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정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finition== 【】. 정의를 써넣음 <br/> 왜구는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연안에서 활동한 일본인의 해적집단을 총칭하는 것...) |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1차 1396년, 2차 1419년 】. 조선에서 왜구 격퇴를 위해 대마도를 정벌한 전쟁. <br/> | |
− | 왜구는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연안에서 활동한 일본인의 해적집단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여말선초 약 70년간 우리나라 연안 각지에 침입하였다. 특히 고려 말의 약 40년간은 왜구가 창궐해 피해가 극심하였다. 대마도를 비롯하여 일기(壹岐)·송포(松浦)가 왜구의 근거지가 되어 중국과 한반도에서 약탈을 감행하였다. 대마도정벌에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수군 확충과 화기 발달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최초의 대마도정벌은 1389년(창왕 1) 2월 박위(朴葳)에 의해 이루어졌다. 조선에서는 1396년(태조 5)과 1419년(세종 1)에 단행되었다. 태종 때에도 왜구의 침입이 계속되어 60여 회에 이르렀다. 대마도 왜구가 또 기근이 들어 생활이 궁핍해지자, 명나라로 약탈하러 가는 도중에 조선의 연안을 침입하였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 + | 왜구는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연안에서 활동한 일본인의 해적집단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여말선초 약 70년간 우리나라 연안 각지에 침입하였다. 특히 고려 말의 약 40년간은 왜구가 창궐해 피해가 극심하였다. 대마도를 비롯하여 일기(壹岐)·송포(松浦)가 왜구의 근거지가 되어 중국과 한반도에서 약탈을 감행하였다. 대마도정벌에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수군 확충과 화기 발달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최초의 대마도정벌은 1389년(창왕 1) 2월 박위(朴葳)에 의해 이루어졌다. 조선에서는 1396년(태조 5)과 1419년(세종 1)에 단행되었다. 태종 때에도 왜구의 침입이 계속되어 60여 회에 이르렀다. 대마도 왜구가 또 기근이 들어 생활이 궁핍해지자, 명나라로 약탈하러 가는 도중에 조선의 연안을 침입하였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기해동정(己亥東征)이 결행되었다. 태종은 재위 18년 만에 세종에게 양위하고 정치의 일선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군무(軍務)만은 계속하고 있었으므로 기해동정은 태종에 의해 시행된 것이었다. |
−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3번째 줄: | 11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 |- | ||
− | | [[ | + | | [[대마도정벌]] || Event || 사건 ||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 대마도정벌 || 對馬島征伐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대마도정벌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KE/KoreanEmpire.png" width="100"/></html> || 2022:임민혁 |
|- | |- | ||
|} | |} | ||
24번째 줄: | 22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isRelatedTo]] || || | + | | [[대마도정벌]] || [[대마도]] || [[isRelatedTo]] || || |
|- | |- | ||
− | | | + | | 대마도정벌 || 박위 || [[isRelatedTo]] || || |
|- | |- | ||
− | | | + | | 대마도정벌 || 왜구 || [[isRelatedTo]] || || |
|- | |- | ||
− | | | + | | 대마도정벌 || 기해동정_己亥東征 || [[isRelatedTo]] || || |
|- | |- | ||
− | | | + | | 대마도정벌 || 조선_태종 || [[isRelatedTo]] || || |
+ | |- | ||
+ | | 대마도정벌 || 조선_세종 || [[isRelatedTo]] || || | ||
+ | |- | ||
+ | | 대마도정벌 || 이종무 || [[isRelatedTo]] || || | ||
+ | |- | ||
+ | | 대마도정벌 || 박실 || [[isRelatedTo]] || || | ||
|- | |- | ||
|} | |} | ||
43번째 줄: | 47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대마도정벌 ||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4343 |
+ | |- | ||
+ | | 해설 ||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 대마도 정벌 ||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63XX66000042 | ||
+ | |- | ||
+ | | 참고 || 이야기 조선왕조사 || 대마도 정벌 ||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63XX18000021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위키백과 || 대마도 정벌 || || https://ko.wikipedia.org/wiki/대마도_정벌 |
|- | |- | ||
|} | |} | ||
56번째 줄: | 64번째 줄: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ISBN: | + | | ISBN: || 단행본 || 임홍빈·유재성·서인한, 『조선의 대외 정벌』, 알마, 2015. || || |
+ | |- | ||
+ | | || 논문 || 김경록, 「조선전기 동북아의 정세와 전쟁」, 『軍史』 110,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46769 | ||
+ | |- | ||
+ | | || 논문 || 하우봉, 「조선 전기 부산과 대마도의 관계」, 『역사와 경계』 74, 부산경남사학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34225 | ||
+ | |- | ||
+ | | || 논문 || 한문종, 「朝鮮初期의 倭寇對策과 對馬島征伐」, 『全北史學』 19·20, 전북대 사학회, 1997. || || | ||
+ | |- | ||
+ | | || 논문 || 진종근, 「朝鮮朝 初期의 對日關係-對馬島征伐을 中心으로-」, 『石堂論叢』15, 동아대 부설 석당전통문화연구원, 1989. || || | ||
|- | |- | ||
− | | | + | | || 논문 || 손홍렬, 「麗末·鮮初의 對馬島征伐」, 『湖西史學』 6, 호서사학회, 1978. || || |
|- | |- | ||
|} | |} | ||
72번째 줄: | 88번째 줄: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 | {{SemanticGraph | key= | + | {{SemanticGraph | key=대마도정벌}}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Actor]] [[분류:2022:임민혁]]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Actor]] [[분류:2022:임민혁]] |
2022년 12월 14일 (수) 00:46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1차 1396년, 2차 1419년 】. 조선에서 왜구 격퇴를 위해 대마도를 정벌한 전쟁.
왜구는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연안에서 활동한 일본인의 해적집단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여말선초 약 70년간 우리나라 연안 각지에 침입하였다. 특히 고려 말의 약 40년간은 왜구가 창궐해 피해가 극심하였다. 대마도를 비롯하여 일기(壹岐)·송포(松浦)가 왜구의 근거지가 되어 중국과 한반도에서 약탈을 감행하였다. 대마도정벌에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수군 확충과 화기 발달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최초의 대마도정벌은 1389년(창왕 1) 2월 박위(朴葳)에 의해 이루어졌다. 조선에서는 1396년(태조 5)과 1419년(세종 1)에 단행되었다. 태종 때에도 왜구의 침입이 계속되어 60여 회에 이르렀다. 대마도 왜구가 또 기근이 들어 생활이 궁핍해지자, 명나라로 약탈하러 가는 도중에 조선의 연안을 침입하였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기해동정(己亥東征)이 결행되었다. 태종은 재위 18년 만에 세종에게 양위하고 정치의 일선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군무(軍務)만은 계속하고 있었으므로 기해동정은 태종에 의해 시행된 것이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대마도정벌 | Event | 사건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 대마도정벌 | 對馬島征伐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대마도정벌 | 2022:임민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대마도정벌 | 대마도 | isRelatedTo | ||
대마도정벌 | 박위 | isRelatedTo | ||
대마도정벌 | 왜구 | isRelatedTo | ||
대마도정벌 | 기해동정_己亥東征 | isRelatedTo | ||
대마도정벌 | 조선_태종 | isRelatedTo | ||
대마도정벌 | 조선_세종 | isRelatedTo | ||
대마도정벌 | 이종무 | isRelatedTo | ||
대마도정벌 | 박실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대마도정벌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4343 | |
해설 |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 대마도 정벌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63XX66000042 | |
참고 | 이야기 조선왕조사 | 대마도 정벌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63XX18000021 | |
참고 | 위키백과 | 대마도 정벌 | https://ko.wikipedia.org/wiki/대마도_정벌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 | 단행본 | 임홍빈·유재성·서인한, 『조선의 대외 정벌』, 알마, 2015. | ||
논문 | 김경록, 「조선전기 동북아의 정세와 전쟁」, 『軍史』 110,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46769 | |
논문 | 하우봉, 「조선 전기 부산과 대마도의 관계」, 『역사와 경계』 74, 부산경남사학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34225 | |
논문 | 한문종, 「朝鮮初期의 倭寇對策과 對馬島征伐」, 『全北史學』 19·20, 전북대 사학회, 1997. | |||
논문 | 진종근, 「朝鮮朝 初期의 對日關係-對馬島征伐을 中心으로-」, 『石堂論叢』15, 동아대 부설 석당전통문화연구원, 1989. | |||
논문 | 손홍렬, 「麗末·鮮初의 對馬島征伐」, 『湖西史學』 6, 호서사학회, 1978.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