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직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bliography) |
|||
79번째 줄: | 79번째 줄: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ISBN9788970927695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창녕성씨 성급 부부 합장묘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21. ||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763807241&viewType=AH1 | + | | ISBN9788970927695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창녕성씨 성급 부부 합장묘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21. ||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763807241&viewType=AH1 |
|- | |- | ||
| ISBN:9788970924199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 공 묘 출토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1673266 | | ISBN:9788970924199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 공 묘 출토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1673266 |
2022년 12월 29일 (목) 18:40 판
목차
Definition
직령(直領)은 '곧은 깃'을 의미하기도 하고, 일반 백성부터 왕까지 두루 착용한 포(袍)를 말하기도 한다. 직령의 형태는 단령(團領)이나 답호(褡穫)와 유사한데, 옷깃이 곧은 깃인 점만 단령과 다르며, 소매가 긴 점만 답호와 다르다. 무의 형태 변화는 단령이나 답호와 거의 같은 양식으로 변화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소매가 좁고 옷깃이 좁은 목판깃이고, 무는 여러번 접은 형태이며 옆이 트였다. 조선 중기에는 옷깃은 칼깃이고 소매가 넓어졌고, 무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사다리꼴로 접은 형태로 바뀌었다.[1]
+ '무'는 17세기 초중반 20~30년대까지는 존재했었다는 언급을 해주기.(신경유, 성급의 예)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17세기_직령 | Clothing | 복식 | 옷 | 17세기 직령(直領) | 17세기 직령 | 直領 | 17th Century Jing-nyeong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7세기_직령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17세기_직령 | 3D-17세기_직령 | isShownBy | ||
3D-17세기_직령 | 17세기_직령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단국대학교 > 커뮤니티 > DKU News ☞ “조선 중기 양반 가문 장례 한눈에” 석주선기념박물관, 출토 복식 특별전 열어(2021.05.21.)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성급(1553-1621) 묘 출토 직령 크기(㎝): 길이 135.5, 화장 115.5, 품 58, 진동 27, 배래 37.5, 수구 17.5 재료: 명주(Silk) 색상: 푸른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유물사진은 형태 참고용이다. 3D의 색상과 질감은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새로운 것으로 표현한다. 3D 제작시 허리띠는 제외한다. |
|
김현승 일러스트: 앞·뒷모습 도식화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 상세 사이즈(㎝) 길이: 135.5 화장: 115.5 품: 58 진동: 27 소매 너비: 37.5 수구: 17.5 고대: 18.5 깃너비: 11.5 겨드랑이 밑길이: 2 앞무 너비 (위) 14.5 / (아래) 16.5 앞무 길이 (안) 103.5 / (밖) 112 뒷무 너비 (위) 12.5 / (아래) 14.5 뒷무 길이 (안) 103.5 / (밖) 110 고름: 너비 2 / 길이 31 ※ 설명: 홑옷으로 겉과 안의 색상이 같다. 소매는 진동에서 사선형으로 커지다가 소매 끝에서 둥글어지는 두리소매형이다. ‘수구’는 손이 빠져나오는 소매구멍을 말한다. 수구 아래는 막혀 있다. ‘무’는 겨드랑이 밑으로 2㎝ 내려와서 옆선의 앞뒤좌우측에 달리며, 위가 뾰족하고 길이가 길다. 앞무가 뒷무보다 너비와 길이가 각각 2㎝씩 크다. 앞무와 뒷무는 상부에서 서로 떨어져 있어 아래로 옆자락이 트여 있다. 무는 옆으로 뻗은 형태를 유지한다. 유물사진과 도식화에는 ‘고름’이 없다. 3D 제작시에는 달아준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창녕성씨 성급부부 합장묘 출토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21.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펼친모습 도식 | |
김현승 일러스트: 무 접는 방법 도식화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겨드랑이 아래쪽 옆선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무는 긴 사다리꼴 윗부분을 삼각 형태로 2번에 걸쳐 접어주고, 폭을 반으로 접어주어 진동점(겨드랑이 부분)에서 위쪽으로 뻗은 형태를 완성한다. 그림은 한쪽의 무만 그 진행 과정을 보인 것이고, 앞, 뒤, 좌, 우에 달린 무가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 ‘무’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다. |
|
Google Arts & Culture ☞ 김확(1572-1633) 단령 재현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김확(1572-1633) 단령 재현품 고름 부분 고름은 64×2㎝ 크기의 끈 두 개로 이루어진다. 한복 저고리 고름 매듯이 외고름으로 매어준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석주선기념박물관, SADI를 만나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8.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 신경유(1581-1633) 직령 재현품: 이 사진은 비슷한 사이즈와 형태로 재현한 옷을 입고 있는 모습이다. 3D로 만들 옷과 완전히 동일하진 않으나, 대략적인 실루엣을 참고할 수 있다. ※ 신경유(1581-1633) 창의 재현품: 3D 마네킹에 착장시, 소매는 접지 말고 사진처럼 긴 형태 그대로 내린 모습으로 제작한다. |
|
네이버 > 블로그 ☞ 한복원단 가격이 왜 달라질까요(2016.03.18.)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색상·질감 후보 | |
경주엑스포대공원 > 커뮤니티 > 포토갤러리 ☞ 천연 염색 안동삼베 한복 패션쇼 - 천연염색 전통문화와 규방공예문화를 만나요(2017.11.27.) | 3D-17세기_직령 | references | 색상·질감 후보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직령(直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492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직령(直領)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92 | |
해설 | 두산백과 | 직령[直領]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6120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직령의(直領衣)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직령의(直領衣) | |
해설 | AKS Encyves | 직령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직령 | |
참고 | 단국대학교 > 커뮤니티 > DKU News | “조선 중기 양반 가문 장례 한눈에” 석주선기념박물관, 출토 복식 특별전 열어(2021.05.21.) | https://www.dankook.ac.kr/web/kor/-550?p_p_id=Bbs_WAR_bbsportlet&_Bbs_WAR_bbsportlet_action=view_message&_Bbs_WAR_bbsportlet_messageId=738834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70927695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창녕성씨 성급 부부 합장묘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21.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763807241&viewType=AH1 | |
ISBN:9788970924199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 공 묘 출토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1673266 |
KCI:ART002722055 | 논문 | 이명은, 「창녕성씨 성급 묘 출토복식 고찰」, 『한국복식』 4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22055 |
RISS:A106869901 | 논문 | 박성실, 「경기도 광주 출토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 복식 고찰」,『한국복식』 2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8.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6869901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