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백관의 하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 | [[2022 3D모델링-복식]]}} | ||
+ | |||
+ | ==Definition== | ||
+ | |||
+ | 조복 하상은 백관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의 일습 중 하나로, 허리 아래에 입기 때문에 하상(下裳)이라고 하며, 붉은 색의 초(綃)로 만든 치마(裳)라고 하여 ‘적초상(赤綃裳)’이라고도 한다. 하상 앞쪽의 전상(前裳)은 양을 상징하는 홀수로 3폭이며, 뒤쪽의 후상(後裳)은 음을 상징하는 짝수인 4폭으로 각각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로 이은 형태이다. 옆선과 밑단에는 청색 혹은 검은색 선단이 부착되며, 하상의 위쪽 허리부분에서 아래쪽 도련부분까지 내려가는 형태는 'A'자형에서 일자인 'H'형으로 변화한다. 하상의 주름은 윗부분만 잡던 것을 17세기 중ㆍ후반에는 주름을 위에서 아래까지 잡아서 풀어지지 않도록 중간과 아래를 실로 고정시킨 일자형으로 변화하였으며, 이후에는 여기에 가선을 다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전상과 후상을 허리말기에 이을 때 17세기 전반까지는 약간 겹쳤으나, 17세기 중후반을 지나면서 점점 겹치는 정도가 작아지다가, 18세기에 들어서면 완전히 떨어지게 된다. 하상의 가선은 17세기 전반기에는 가선만 있고, 이후 가선사이에 흰색의 가는 선이 나타나며, 가는 선을 끼운 선단을 위에서 상침 바느질하였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조복_하상 조복 하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AKS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Semantic Data== | ||
+ | |||
+ | ===Node Description===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 |- | ||
+ | | 17세기_백관의_하상 || Clothing || 복식 || 옷 || 17세기 백관의 하상(下裳) || 17세기 백관의 하상 || 下裳 || 17th Century Baekgwan Hasang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7세기_백관의_하상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복식/복식-064_17세기_백관의_하상.png" width="100"/></html> || 2022:김현승 | ||
+ | |- | ||
+ | |} | ||
+ | |||
+ | * [[Ontology:EKC 2022:Class]]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54%"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17세기_백관의_하상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isShownBy]] || || | ||
+ | |- | ||
+ |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17세기_백관의_하상 || [[hasReferenceNote]] || || | ||
+ | |- | ||
+ | |} | ||
+ | |||
===재현물 제작 정보=== | ===재현물 제작 정보===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정사공신, 신경유공 묘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8.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신경유(1581-1633) 조복 하상 도식화 <br/><br/>상세 사이즈(㎝): 총길이 102, 허리말기 5×108.5, 전상 상단너비 55, 전상 하단너비 149.5, 후상 상단너비 65, 후상 하단너비 197, 고름 85×3, 치마 겹침 5.5, 선단 너비 10 <br/>재료: 비단(Silk) <br/>색상: 치마 붉은색, 선단 검은색, 허리말기·고름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br/>※ 유물은 많이 낡은 것이므로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1.jpg"/></html>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정사공신, 신경유공 묘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8.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신경유(1581-1633) 조복 하상 도식화 <br/><br/>상세 사이즈(㎝): 총길이 102, 허리말기 5×108.5, 전상 상단너비 55, 전상 하단너비 149.5, 후상 상단너비 65, 후상 하단너비 197, 고름 85×3, 치마 겹침 5.5, 선단 너비 10 <br/>재료: 비단(Silk) <br/>색상: 치마 붉은색, 선단 검은색, 허리말기·고름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br/>※ 유물은 많이 낡은 것이므로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1.jpg"/></a></html> |
|- | |- | ||
− | | [https://museum.dankook.ac.kr/web/museum/-15?p_p_id=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NB=B009378&_Relic_WAR_museumportlet_action=view_message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조복상]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신경유(1581-1633) 조복 하상 <br/><br/>넓이가 다른 2개의 치마가 하나의 허리말기에 달려있다. 착용했을 때 좁은 쪽이 앞으로 오고, 넓은 쪽이 뒤에 위치한다. 허리말기를 허리에 두르고 오른쪽에서 고름으로 여민다. 고름은 저고리 고름과 같이 외고름으로 한다. 치마는 3~4㎝ 너비로 주름잡는다. 주름은 한복치마처럼 위쪽에서만 잡고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치마의 가장자리는 너비 10㎝의 검은색 선단을 두른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2.jpg"/></html> | + | | [https://museum.dankook.ac.kr/web/museum/-15?p_p_id=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NB=B009378&_Relic_WAR_museumportlet_action=view_message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조복상]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신경유(1581-1633) 조복 하상 <br/><br/>넓이가 다른 2개의 치마가 하나의 허리말기에 달려있다. 착용했을 때 좁은 쪽이 앞으로 오고, 넓은 쪽이 뒤에 위치한다. 허리말기를 허리에 두르고 오른쪽에서 고름으로 여민다. 고름은 저고리 고름과 같이 외고름으로 한다. 치마는 3~4㎝ 너비로 주름잡는다. 주름은 한복치마처럼 위쪽에서만 잡고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치마의 가장자리는 너비 10㎝의 검은색 선단을 두른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2.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2.jpg"/></a></html> |
|- | |- | ||
−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조복-朝服-상常-재현/kAGPeI6xZtp-7A?hl=ko Google Arts & Culture ☞ 조복 朝服-상常(재현)]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권우(1610-1675) 조복 하상 복제품 <br/>실크로 만들고, 치마는 붉은색, 선단은 검은색, 허리말기와 고름은 흰색이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3.jpg"/></html> | +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조복-朝服-상常-재현/kAGPeI6xZtp-7A?hl=ko Google Arts & Culture ☞ 조복 朝服-상常(재현)]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권우(1610-1675) 조복 하상 복제품 <br/>실크로 만들고, 치마는 붉은색, 선단은 검은색, 허리말기와 고름은 흰색이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3.jpg"/></a></html> |
|- | |- | ||
| 우나영,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한스미디어, 2019.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한복 치마 주름 Tip <br/>*정면과 위에서 보는 주름 방향을 참고한다. <br/>*한복치마 주름은 위쪽에서만 잡고,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br/>*한복치마 아래쪽은 큰 주름이 잡히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도록 한다. 세일러 치마처럼 치마 아래까지 각이 잡혀 내려오지 않는다. || | | 우나영,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한스미디어, 2019.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한복 치마 주름 Tip <br/>*정면과 위에서 보는 주름 방향을 참고한다. <br/>*한복치마 주름은 위쪽에서만 잡고,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br/>*한복치마 아래쪽은 큰 주름이 잡히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도록 한다. 세일러 치마처럼 치마 아래까지 각이 잡혀 내려오지 않는다. || | ||
|- | |- | ||
−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2514770200 문화재청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유산 검색 ☞ 보물 채제공 초상 일괄 – 금관조복본]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채제공(1720-1799) 초상(금관조복본) <br/>소매 아래, 무릎 부분부터 보이는 것이 치마다. 넓고 긴 것을 알 수 있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4.jpg"/></html> | +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2514770200 문화재청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유산 검색 ☞ 보물 채제공 초상 일괄 – 금관조복본]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채제공(1720-1799) 초상(금관조복본) <br/>소매 아래, 무릎 부분부터 보이는 것이 치마다. 넓고 긴 것을 알 수 있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4.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4_17세기백관의조복하상_04.jpg"/></a></html> |
+ | |- | ||
+ | |} | ||
+ | |||
+ | ==Web Resource==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
+ | |||
+ | ==Bibliography==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Clothing]] [[분류:2022:김현승 | + | * id: [[인용전거]] |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
+ | |||
+ | ==Notes== | ||
+ | |||
+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SemanticGraph | key=17세기_백관의_하상}}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Clothing]] [[분류:2022:김현승]] |
2022년 11월 23일 (수) 12:26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조복 하상은 백관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의 일습 중 하나로, 허리 아래에 입기 때문에 하상(下裳)이라고 하며, 붉은 색의 초(綃)로 만든 치마(裳)라고 하여 ‘적초상(赤綃裳)’이라고도 한다. 하상 앞쪽의 전상(前裳)은 양을 상징하는 홀수로 3폭이며, 뒤쪽의 후상(後裳)은 음을 상징하는 짝수인 4폭으로 각각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로 이은 형태이다. 옆선과 밑단에는 청색 혹은 검은색 선단이 부착되며, 하상의 위쪽 허리부분에서 아래쪽 도련부분까지 내려가는 형태는 'A'자형에서 일자인 'H'형으로 변화한다. 하상의 주름은 윗부분만 잡던 것을 17세기 중ㆍ후반에는 주름을 위에서 아래까지 잡아서 풀어지지 않도록 중간과 아래를 실로 고정시킨 일자형으로 변화하였으며, 이후에는 여기에 가선을 다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전상과 후상을 허리말기에 이을 때 17세기 전반까지는 약간 겹쳤으나, 17세기 중후반을 지나면서 점점 겹치는 정도가 작아지다가, 18세기에 들어서면 완전히 떨어지게 된다. 하상의 가선은 17세기 전반기에는 가선만 있고, 이후 가선사이에 흰색의 가는 선이 나타나며, 가는 선을 끼운 선단을 위에서 상침 바느질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17세기_백관의_하상 | Clothing | 복식 | 옷 | 17세기 백관의 하상(下裳) | 17세기 백관의 하상 | 下裳 | 17th Century Baekgwan Hasang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7세기_백관의_하상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17세기_백관의_하상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isShownBy |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17세기_백관의_하상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정사공신, 신경유공 묘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8.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신경유(1581-1633) 조복 하상 도식화 상세 사이즈(㎝): 총길이 102, 허리말기 5×108.5, 전상 상단너비 55, 전상 하단너비 149.5, 후상 상단너비 65, 후상 하단너비 197, 고름 85×3, 치마 겹침 5.5, 선단 너비 10 재료: 비단(Silk) 색상: 치마 붉은색, 선단 검은색, 허리말기·고름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유물은 많이 낡은 것이므로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조복상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신경유(1581-1633) 조복 하상 넓이가 다른 2개의 치마가 하나의 허리말기에 달려있다. 착용했을 때 좁은 쪽이 앞으로 오고, 넓은 쪽이 뒤에 위치한다. 허리말기를 허리에 두르고 오른쪽에서 고름으로 여민다. 고름은 저고리 고름과 같이 외고름으로 한다. 치마는 3~4㎝ 너비로 주름잡는다. 주름은 한복치마처럼 위쪽에서만 잡고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치마의 가장자리는 너비 10㎝의 검은색 선단을 두른다. |
|
Google Arts & Culture ☞ 조복 朝服-상常(재현)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권우(1610-1675) 조복 하상 복제품 실크로 만들고, 치마는 붉은색, 선단은 검은색, 허리말기와 고름은 흰색이다. |
|
우나영,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한스미디어, 2019.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한복 치마 주름 Tip *정면과 위에서 보는 주름 방향을 참고한다. *한복치마 주름은 위쪽에서만 잡고,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한복치마 아래쪽은 큰 주름이 잡히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도록 한다. 세일러 치마처럼 치마 아래까지 각이 잡혀 내려오지 않는다. |
|
문화재청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유산 검색 ☞ 보물 채제공 초상 일괄 – 금관조복본 | 3D-17세기_백관의_하상 | references | 채제공(1720-1799) 초상(금관조복본) 소매 아래, 무릎 부분부터 보이는 것이 치마다. 넓고 긴 것을 알 수 있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