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진찬도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Semantic Network Graph)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순조기축진찬도병》 8첩은 익일회작 때 효명세자가 써서 내린 예제시와 진찬소 당랑·장악원 제거·사옹원 제거의 차운시, 〈명정전외진찬도〉, 〈자경전내진찬도〉, 진찬소 당랑의 좌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첩이 효명세자의 예제연구(睿製聯句)인 점은 이 진찬의 중심에 있던 효명세자의 위상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4좌의 진찬도병은 행사 후 석달 보름만인 1829년 5월 25일에 진상되었다. | |
− | + | ||
− | + | 1829년 기축진찬은 50여 년 만에 외연이 설행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9세기 도병에서 외연을 볼 수 있는 것은 이 도병이 유일하며 그 후에는 대한제국기 때인 1901년과 1902년의 진연도병에가서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
+ | |||
+ | 전내(殿內)는 순조와 왕세자의 자리가 있는 공간이다. 보탑(寶榻), 양 옆의 선·시위(扇·侍衛), 향좌아(香座兒) 옆의 보검(寶劍), 당가 아래 동·서의 별운검(別雲劍) 두 명과 별군직(別軍職) 열 명, 동쪽의 별운검과 같이 선 병조판서, 서쪽의 순조의 궁시를 반들고 선 중관[奉御弓矢中官], 찬안과 진작위, 부복한 승지와 사관, 보안(寶案), 왕세자 시연위(侍宴位)와 그 뒤의 춘방관(春坊官) 등의 위치와 표현은 의주와 문자로 된 명정전진찬반차도와 정확하게 부합한다. 위차에 따라 엄격하게 구분된 시연위 근처에는 그들이 마실 술항아리도 구별되어 있다. 왕의 수주정(壽酒亭)과 이를 관리하는 사옹제조(司饔提調), 왕세자의 주정(酒亭)과 사옹 부제조, 동서반 2품 이상의 주탁(酒卓)과 차비관, 3품 이하 당하관의 주탁과 차비관도 명확하게 그려져 있다. | ||
+ | |||
+ | 1829년 자경전진찬에 순원왕후는 참석하지 못했다. 1828년 8월 모친상을 당했기 때문에 처소에서 찬안(饌案)만 진헌받았으며 자경전에는 순조만이 참석하였다. 커다란 백목대차일(白木大遮日)이 설치된 자경전에는 대주렴(大朱簾)과 홍주겹휘장[紅紬甲帳]으로 실내를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32번째 줄: | 36번째 줄: | ||
| [[기축진찬도병]] || [[기축년진찬]] || [[depicts]] || || | | [[기축진찬도병]] || [[기축년진찬]] || [[depicts]] || || | ||
|- | |- | ||
− | | [[ | + | | [[기축진찬의궤:1829]] || [[기축년진찬]] || [[documents]] || || |
|- | |- | ||
− | | [[조선_순조]] || [[ | + | | [[조선_순조]] || [[기축년진찬]] || [[participatesIn]] || || |
|- | |- | ||
− | | [[효명세자]] || [[ | + | | [[효명세자]] || [[기축년진찬]] || [[participatesIn]] || || |
|- | |- | ||
− | | [[]] || [[]] || [[]] || || | + | | [[창경궁_명정전]] || [[기축년외진찬]] || [[isPerformedAt]] || || |
|- | |- | ||
− | | [[]] || [[]] || [[]] || || | + | | [[창경궁_자경전]] || [[기축년내진찬]] || [[isPerformedAt]]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번째 줄: | 63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사진 || e뮤지엄 || 기축년의 궁중 잔치 || | + | | 사진 || e뮤지엄 || 기축년의 궁중 잔치 || 소장품번호 : 근대 230 || https://www.emuseum.go.kr/imageview/PS0100100101500023000000 |
+ | |- | ||
+ | | 사진 || e뮤지엄 || 기축년의 궁중 잔치 || 소장품번호 : 덕수 1665 || https://www.emuseum.go.kr/imageview/PS0100100100500166500000 | ||
|- | |- | ||
|} | |} | ||
69번째 줄: | 75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국립중앙박물관:2009:순조헌종년간궁중연향의기록의궤와도병 || 도록 || 박정혜,「순조·헌종년간 궁중연향의 기록: 의궤와 도병」, 『잔치 풍경 -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5877 | ||
|- | |- | ||
| KCI:ART002374664 || 논문 || 유재빈, 「19세기 왕실 잔치의 기록과 정치 - 효명세자와 《己丑進饌圖》(1829)를 중심으로.」,『 미술사학』 36,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4664 | | KCI:ART002374664 || 논문 || 유재빈, 「19세기 왕실 잔치의 기록과 정치 - 효명세자와 《己丑進饌圖》(1829)를 중심으로.」,『 미술사학』 36,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4664 | ||
84번째 줄: | 92번째 줄: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 | {{SemanticGraph | key= | + | {{SemanticGraph | key=기축진찬도병}}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Object]] [[분류:2022:구현회]]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Object]] [[분류:2022:구현회]] |
2022년 12월 30일 (금) 21:21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순조기축진찬도병》 8첩은 익일회작 때 효명세자가 써서 내린 예제시와 진찬소 당랑·장악원 제거·사옹원 제거의 차운시, 〈명정전외진찬도〉, 〈자경전내진찬도〉, 진찬소 당랑의 좌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첩이 효명세자의 예제연구(睿製聯句)인 점은 이 진찬의 중심에 있던 효명세자의 위상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4좌의 진찬도병은 행사 후 석달 보름만인 1829년 5월 25일에 진상되었다.
1829년 기축진찬은 50여 년 만에 외연이 설행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9세기 도병에서 외연을 볼 수 있는 것은 이 도병이 유일하며 그 후에는 대한제국기 때인 1901년과 1902년의 진연도병에가서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전내(殿內)는 순조와 왕세자의 자리가 있는 공간이다. 보탑(寶榻), 양 옆의 선·시위(扇·侍衛), 향좌아(香座兒) 옆의 보검(寶劍), 당가 아래 동·서의 별운검(別雲劍) 두 명과 별군직(別軍職) 열 명, 동쪽의 별운검과 같이 선 병조판서, 서쪽의 순조의 궁시를 반들고 선 중관[奉御弓矢中官], 찬안과 진작위, 부복한 승지와 사관, 보안(寶案), 왕세자 시연위(侍宴位)와 그 뒤의 춘방관(春坊官) 등의 위치와 표현은 의주와 문자로 된 명정전진찬반차도와 정확하게 부합한다. 위차에 따라 엄격하게 구분된 시연위 근처에는 그들이 마실 술항아리도 구별되어 있다. 왕의 수주정(壽酒亭)과 이를 관리하는 사옹제조(司饔提調), 왕세자의 주정(酒亭)과 사옹 부제조, 동서반 2품 이상의 주탁(酒卓)과 차비관, 3품 이하 당하관의 주탁과 차비관도 명확하게 그려져 있다.
1829년 자경전진찬에 순원왕후는 참석하지 못했다. 1828년 8월 모친상을 당했기 때문에 처소에서 찬안(饌案)만 진헌받았으며 자경전에는 순조만이 참석하였다. 커다란 백목대차일(白木大遮日)이 설치된 자경전에는 대주렴(大朱簾)과 홍주겹휘장[紅紬甲帳]으로 실내를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기축진찬도병 | Object | 그림 | 궁중기록화 | 기축진찬도병(己丑進饌圖屛) | 기축진찬도병 | 己丑進饌圖屛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기축진찬도병 | 2022:구현회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기축진찬도병 | 기축년진찬 | depicts | ||
기축진찬의궤:1829 | 기축년진찬 | documents | ||
조선_순조 | 기축년진찬 | participatesIn | ||
효명세자 | 기축년진찬 | participatesIn | ||
창경궁_명정전 | 기축년외진찬 | isPerformedAt | ||
창경궁_자경전 | 기축년내진찬 | isPerformedAt | ||
[[]] | [[]] |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사진 | e뮤지엄 | 기축년의 궁중 잔치 | 소장품번호 : 근대 230 | https://www.emuseum.go.kr/imageview/PS0100100101500023000000 |
사진 | e뮤지엄 | 기축년의 궁중 잔치 | 소장품번호 : 덕수 1665 | https://www.emuseum.go.kr/imageview/PS0100100100500166500000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국립중앙박물관:2009:순조헌종년간궁중연향의기록의궤와도병 | 도록 | 박정혜,「순조·헌종년간 궁중연향의 기록: 의궤와 도병」, 『잔치 풍경 -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5877 |
KCI:ART002374664 | 논문 | 유재빈, 「19세기 왕실 잔치의 기록과 정치 - 효명세자와 《己丑進饌圖》(1829)를 중심으로.」,『 미술사학』 36,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4664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