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2-R4-0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Story)
(StoryData Ontology Specifica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
 
#Links
 
#Links
 +
S2022-R4-03    E2022-R4-03A hasPart
 +
S2022-R4-03    E2022-R4-03B hasPart
 +
S2022-R4-03    E2022-R4-03C hasPart
 +
S2022-R4-03    E2022-R4-03D hasPart
  
 +
#End
 
-->
 
-->
  
7번째 줄: 12번째 줄:
  
 
==Story==
 
==Story==
관왕묘(關王廟)는 중국 촉나라 장수 관우(關羽)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명(明)나라의 영향으로 한양 내에 생기기 시작한 관왕묘(關王廟)는 '동묘(東廟)'라는 문화재로 남아 현재에도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성리학과 관련이 없는 외국의 신앙과 위인을 기리는 묘당을 설치하고 유지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조선의 왕과 신하들 사이에서도 많은 갑론을박이 있었다.
+
문묘(文廟)는 문선왕(文宣王), 즉 공자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의 유교 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하였던 성균관 내 사당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문(文)의 성격을 대표하는 장소이다. 그렇다면 무묘(武廟), 무(武)를 상징하는 사당은 무엇일까. 조선에서 무묘(務廟)의 역할을 하였던 것은 관우(關羽)를 모신 관왕묘(關王廟)였다.
+
관왕묘(關王廟)가 조선땅에 생겨난 것은 선조 대의 임진왜란 당시였지만, 사실 무묘(武廟)에 대한 논의는 세종 대에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 권51 세종 13년 3월 17일의 기사'''<ref>https://sillok.history.go.kr/id/kda_11303017_003 </ref>를 살펴보면 박아생(朴芽生)이라는 신하가 무묘도(武廟圖)를 바치며 훈련관(訓鍊觀) 북쪽에 무묘(武廟)를 세우자고 제안하였다는 내용이 확인된다. 세종은 이 안건을 가지고 집현전과 함께 재논의를 거쳤으나, "문(文)과 무(武)는 애초에 분리되는 것이 아닌 함께 다루어져야 할 덕목이다." 또는 "무성왕묘(武成王廟), 즉 무묘(武廟)를 따로 세운다면 문선왕(공자)은 문(文)을 전업으로 하고 무성왕(강태공)은 무(武)를 전업으로 한 것이 되기 때문에 이는 문무를 하나로 보는 상도에 어긋난다." 라는 왕과 신하의 의견이 일치하여 무묘(武廟)의 설치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임진왜란 이후 어떤 조선의 왕들은 관왕묘(關王廟)에 대해 중요시하였고, 어떤 왕들은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였을까. 한양의 관왕묘(關王廟)에 얽힌 이야기들과 조선에서의 위상의 변화양상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유추해볼 수 있을까.
+
이를 통해서 본래의 무묘(武廟)는 관우(關羽)가 아닌 무성왕(武成王), 곧 강태공(姜太公)을 모시는 사당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조선에서는 관우(關羽)를 모신 관왕묘(關王廟)가 무묘(武廟)의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 유추가 가능하다.
 +
 
 +
결국 관왕묘(關王廟)는 중국 촉나라 장수 관우(關羽)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며,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명(明)나라의 영향으로 한성 내에 생기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에 위치하고있는 '동묘(東廟)'라는 문화재로 남아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묘의 정전 안에 있는 현판과 편액들 중에서는 조선의 국왕들이 직접 하사한 것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실록의 기사를 통해서도 어떤 왕들이 동관왕묘에 많은 관심을 가졌는지를 엿볼 수 있다.
 +
 
 +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성리학과 관련이 없는 외국의 신앙과 위인을 기리는 묘당을 설치하고 유지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조선의 왕과 신하들 사이에서도 많은 갑론을박이 있었다.  
 +
 
 +
그렇다면 조선의 무묘(武廟)는 어쩌다가 관왕묘(關王廟)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어떤 조선의 왕들이 관왕묘(關王廟)를 중요하게 여겼을까.  
 +
그리고 서울의 관왕묘(關王廟)에 얽힌 이야기들과 조선에서의 위상의 변화양상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유추해볼 수 있을까.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6번째 줄: 28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width:98%"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S2022-R4-03]] || Story || Storyline ||  ||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4-03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toryline.png"/></html>  
+
| [[S2022-R4-03]] || Story || Storyline ||  ||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4-03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toryline.png"/></html> || 2022:윤종훈
 
|-
 
|-
 
|}
 
|}
29번째 줄: 4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S2022-R4-03]] || [[]] || [[hasPart]] || ||  
+
| [[S2022-R4-03]] || [[E2022-R4-03A]] || [[hasPart]] || ||  
 
|-
 
|-
| [[]] || [[]] || [[isPreviousInSequenceTo]] || ||  
+
| [[S2022-R4-03]] || [[E2022-R4-03B]] || [[hasPart]] || ||
 +
|-
 +
| [[S2022-R4-03]] || [[E2022-R4-03C]] || [[hasPart]] || ||
 +
|-
 +
| [[S2022-R4-03]] || [[E2022-R4-03D]] || [[hasPart]] || ||
 +
|-
 +
| [[E2022-R4-03A]] || [[E2022-R4-03B]] || [[isPreviousInSequenceTo]] || ||
 +
|-
 +
| [[E2022-R4-03B]] || [[E2022-R4-03C]] || [[isPreviousInSequenceTo]] || ||
 +
|-
 +
| [[E2022-R4-03C]] || [[E2022-R4-03D]] || [[isPreviousInSequenceTo]] || ||  
 
|-
 
|-
 
|}
 
|}
  
 
* [[Ontology:EKC 2022:Relation]]
 
* [[Ontology:EKC 2022:Relation]]
 +
 +
===StoryData Ontology Specification===
 +
{| class="wikitable"
 +
! 분류 !! 항목 !! 설명
 +
|-
 +
| Class || Actor || 역사적인 인물. 집단적 행위 주체로서의 단체, 운영주체로서의 기관
 +
|-
 +
| Class || Architecture || 한양도성 건조물 및 주변의 유관한 건축/조형물
 +
|-
 +
| Class || Event || 한양도성에서 일어난 사건, 궁중 의례 및 이를 재현하는 행사, 기념제
 +
|-
 +
| Class || Object || 각종 의례/행사의 도구, 그 시대의 문화를 보이는 물품들
 +
|-
 +
| Class || Place || 역사적 배경(사건, 인물)과 관련이 있는 장소. 유물의 소장처
 +
|-
 +
| Class || Record || 문헌, 사진, 도면, 금석문 등 지식 데이터의 원천 자료가 되는 기록물
 +
|-
 +
| Class  || Story || 데이터 노드 발굴의 배경이 된 역사적 지식에 대한 서술
 +
|-
 +
| Class || Text || 설명의 증거 기능을 하는 문헌상의 텍스트
 +
|-
 +
| Relation || creator || 현판 또는 편액과 창작자를 연결하는 관계어
 +
|-
 +
| Relation || formerLocation || 물품(현판 또는 편액)과 현재 위치 이전에 위치하던 장소를 연결하는 관계어
 +
|-
 +
| Relation || founder || 장소(관왕묘)와 그것을 건립했던 인물(왕)을 연결하는 관계어
 +
|-
 +
| Relation || hasContextualElement || 스토리와 스토리를 세부 에피소드로서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hasPart || 상위요소와 그 아래에 속하는 하위요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isEnshrinedIn || 장소(관왕묘)와 그 장소에 제향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isLocatedIn || 물품(현판 또는 편액)이나 유물과 그것들이 존재하고 있는 현재 장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isMentionedIn || 기록 또는 문헌과 그것에 언급된 요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isRelatedto || 관련있는 요소와 다른 요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leads || 특정 사건(관왕묘 건립 등)과 그 사건을 주도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publisher || 기록 또는 문헌과 그것을 편찬/출판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Relation || textReference || 특정 사건 및 요소와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하는 문헌기록의 텍스트를 연결해주는 과계어
 +
|-
 +
| Relation || writer || 금석문(비석)에 쓰여진 글과 그 글을 작성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
|}
 +
 +
==TimeLine==
 +
<html>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koOHulOtYFVPZHjonsri3U0sXIXHoNT45QGJntJNby8&font=Default&lang=en&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html>
 +
  
 
==Web Resource==
 
==Web Resource==

2022년 12월 24일 (토) 05:08 기준 최신판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Story

문묘(文廟)는 문선왕(文宣王), 즉 공자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의 유교 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하였던 성균관 내 사당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문(文)의 성격을 대표하는 장소이다. 그렇다면 무묘(武廟), 무(武)를 상징하는 사당은 무엇일까. 조선에서 무묘(務廟)의 역할을 하였던 것은 관우(關羽)를 모신 관왕묘(關王廟)였다. 관왕묘(關王廟)가 조선땅에 생겨난 것은 선조 대의 임진왜란 당시였지만, 사실 무묘(武廟)에 대한 논의는 세종 대에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 권51 세종 13년 3월 17일의 기사[1]를 살펴보면 박아생(朴芽生)이라는 신하가 무묘도(武廟圖)를 바치며 훈련관(訓鍊觀) 북쪽에 무묘(武廟)를 세우자고 제안하였다는 내용이 확인된다. 세종은 이 안건을 가지고 집현전과 함께 재논의를 거쳤으나, "문(文)과 무(武)는 애초에 분리되는 것이 아닌 함께 다루어져야 할 덕목이다." 또는 "무성왕묘(武成王廟), 즉 무묘(武廟)를 따로 세운다면 문선왕(공자)은 문(文)을 전업으로 하고 무성왕(강태공)은 무(武)를 전업으로 한 것이 되기 때문에 이는 문무를 하나로 보는 상도에 어긋난다." 라는 왕과 신하의 의견이 일치하여 무묘(武廟)의 설치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서 본래의 무묘(武廟)는 관우(關羽)가 아닌 무성왕(武成王), 곧 강태공(姜太公)을 모시는 사당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조선에서는 관우(關羽)를 모신 관왕묘(關王廟)가 무묘(武廟)의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 유추가 가능하다.

결국 관왕묘(關王廟)는 중국 촉나라 장수 관우(關羽)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며,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명(明)나라의 영향으로 한성 내에 생기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에 위치하고있는 '동묘(東廟)'라는 문화재로 남아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묘의 정전 안에 있는 현판과 편액들 중에서는 조선의 국왕들이 직접 하사한 것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실록의 기사를 통해서도 어떤 왕들이 동관왕묘에 많은 관심을 가졌는지를 엿볼 수 있다.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성리학과 관련이 없는 외국의 신앙과 위인을 기리는 묘당을 설치하고 유지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조선의 왕과 신하들 사이에서도 많은 갑론을박이 있었다.

그렇다면 조선의 무묘(武廟)는 어쩌다가 관왕묘(關王廟)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어떤 조선의 왕들이 관왕묘(關王廟)를 중요하게 여겼을까. 그리고 서울의 관왕묘(關王廟)에 얽힌 이야기들과 조선에서의 위상의 변화양상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유추해볼 수 있을까.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S2022-R4-03 Story Storyline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4-03 2022:윤종훈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S2022-R4-03 E2022-R4-03A hasPart
S2022-R4-03 E2022-R4-03B hasPart
S2022-R4-03 E2022-R4-03C hasPart
S2022-R4-03 E2022-R4-03D hasPart
E2022-R4-03A E2022-R4-03B isPreviousInSequenceTo
E2022-R4-03B E2022-R4-03C isPreviousInSequenceTo
E2022-R4-03C E2022-R4-03D isPreviousInSequenceTo

StoryData Ontology Specification

분류 항목 설명
Class Actor 역사적인 인물. 집단적 행위 주체로서의 단체, 운영주체로서의 기관
Class Architecture 한양도성 건조물 및 주변의 유관한 건축/조형물
Class Event 한양도성에서 일어난 사건, 궁중 의례 및 이를 재현하는 행사, 기념제
Class Object 각종 의례/행사의 도구, 그 시대의 문화를 보이는 물품들
Class Place 역사적 배경(사건, 인물)과 관련이 있는 장소. 유물의 소장처
Class Record 문헌, 사진, 도면, 금석문 등 지식 데이터의 원천 자료가 되는 기록물
Class Story 데이터 노드 발굴의 배경이 된 역사적 지식에 대한 서술
Class Text 설명의 증거 기능을 하는 문헌상의 텍스트
Relation creator 현판 또는 편액과 창작자를 연결하는 관계어
Relation formerLocation 물품(현판 또는 편액)과 현재 위치 이전에 위치하던 장소를 연결하는 관계어
Relation founder 장소(관왕묘)와 그것을 건립했던 인물(왕)을 연결하는 관계어
Relation hasContextualElement 스토리와 스토리를 세부 에피소드로서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hasPart 상위요소와 그 아래에 속하는 하위요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isEnshrinedIn 장소(관왕묘)와 그 장소에 제향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isLocatedIn 물품(현판 또는 편액)이나 유물과 그것들이 존재하고 있는 현재 장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isMentionedIn 기록 또는 문헌과 그것에 언급된 요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isRelatedto 관련있는 요소와 다른 요소를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leads 특정 사건(관왕묘 건립 등)과 그 사건을 주도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publisher 기록 또는 문헌과 그것을 편찬/출판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Relation textReference 특정 사건 및 요소와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하는 문헌기록의 텍스트를 연결해주는 과계어
Relation writer 금석문(비석)에 쓰여진 글과 그 글을 작성한 인물을 연결해주는 관계어

TimeLine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왕묘(關王廟)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948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



Digital Storytelling Asset

S2022-R4-03-As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