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색병-웃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Network Graph)
(재현물 제작 정보)
16번째 줄: 16번째 줄:
  
 
===재현물 제작 정보===
 
===재현물 제작 정보===
 
+
{| class="wikitabl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무신진찬의궤:1848]] || [[3D-각색병-웃기]] || [[references]] || 各色餠 一器 [高六寸]白豆菉豆粳甑餠 : 白米 二升 五合, 粘米 五合, 去皮豆·菉豆 各 一升, 大棗·實生栗 各 三合. / 荏子粘甑餠 : 粘米 一升, 實荏子 四合, 大棗·實生栗 各 一合. / 石耳蜜雪只 : 粘米 一升, 石耳末 二合, 大棗·實生栗·辛甘草末 各 一合, 淸 三合, 實栢子 五勺. / 炒豆粘甑餠 : 粘米 一升, 去皮豆 六合, 淸 四合, 大棗·實生栗 各 一合. / 白雪只: 白米 一升, 石耳 一合, 甘苔 半張, 實栢子 五勺. / 盒餠 : 粘米 一升, 赤豆 七合, 大棗·實生栗 各 三合, 去皮豆 五勺, 桂皮末·胡椒末 各 二勺. / 各色助岳: 粘米 一升, 去皮豆·眞油 各 四合, 大棗 五合, 梔子 十箇, 甘苔 一張, 淸 三合, 實栢子 二勺, 桂皮末 一勺. / 花煎: 粘米 一升, 眞油 四合, 淸 三合, 實栢子 二勺. / 石耳團子: 粘米 一升, 石耳末·大棗 各 三合, 實生栗 二合, 實栢子 八合, 淸 五合, 桂皮末 二勺통명전 상호일 진별찬_대왕대비전 진어별찬안각색병 1 그릇은 6촌으로 고였다. 들어가는 떡의 재료는 백두녹두경증병 백미2승5합, 점미5합, 거피두·녹두 각1승, 대조·실생률각3합임자점증병 점미1승, 실백자4합, 대조·실생률 각1합석이밀석기 점미1승, 석이말 2합, 대조·실생률·신감초말 각1합, 청3합, 실백자5작초두점증병 점미1승, 거피두6합, 청4합, 대조·실생률 각1합백설기 백미1승, 석이1합, 감태반장, 실백자5작합병 점미1승, 적두7합, 대조·실생률 각3합, 청5합, 샐백자5작, 계피말·호초말각2작각색조악 점미1승, 거피두·진유각4합, 대조5합, 치자10개, 감태1장, 청3합,        실백자2작, 계피말1작화전 점미1승, 진유4합, 청3합, 실백자2작석이단자 점미1승, 석이말·대조 각3합, 실생률2합, 실백자8합, 청5합, 계피말2작 || <html><img width="20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각색병2 문헌.jpg/></html>
 +
|-
 +
| "병기(餠器)"(유물번호 종묘7900),『국립고궁박물관』online || [[3D-각색병-웃기]] || [[references]] || 병기 餠器 크기(cm)높이: 6.3cm, 최대지름: 20.3cm, 굽지름: 13cm 제사에서 떡을 올려놓는 제기이다. 진전(眞殿)이나 산릉(山陵) 제사 등 속제(俗祭)에 사용한다. 병기는 굽이 높은 접시 형태로 적기(炙器)와 같이 정사각형인 것과 원형인 것이 있다. 원형인 것은 끝부분이 살짝 위로 말려있다.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cultureSeq=00023972RT&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 <html><img width="20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고박_병기_떡접시.jpg"/></html>
 +
|}
  
 
==Web Resource==
 
==Web Resource==

2022년 11월 4일 (금) 16:24 판

2022 3D모델링-음식

Definition

각색병은 고임상의 음식 중 가장 높게 고이는 궁중연회에서 중요한 음식이다. 편편한 시루떡을 밑에 깔고 그 위에 여러 가지 색을 들여 작게 모양 낸 절편, 조악, 단자 등 웃기떡을 위에 올려 다양한 종류의 떡을 한 그릇에 담아 고인다. 궁중연회에서 왕과 왕족에게 많은 가짓수의 음식을 높이 고인 고임상을 올린다. 고임은 음식에 따라 높이가 다른데, 이 중 가장 높이 고이는 음식은 떡이다. 『무신 진찬의궤』(1848)에 따르면 통명전 상호일 진별찬_대왕대비전 진어별찬안에 오른 각색병 1 그릇은 6촌으로 고였다. 들어가는 떡은 백두녹두메시루떡, 깨찰시루떡, 석이밀설기, 볶은팥찰시루떡, 백설기 등의 시루떡과 합병(두텁떡), 각색조악, 화전, 석이단자 등의 웃기떡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ontextual Relations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무신진찬의궤:1848 3D-각색병-웃기 references 各色餠 一器 [高六寸]白豆菉豆粳甑餠 : 白米 二升 五合, 粘米 五合, 去皮豆·菉豆 各 一升, 大棗·實生栗 各 三合. / 荏子粘甑餠 : 粘米 一升, 實荏子 四合, 大棗·實生栗 各 一合. / 石耳蜜雪只 : 粘米 一升, 石耳末 二合, 大棗·實生栗·辛甘草末 各 一合, 淸 三合, 實栢子 五勺. / 炒豆粘甑餠 : 粘米 一升, 去皮豆 六合, 淸 四合, 大棗·實生栗 各 一合. / 白雪只: 白米 一升, 石耳 一合, 甘苔 半張, 實栢子 五勺. / 盒餠 : 粘米 一升, 赤豆 七合, 大棗·實生栗 各 三合, 去皮豆 五勺, 桂皮末·胡椒末 各 二勺. / 各色助岳: 粘米 一升, 去皮豆·眞油 各 四合, 大棗 五合, 梔子 十箇, 甘苔 一張, 淸 三合, 實栢子 二勺, 桂皮末 一勺. / 花煎: 粘米 一升, 眞油 四合, 淸 三合, 實栢子 二勺. / 石耳團子: 粘米 一升, 石耳末·大棗 各 三合, 實生栗 二合, 實栢子 八合, 淸 五合, 桂皮末 二勺통명전 상호일 진별찬_대왕대비전 진어별찬안각색병 1 그릇은 6촌으로 고였다. 들어가는 떡의 재료는 백두녹두경증병 백미2승5합, 점미5합, 거피두·녹두 각1승, 대조·실생률각3합임자점증병 점미1승, 실백자4합, 대조·실생률 각1합석이밀석기 점미1승, 석이말 2합, 대조·실생률·신감초말 각1합, 청3합, 실백자5작초두점증병 점미1승, 거피두6합, 청4합, 대조·실생률 각1합백설기 백미1승, 석이1합, 감태반장, 실백자5작합병 점미1승, 적두7합, 대조·실생률 각3합, 청5합, 샐백자5작, 계피말·호초말각2작각색조악 점미1승, 거피두·진유각4합, 대조5합, 치자10개, 감태1장, 청3합, 실백자2작, 계피말1작화전 점미1승, 진유4합, 청3합, 실백자2작석이단자 점미1승, 석이말·대조 각3합, 실생률2합, 실백자8합, 청5합, 계피말2작 3D-각색병-웃기 references 병기 餠器 크기(cm)높이: 6.3cm, 최대지름: 20.3cm, 굽지름: 13cm 제사에서 떡을 올려놓는 제기이다. 진전(眞殿)이나 산릉(山陵) 제사 등 속제(俗祭)에 사용한다. 병기는 굽이 높은 접시 형태로 적기(炙器)와 같이 정사각형인 것과 원형인 것이 있다. 원형인 것은 끝부분이 살짝 위로 말려있다.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cultureSeq=00023972RT&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원문 디지털장서각 (무신)진찬의궤 3책-찬품 연회명, 상차림명, 음식 구성, 재료 분량 상세히 기록함.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2874%7C003&itemCode=TXT_ARC_AA#node?depth=2&upPath=001&dataId=001
원문, 해설 디지털장서각 (무신)진찬의궤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원문 국립중앙박물관>소장품검색>무신년의 궁중 잔치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693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진찬의궤(進饌儀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937
해설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헌종무신진찬의궤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헌종무신진찬의궤
해설 한국 기록유산 Encyves 무신진찬도병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무신진찬도병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역사백과>역사기록물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만경전 잔치의 찬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869&docId=5678717&categoryId=62869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8956383286 93670 단행본 전통예술원 편,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1-3, 서울:민속원, 2004, 2005. RISS http://www.riss.kr/link?id=M10415588
ISBN:9788985764940 단행본 이효지, 한복려, 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NAVER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62869&categoryId=62869
ISBN:8970943366 단행본 황혜성 외, 『한국음식문화대관 6권』,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RISS http://www.riss.kr/link?id=M9030570
ISBN:9788996416890 단행본 정길자 외, 『궁중의 떡과 과자』 , 소풍, 2012. RISS http://www.riss.kr/link?id=M13105437
ISBN:9788985719124 단행본 한복려 외, 『(정조의 효심이 담긴 원행상차림)수라일기』, 1,2권, 궁중음식연구원, 2018. RISS http://www.riss.kr/link?id=M16495249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