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직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de Description) |
(→재현물 제작 정보)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형태 참고용 유물 앞모습 사진 <br/>크기(㎝): 뒷길이 138, 앞길이 130, 화장 140, 품 74, 고대 18 <br/>재료: 명주(Silk) <br/>색상: 짙은 청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br/>※ 유물사진은 형태 참고용이다. 3D의 색상과 질감은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새로운 것으로 표현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1.jpg"/></html>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형태 참고용 유물 앞모습 사진 <br/>크기(㎝): 뒷길이 138, 앞길이 130, 화장 140, 품 74, 고대 18 <br/>재료: 명주(Silk) <br/>색상: 짙은 청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br/>※ 유물사진은 형태 참고용이다. 3D의 색상과 질감은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새로운 것으로 표현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1.jpg"/></a></html> |
|- | |-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 상세 사이즈(㎝) <br/>길이: 뒤 138 / 앞 130 <br/>화장: 140 <br/>품: 74 <br/>진동: 39 <br/>수구: 30 <br/>고대: 18 <br/>깃너비: 14 (6.5+7.3) <br/>겨드랑이 밑길이: 5 <br/>고름: 너비 2 / 길이 31 <br/><br/>※ 설명 <br/>앞이 짧고 뒤가 긴 옷이다. 옷의 양쪽 옆선은 겨드랑이 아래 5㎝ 이하부터 벌어져 있다. 겉고름은 2개가 달린다. <br/><br/>※ 앞모습, 뒷모습, 펼친모습 유물사진 및 도식 <br/><br/>※ 펼친모습 도식화에서 오른쪽 ‘무’의 주름을 펼친 모습 참고.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2.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3.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4.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5.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6.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7.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8.jpg"/></html>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 상세 사이즈(㎝) <br/>길이: 뒤 138 / 앞 130 <br/>화장: 140 <br/>품: 74 <br/>진동: 39 <br/>수구: 30 <br/>고대: 18 <br/>깃너비: 14 (6.5+7.3) <br/>겨드랑이 밑길이: 5 <br/>고름: 너비 2 / 길이 31 <br/><br/>※ 설명 <br/>앞이 짧고 뒤가 긴 옷이다. 옷의 양쪽 옆선은 겨드랑이 아래 5㎝ 이하부터 벌어져 있다. 겉고름은 2개가 달린다. <br/><br/>※ 앞모습, 뒷모습, 펼친모습 유물사진 및 도식 <br/><br/>※ 펼친모습 도식화에서 오른쪽 ‘무’의 주름을 펼친 모습 참고.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2.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2.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3.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4.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4.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5.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5.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6.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6.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7.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7.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8.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8.jpg"/></a></html> |
|- | |- | ||
− | | 김현승 일러스트: 무 주름 제작 방법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1.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br/>2. 몸의 앞판과 뒷판, 왼쪽, 오른쪽에 각각 붙여 총 4개의 ‘무’가 달린다. <br/>3. ‘무’는 일정 방식으로 접어 정리하는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br/>4. 먼저 윗 칸의 ‘⑩ 무 주름 제작 방법 (도식화)’의 ① 과 같이 접는다. <br/>5. ⑩-② 와 같이 작게 접은 부분을 옷 안쪽으로 넣는다. <br/>6. ⑩-③ 작게 접은 윗부분(노란색 표시)을 옷 안쪽에 붙여 고정시킨다. (아랫부분은 고정시키지 않음.) <br/>7. ⑩-④ 바깥쪽에 남은 무를 반으로 접는다. <br/>8. ⑩-⑤ 접은 윗부분(붉은색 표시)을 바느질한다. (아랫부분은 하지 않음.) <br/>9. ⑩-⑥ 윗부분에서 삼각형을 이루도록 사선으로 접어 주름을 잡는다. <br/>10. ⑩-⑦ 삼각형을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아래 사진처럼 안쪽으로 삼각형 접기.) || <html><img width="20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08.jpg"/></html> | + | | 김현승 일러스트: 무 주름 제작 방법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1.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br/>2. 몸의 앞판과 뒷판, 왼쪽, 오른쪽에 각각 붙여 총 4개의 ‘무’가 달린다. <br/>3. ‘무’는 일정 방식으로 접어 정리하는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br/>4. 먼저 윗 칸의 ‘⑩ 무 주름 제작 방법 (도식화)’의 ① 과 같이 접는다. <br/>5. ⑩-② 와 같이 작게 접은 부분을 옷 안쪽으로 넣는다. <br/>6. ⑩-③ 작게 접은 윗부분(노란색 표시)을 옷 안쪽에 붙여 고정시킨다. (아랫부분은 고정시키지 않음.) <br/>7. ⑩-④ 바깥쪽에 남은 무를 반으로 접는다. <br/>8. ⑩-⑤ 접은 윗부분(붉은색 표시)을 바느질한다. (아랫부분은 하지 않음.) <br/>9. ⑩-⑥ 윗부분에서 삼각형을 이루도록 사선으로 접어 주름을 잡는다. <br/>10. ⑩-⑦ 삼각형을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아래 사진처럼 안쪽으로 삼각형 접기.)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08.jpg"><img width="20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08.jpg"/></a></html> |
|- | |- | ||
− | | 김현승 촬영: 무 주름 제작 방법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무 주름 제작 방법을 종이로 접어 예시로 보여줌)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09.jpg"/></html> | + | | 김현승 촬영: 무 주름 제작 방법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무 주름 제작 방법을 종이로 접어 예시로 보여줌)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09.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09.jpg"/></a></html> |
|- | |-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유물의 무를 펼친 모습과 접은 모습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0.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1.jpg"/></html>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유물의 무를 펼친 모습과 접은 모습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0.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0.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1.jpg"/></a></html> |
|- | |- | ||
−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고름 형태 참고용 복제품 사진 <br/>※ 겉고름은 위, 아래로 2개가 달린다. | +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고름 형태 참고용 복제품 사진 <br/>※ 겉고름은 위, 아래로 2개가 달린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3.jpg"/></a></html> |
|- | |- | ||
− | | [http://www.1000shopping.com/mall/m_mall_detail.php?ps_ctid=01000000&ps_goid=2172# 1000shopping.com ☞ 나비양단(진비취)]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옷은 전체가 짙은 청색 비단이다. 이 사진에 보이는 색상 및 질감과 유사하게 표현한다. 무늬는 표현하지 않는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0.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1.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2.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3.jpg"/></html> | + | | [http://www.1000shopping.com/mall/m_mall_detail.php?ps_ctid=01000000&ps_goid=2172# 1000shopping.com ☞ 나비양단(진비취)]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옷은 전체가 짙은 청색 비단이다. 이 사진에 보이는 색상 및 질감과 유사하게 표현한다. 무늬는 표현하지 않는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0.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0.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1.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2.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2.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13.jpg"/></a></html> |
|- | |-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착장모습 참고(앞, 옆, 뒤) <br/>착장시 형태과 길이감을 참고한. 가장 겉옷이고 안에 여러벌의 옷을 겹쳐입으므로, 3D 마네킹에 착장시 바디라인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9.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6.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7.jpg"/></html> <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8.jpg"/></html>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착장모습 참고(앞, 옆, 뒤) <br/>착장시 형태과 길이감을 참고한. 가장 겉옷이고 안에 여러벌의 옷을 겹쳐입으므로, 3D 마네킹에 착장시 바디라인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9.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5_16세기직령_09.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6.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6.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7.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7.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8.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3_16세기단령_18.jpg"/></a></html> |
|- | |- | ||
|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3887719534637890 페이스북 ☞ 차귀미 (2021.04.07.)]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3D로 제작할 옷과 비슷한 형태와 크기의 옷을 실물로 제작한 모습이다.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첨부한다. || | |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3887719534637890 페이스북 ☞ 차귀미 (2021.04.07.)]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3D로 제작할 옷과 비슷한 형태와 크기의 옷을 실물로 제작한 모습이다.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첨부한다. || | ||
|- | |- | ||
|} | |} | ||
−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2022년 11월 22일 (화) 02:28 판
목차
Definition
직령(直領)은 '곧은 깃'을 의미하기도 하고, 일반 백성부터 왕까지 두루 착용한 포(袍)를 말하기도 한다. 직령의 형태는 단령(團領)이나 답호(褡穫)와 유사한데, 옷깃이 곧은 깃인 점만 단령과 다르며, 소매가 긴 점만 답호와 다르다. 무의 형태 변화는 단령이나 답호와 거의 같은 양식으로 변화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소매가 좁고 옷깃이 좁은 목판깃이고, 무는 여러번 접은 형태이며 옆이 트였다. 조선 중기에는 옷깃은 칼깃이고 소매가 넓어졌고, 무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사다리꼴로 접은 형태로 바뀌었다. 조선 후기에는 무를 뒤로 젖혀 입었고, 조선 말기에는 깃머리가 완만한 형태의 둥그레깃으로 바뀌며, 소매 넓이는 넓고, 무는 완전히 뒤로 젖혀 길에 무의 위쪽을 꿰매고 고정시켰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16세기_직령 | Clothing | 복식 | 옷 | 16세기 직령(直領) | 16세기 직령 | 直領 | 16th Century Jing-nyeong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6세기_직령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16세기_직령 | 3D-16세기_직령 | isShownBy | ||
3D-16세기_직령 | 16세기_직령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형태 참고용 유물 앞모습 사진 크기(㎝): 뒷길이 138, 앞길이 130, 화장 140, 품 74, 고대 18 재료: 명주(Silk) 색상: 짙은 청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유물사진은 형태 참고용이다. 3D의 색상과 질감은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새로운 것으로 표현한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 상세 사이즈(㎝) 길이: 뒤 138 / 앞 130 화장: 140 품: 74 진동: 39 수구: 30 고대: 18 깃너비: 14 (6.5+7.3) 겨드랑이 밑길이: 5 고름: 너비 2 / 길이 31 ※ 설명 앞이 짧고 뒤가 긴 옷이다. 옷의 양쪽 옆선은 겨드랑이 아래 5㎝ 이하부터 벌어져 있다. 겉고름은 2개가 달린다. ※ 앞모습, 뒷모습, 펼친모습 유물사진 및 도식 ※ 펼친모습 도식화에서 오른쪽 ‘무’의 주름을 펼친 모습 참고. |
|
김현승 일러스트: 무 주름 제작 방법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1.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2. 몸의 앞판과 뒷판, 왼쪽, 오른쪽에 각각 붙여 총 4개의 ‘무’가 달린다. 3. ‘무’는 일정 방식으로 접어 정리하는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4. 먼저 윗 칸의 ‘⑩ 무 주름 제작 방법 (도식화)’의 ① 과 같이 접는다. 5. ⑩-② 와 같이 작게 접은 부분을 옷 안쪽으로 넣는다. 6. ⑩-③ 작게 접은 윗부분(노란색 표시)을 옷 안쪽에 붙여 고정시킨다. (아랫부분은 고정시키지 않음.) 7. ⑩-④ 바깥쪽에 남은 무를 반으로 접는다. 8. ⑩-⑤ 접은 윗부분(붉은색 표시)을 바느질한다. (아랫부분은 하지 않음.) 9. ⑩-⑥ 윗부분에서 삼각형을 이루도록 사선으로 접어 주름을 잡는다. 10. ⑩-⑦ 삼각형을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아래 사진처럼 안쪽으로 삼각형 접기.) |
|
김현승 촬영: 무 주름 제작 방법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무 주름 제작 방법을 종이로 접어 예시로 보여줌)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유물의 무를 펼친 모습과 접은 모습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고름 형태 참고용 복제품 사진 ※ 겉고름은 위, 아래로 2개가 달린다. |
|
1000shopping.com ☞ 나비양단(진비취)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옷은 전체가 짙은 청색 비단이다. 이 사진에 보이는 색상 및 질감과 유사하게 표현한다. 무늬는 표현하지 않는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착장모습 참고(앞, 옆, 뒤) 착장시 형태과 길이감을 참고한. 가장 겉옷이고 안에 여러벌의 옷을 겹쳐입으므로, 3D 마네킹에 착장시 바디라인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
|
페이스북 ☞ 차귀미 (2021.04.07.) | 3D-16세기_직령 | references | 3D로 제작할 옷과 비슷한 형태와 크기의 옷을 실물로 제작한 모습이다.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첨부한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