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소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 정의를 써넣음 <br/> 조선 태조의 비(妃)인 신의왕후의 사당이었으며, 후에 태조와 그 4대조를 합사하였다. 1396년에 전각...)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정의를 써넣음 <br/>
+
조선 태조의 비(妃) 신의왕후의 사당. <br/>
 
조선 태조의 비(妃)인 신의왕후의 사당이었으며, 후에 태조와 그 4대조를 합사하였다. 1396년에 전각을 건립하고서 인소전이라 칭했다. 문소전에는 생시에 즐기던 신물까지 다양한 물종을 천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408년(태종 8) 국왕이 백관을 거느리고 담제를 올렸는데, 이때 승인순성이라는 휘호를 올리면서 태조와 신의왕후의 신주를 이곳에 안치하고 이름을 문소전으로 개칭했다. 1433년(세종 15)에는 태종의 위패를 봉안했다. 세조 3년(1457)에는 문소전 외에 게를 천신하지 않도록 전지하기도 했다. 이후 태조와 4대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되었다. 1547년(명종 2) 인종의 향사 문제가 대두되어 논의를 거듭하다가, 1569년(선조 2) 문소전에 후전 1칸을 짓고 인종의 위패를 옮기기도 했다.
 
조선 태조의 비(妃)인 신의왕후의 사당이었으며, 후에 태조와 그 4대조를 합사하였다. 1396년에 전각을 건립하고서 인소전이라 칭했다. 문소전에는 생시에 즐기던 신물까지 다양한 물종을 천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408년(태종 8) 국왕이 백관을 거느리고 담제를 올렸는데, 이때 승인순성이라는 휘호를 올리면서 태조와 신의왕후의 신주를 이곳에 안치하고 이름을 문소전으로 개칭했다. 1433년(세종 15)에는 태종의 위패를 봉안했다. 세조 3년(1457)에는 문소전 외에 게를 천신하지 않도록 전지하기도 했다. 이후 태조와 4대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되었다. 1547년(명종 2) 인종의 향사 문제가 대두되어 논의를 거듭하다가, 1569년(선조 2) 문소전에 후전 1칸을 짓고 인종의 위패를 옮기기도 했다.
 
신의왕후 인소전 문소전 천신 태조 태종 인종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3번째 줄: 11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대한제국]] || Actor || 국가 ||  || 대한제국(大韓帝國) || 대한제국 || 大韓帝國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대한제국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KE/KoreanEmpire.png" width="100"/></html> || 2022:임민혁  
+
| [[문소전]] || Actor || 국가 ||  || 문소전(文昭殿) || 문소전 || 文昭殿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문소전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KE/KoreanEmpire.png" width="100"/></html> || 2022:임민혁  
 
|-
 
|-
 
|}
 
|}
24번째 줄: 22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isRelatedTo]] || ||
+
| [[문소전]] || [[신의왕후]] ||  [[isRelatedTo]] || ||
 +
|-
 +
| 문소전 || 인소전 || [[isRelatedTo]] || ||
 +
|-
 +
| 문소전 || 천신 || [[isRelatedTo]] || ||
 
|-
 
|-
| || || [[isRelatedTo]] || ||
+
| 문소전 || 태조 || [[isRelatedTo]] || ||
 
|-
 
|-
| || || [[isRelatedTo]] || ||
+
| 문소전 || 태종 || [[isRelatedTo]] || ||
 
|-
 
|-
| || || [[isRelatedTo]] || ||
+
| 문소전 || 인종 || [[isRelatedTo]] || ||
 
|-
 
|-
| || || [[isRelatedTo]] || ||
+
| 문소전 || 사당 || [[isRelatedTo]] || ||
 
|-
 
|-
 
|}
 
|}
72번째 줄: 74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Graph | key=대한제국}}
+
{{SemanticGraph | key=문소전}}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Actor]] [[분류:2022:임민혁]]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Actor]] [[분류:2022:임민혁]]

2022년 12월 5일 (월) 00:36 판

Definition

조선 태조의 비(妃) 신의왕후의 사당.
조선 태조의 비(妃)인 신의왕후의 사당이었으며, 후에 태조와 그 4대조를 합사하였다. 1396년에 전각을 건립하고서 인소전이라 칭했다. 문소전에는 생시에 즐기던 신물까지 다양한 물종을 천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408년(태종 8) 국왕이 백관을 거느리고 담제를 올렸는데, 이때 승인순성이라는 휘호를 올리면서 태조와 신의왕후의 신주를 이곳에 안치하고 이름을 문소전으로 개칭했다. 1433년(세종 15)에는 태종의 위패를 봉안했다. 세조 3년(1457)에는 문소전 외에 게를 천신하지 않도록 전지하기도 했다. 이후 태조와 4대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되었다. 1547년(명종 2) 인종의 향사 문제가 대두되어 논의를 거듭하다가, 1569년(선조 2) 문소전에 후전 1칸을 짓고 인종의 위패를 옮기기도 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문소전 Actor 국가 문소전(文昭殿) 문소전 文昭殿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문소전 2022:임민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문소전 신의왕후 isRelatedTo
문소전 인소전 isRelatedTo
문소전 천신 isRelatedTo
문소전 태조 isRelatedTo
문소전 태종 isRelatedTo
문소전 인종 isRelatedTo
문소전 사당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한제국(大韓帝國)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187
참고 문화콘텐츠닷컴 > 구한말 정동이야기 대한제국의 선포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71001690001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82366062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대한제국(신편 한국사 42권)』, 2002. 국사편찬위원회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view.do?levelId=nh_042_0010
국립고궁박물관:100년전의기억대한제국 도록 국립고궁박물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공동주최 특별전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2010.
문화재청 자료실 http://116.67.83.213/cha_media.html?file=/new_pdf/EM032049_01.pdf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