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여성 배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재현물 제작 정보)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유물 앞모습 <br/><br/>크기(㎝): 길이 37.5, 품 33 <br/>재료: 비단(Silk) <br/>색상: 겉감 어두운 초록색, 깃·끈·안감선단 자주색, 안감 분홍색, 동정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br/>※ 유물은 많이 낡은 옷이므로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1.jpg"/></html> | +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유물 앞모습 <br/><br/>크기(㎝): 길이 37.5, 품 33 <br/>재료: 비단(Silk) <br/>색상: 겉감 어두운 초록색, 깃·끈·안감선단 자주색, 안감 분홍색, 동정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br/>※ 유물은 많이 낡은 옷이므로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1.jpg"/></a></html> |
|- | |- | ||
− | |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선』, 경기도박물관, 2008.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유물 펼친모습 <br/><br/>겉감과 안감을 0.5cm 간격으로 곱게 누볐다. 깃은 좌우 대칭으로, 깃머리가 둥근 형태이며, 깃에는 동정을 부착했다. 좌우 옆선은 트여 있고, 진동 아래에 2개의 끈을 달아서 배자의 앞과 뒤를 연결했다. 안감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0.8cm 너비의 선단이 둘러져 있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2.jpg"/></html> | + | |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선』, 경기도박물관, 2008.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유물 펼친모습 <br/><br/>겉감과 안감을 0.5cm 간격으로 곱게 누볐다. 깃은 좌우 대칭으로, 깃머리가 둥근 형태이며, 깃에는 동정을 부착했다. 좌우 옆선은 트여 있고, 진동 아래에 2개의 끈을 달아서 배자의 앞과 뒤를 연결했다. 안감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0.8cm 너비의 선단이 둘러져 있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2.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2.jpg"/></a></html> |
|- | |- | ||
−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재현품 <br/><br/>누빔 모양과 전체 형태를 참고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3.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4.jpg"/></html> | +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재현품 <br/><br/>누빔 모양과 전체 형태를 참고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3.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4.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4.jpg"/></a></html> |
|- | |- | ||
−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045476?sid=103 연합뉴스 ☞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복장물 '배자'(2011.05.03.)]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보물 제1660호) <br/><br/>색상 참고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5.jpg"/></html> | +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045476?sid=103 연합뉴스 ☞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복장물 '배자'(2011.05.03.)]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보물 제1660호) <br/><br/>색상 참고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5.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5.jpg"/></a></html> |
|- | |- | ||
− | | [https://blog.naver.com/ostw/222589537930 네이버 > 블로그 ☞ [전시장스케치]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조선의 승려 장인′ (전시 작)(2021.12.08.)]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보물 제1660호) <br/><br/>색상 참고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6.jpg"/></html> | + | | [https://blog.naver.com/ostw/222589537930 네이버 > 블로그 ☞ [전시장스케치]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조선의 승려 장인′ (전시 작)(2021.12.08.)]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보물 제1660호) <br/><br/>색상 참고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6.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6.jpg"/></a></html> |
|- | |-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착용모습 참고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7.jpg"/></html>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착용모습 참고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7.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40_17세기여성배자_07.jpg"/></a></html> |
|- | |- | ||
|} | |} |
2022년 11월 23일 (수) 11:24 판
목차
Definition
조선시대 배자는 두 종류로 나눠볼 수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전까지 조선 왕실 여성이 대례복의 일습으로 착용하는 배자와 일반적으로 저고리 위에 덧입는 배자이다. 여기서는 저고리 위에 입는 배자를 설명한다. 일반적인 우리나라의 배자는 맞깃에 고름이 없고 소매는 민소매나 반소매 형태이다. 길이는 짧게는 가슴까지 오거나, 길게는 허리와 엉덩이를 살짝 덮는 정도인데, 앞뒷길이가 차이가 나기도 한다. 계절에 상관없이 착용했으며, 겨울에는 방한을 위해 털을 대서 입었다.[1]
보물 제1660호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중에 1662년에 복장된 여성용 배자는 끝이 둥글린 맞깃에 동정이 달리고 앞중심에서 고름이 없으며 겨드랑이에 끈을 붙여 앞뒤 자락을 연결한 독특한 형태이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17세기_여성_배자 | Clothing | 복식 | 옷 | 17세기 여성 배자(背子) | 17세기 여성 배자 | 背子 | 17th Century Female Baeja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7세기_여성_배자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17세기_여성_배자 | 3D-17세기_여성_배자 | isShownBy | ||
3D-17세기_여성_배자 | 17세기_여성_배자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유물 앞모습 크기(㎝): 길이 37.5, 품 33 재료: 비단(Silk) 색상: 겉감 어두운 초록색, 깃·끈·안감선단 자주색, 안감 분홍색, 동정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 유물은 많이 낡은 옷이므로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선』, 경기도박물관, 2008.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유물 펼친모습 겉감과 안감을 0.5cm 간격으로 곱게 누볐다. 깃은 좌우 대칭으로, 깃머리가 둥근 형태이며, 깃에는 동정을 부착했다. 좌우 옆선은 트여 있고, 진동 아래에 2개의 끈을 달아서 배자의 앞과 뒤를 연결했다. 안감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0.8cm 너비의 선단이 둘러져 있다.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재현품 누빔 모양과 전체 형태를 참고한다. |
|
연합뉴스 ☞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복장물 '배자'(2011.05.03.)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보물 제1660호) 색상 참고 |
|
네이버 > 블로그 ☞ [전시장스케치]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조선의 승려 장인′ (전시 작)(2021.12.08.)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보물 제1660호) 색상 참고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 3D-17세기_여성_배자 | references | 착용모습 참고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