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전향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finition== 【】. 정의를 써넣음 <br/> 각 국가제사에서 향과 축문은 특별한 절차를 거쳐 전달되었다. 대사(大祀)인 종묘·사직·영녕전과...) |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국왕이 친히 향과 축문을 전하는 의례. <br/> | |
각 국가제사에서 향과 축문은 특별한 절차를 거쳐 전달되었다. 대사(大祀)인 종묘·사직·영녕전과 중사(中祀)인 풍운뇌우·선농·선잠·우사는 임금이 친히 향과 축문을 전하였다. 그 나머지 중사 이하는 하루 전에 전교서 관원이 향과 축문을 갖추어서 바치고, 승지가 외정에서 대신 전하였다. 대신 전한다는 것은 국왕을 대신한다는 말이다. 향축을 전달하는 장소는 국조오례의의 경우에 사정전 월랑의 남쪽 뜰아래의 중앙이라 하였다. 사정전은 경복궁의 정전 뒤에 있는 편전이다. 그러나 대한제국 때에는 그 장소가 정전으로 바뀌었다.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황제의 거둥의 사전 준비와 방식은 여느 의례와 별 차이가 없었다. 어좌의 남쪽 계단 아래에는 전향욕위(傳香褥位)를 설치하고, 그 앞에 향축안 둘을 서쪽 가까이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관원들은 헌관과 문무관 중에서 반드시 참석해야 하는 인원만이 앞뜰의 동서에 정렬한다. | 각 국가제사에서 향과 축문은 특별한 절차를 거쳐 전달되었다. 대사(大祀)인 종묘·사직·영녕전과 중사(中祀)인 풍운뇌우·선농·선잠·우사는 임금이 친히 향과 축문을 전하였다. 그 나머지 중사 이하는 하루 전에 전교서 관원이 향과 축문을 갖추어서 바치고, 승지가 외정에서 대신 전하였다. 대신 전한다는 것은 국왕을 대신한다는 말이다. 향축을 전달하는 장소는 국조오례의의 경우에 사정전 월랑의 남쪽 뜰아래의 중앙이라 하였다. 사정전은 경복궁의 정전 뒤에 있는 편전이다. 그러나 대한제국 때에는 그 장소가 정전으로 바뀌었다.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황제의 거둥의 사전 준비와 방식은 여느 의례와 별 차이가 없었다. 어좌의 남쪽 계단 아래에는 전향욕위(傳香褥位)를 설치하고, 그 앞에 향축안 둘을 서쪽 가까이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관원들은 헌관과 문무관 중에서 반드시 참석해야 하는 인원만이 앞뜰의 동서에 정렬한다. | ||
−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3번째 줄: | 11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 |- | ||
− | | [[ | + | | [[친전향축]] || Event || 의례 || || 친전향축(親傳香祝) || 친전향축 || 親傳香祝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친전향축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KE/KoreanEmpire.png" width="100"/></html> || 2022:임민혁 |
|- | |- | ||
|} | |} | ||
24번째 줄: | 22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isRelatedTo]] || || | + | | [[친전향축]] || [[향-香]] || [[isRelatedTo]] || || |
+ | |- | ||
+ | | 친전향축 || 축문 || [[isRelatedTo]] || || | ||
+ | |- | ||
+ | | 친전향축 || 대사-大祀 || [[isRelatedTo]] || || | ||
+ | |- | ||
+ | | 친전향축 || 중사-中祀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친전향축 || 전교서 || [[isRelatedTo]] || || |
|- | |- | ||
− | | | + | | 친전향축 || 승지 || [[isRelatedTo]] || || |
|- | |- | ||
− | | | + | | 친전향축 || 국조오례의 || [[isRelatedTo]] || || |
|- | |- | ||
− | | | + | | 친전향축 || 사정전 || [[isRelatedTo]] || || |
|- | |- | ||
|} | |} | ||
42번째 줄: | 46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논문 || 신진혜, 「英祖代 祭享에 대한 국왕 親臨 절차의 추가적 정비와 의미 : 宗廟 親享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총』 102, 고려대 역사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80720 |
|- | |- | ||
− | | | + | | || 논문 || 신진혜, 「숙종대 국왕 종묘 전알(展謁)의 정식화와 의미」, 『한국사상사학』 64, 한국사상사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5887 |
|- | |- | ||
|} | |} | ||
72번째 줄: | 72번째 줄: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 | {{SemanticGraph | key= | + | {{SemanticGraph | key=친전향축}}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Actor]] [[분류:2022:임민혁]]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Actor]] [[분류:2022:임민혁]] |
2022년 12월 13일 (화) 22:11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국왕이 친히 향과 축문을 전하는 의례.
각 국가제사에서 향과 축문은 특별한 절차를 거쳐 전달되었다. 대사(大祀)인 종묘·사직·영녕전과 중사(中祀)인 풍운뇌우·선농·선잠·우사는 임금이 친히 향과 축문을 전하였다. 그 나머지 중사 이하는 하루 전에 전교서 관원이 향과 축문을 갖추어서 바치고, 승지가 외정에서 대신 전하였다. 대신 전한다는 것은 국왕을 대신한다는 말이다. 향축을 전달하는 장소는 국조오례의의 경우에 사정전 월랑의 남쪽 뜰아래의 중앙이라 하였다. 사정전은 경복궁의 정전 뒤에 있는 편전이다. 그러나 대한제국 때에는 그 장소가 정전으로 바뀌었다.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황제의 거둥의 사전 준비와 방식은 여느 의례와 별 차이가 없었다. 어좌의 남쪽 계단 아래에는 전향욕위(傳香褥位)를 설치하고, 그 앞에 향축안 둘을 서쪽 가까이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관원들은 헌관과 문무관 중에서 반드시 참석해야 하는 인원만이 앞뜰의 동서에 정렬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친전향축 | Event | 의례 | 친전향축(親傳香祝) | 친전향축 | 親傳香祝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친전향축 | 2022:임민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친전향축 | 향-香 | isRelatedTo | ||
친전향축 | 축문 | isRelatedTo | ||
친전향축 | 대사-大祀 | isRelatedTo | ||
친전향축 | 중사-中祀 | isRelatedTo | ||
친전향축 | 전교서 | isRelatedTo | ||
친전향축 | 승지 | isRelatedTo | ||
친전향축 | 국조오례의 | isRelatedTo | ||
친전향축 | 사정전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신진혜, 「英祖代 祭享에 대한 국왕 親臨 절차의 추가적 정비와 의미 : 宗廟 親享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총』 102, 고려대 역사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80720 | |
논문 | 신진혜, 「숙종대 국왕 종묘 전알(展謁)의 정식화와 의미」, 『한국사상사학』 64, 한국사상사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5887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