, 『동아시아문화연구』59,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0467
논문 신동규.「일제침략기 선교사 셔우드 홀(Sherwood Hall)과 크리스마스 씰(Christmas Seal)을 통해 본 한일관계에 대한 고찰」, 『한일관계사연구』46, 한일관계사학회, 2013.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3945
논문 박희용. 「대한제국의 상징적 공간표상, 원구단」, 『서울학연구』 40,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69328
논문 심승구. 「제1차 세계대전과 식민공간의 재편 - 원구단과 조선철도호텔을 중심으로 -」, 『한국학논총』 42, 국민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08024
논문 정수인. 「대한제국시기 원구단의 원형복원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27,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62362
논문 목수현. 「대한제국의 원구단 : 전통적 상징과 근대적 상징의 교차점」, 『미술사와 시각문화』4,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5.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25996
논문 오병우, 박애숙. 「사타 이네코(佐多稻子)의 조선인상」, 『일본어문학』 32, 일본어문학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0133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1]
  2. [셔우드 홀 지음, 김동열 옮김, 『닥터 홀의 조선회상』, 좋은 씨앗, 2009.]
  3. [2]
  4. 신동규.「일제침략기 선교사 셔우드 홀(Sherwood Hall)과 크리스마스 씰(Christmas Seal)을 통해 본 한일관계에 대한 고찰」, 『한일관계사연구』 46, 한일관계사학회, 2013.
  5.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0467 목수현. 「관광 대상과 문화재 사이에서-숭례문, 황궁우, 경회루를 통해 본 근대 ‘한국’ 표상 건축물의 위상-」, 『동아시아문화연구』59,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