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재현물 제작 정보===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https://museum.dankook.ac.kr/web/museum/-15?p_p_id...)
 
1번째 줄: 1번째 줄:
 +
{{clickable button | [[2022 3D모델링-복식]]}}
 +
 +
==Definition==
 +
 +
심의(深衣)는 유학자의 법복(法服)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이 즐겨 평상시 입었으며 관례복으로는 물론, 수의, 제복 등 다양한 용도로 착용하였다. 심의는 백세포(白細布)를 재단하여 만드는데 상의(上衣)는 4폭으로 만들고, 하상(下裳)은 12폭으로 만들며, 길이는 발목에 이른다. 깃은 직령(直領) 또는 방령(方領)으로 만들고, 깃과 도련, 수구에 흑연을 두른다. 심의에는 검정 선을 두른 대대(大帶)를 두르고, 동심결로 맨 대대의 매듭 부분에는 오색사(五色絲)로 짠 채조(采絛)를 묶어 늘어뜨렸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88쪽.</ref>
 +
 +
==Semantic Data==
 +
 +
===Node Description===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Clothing 복식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 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복식/
 +
 +
| 심의대 || Clothing || 복식 || 허리띠 || 심의대(深衣帶) || 심의대 || 深衣帶 || Simeui-dae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심의대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복식/복식-019_심의대.png" width="100"/></html> || 2022:김현승
 +
|-
 +
|}
 +
 +
* [[Ontology:EKC 2022:Class]]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width:54%"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심의대 || 3D-심의대 || [[isShownBy]] || ||
 +
|-
 +
| 3D-심의대 || 심의대 || [[hasReferenceNote]] || ||
 +
|-
 +
|}
 +
 
===재현물 제작 정보===
 
===재현물 제작 정보===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9번째 줄: 40번째 줄: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Clothing]] [[분류:2022:김현승]] [[분류:김현승-미완성]]
+
==Web Resource==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id: [[인용전거]]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
==Notes==
 +
 
 +
<references/>
 +
 
 +
==Semantic Network Graph==
 +
 
 +
{{SemanticGraph | key=심의대}}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Clothing]] [[분류:2022:김현승]]

2022년 11월 20일 (일) 19:41 판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심의(深衣)는 유학자의 법복(法服)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이 즐겨 평상시 입었으며 관례복으로는 물론, 수의, 제복 등 다양한 용도로 착용하였다. 심의는 백세포(白細布)를 재단하여 만드는데 상의(上衣)는 4폭으로 만들고, 하상(下裳)은 12폭으로 만들며, 길이는 발목에 이른다. 깃은 직령(直領) 또는 방령(方領)으로 만들고, 깃과 도련, 수구에 흑연을 두른다. 심의에는 검정 선을 두른 대대(大帶)를 두르고, 동심결로 맨 대대의 매듭 부분에는 오색사(五色絲)로 짠 채조(采絛)를 묶어 늘어뜨렸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심의대 Clothing 복식 허리띠 심의대(深衣帶) 심의대 深衣帶 Simeui-dae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심의대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심의대 3D-심의대 isShownBy
3D-심의대 심의대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심의 3D-심의대 references 대대와 조대를 묶은 유물사진

크기(㎝): 대대 길이 350, 대대 너비 10, 조대 길이 230
재료: 실크
색상: 대대-흰색, 검은색 / 조대-흰색, 검은색, 파란색, 붉은색, 노란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유물은 많이 낡은 것이므로, 3D 재현시에는 새 것 처럼 표현한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심의 3D-심의대 references 심의에 심의대를 착용한 모습

먼저 ‘대대’로 허리에 맨 다음, 실로 엮어 만든 ‘조대’로 ‘대대’가 풀리지 않도록 가운데를 묶는다. 3D로 재현할 때에는 허리에 둘러 매었을 때, ‘대대’와 ‘조대’가 발목길이 만큼 오도록 길이를 조정한다. ‘대대’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다만, 허리를 묶는 부분에만 검은색 테두리가 없다. ‘조대’는 5가지 색(흰색, 검은색, 파란색, 붉은색, 노란색)실을 꼬아 만든 끈이다. 유물사진 속 유물은 색이 모두 날아간 상태이므로 재현품 사진을 참고하여 묶은 모습과 색상을 표현한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88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