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함녕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
==Definition==
 +
중화전 동쪽에 있는, 고종 황제의 침전이다. 고종은 1919년 1월 22일 이 곳에서 승하했다. 1901년 7월, 황태자(순종)가 고종의 오순(五旬)을 경하하며 함녕전에서 잔치를 열었는데, 그 장면이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으로 남아 있다. 함녕전은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던 고종이 환궁하여 1897년에 세운 것으로, 1904년 경운궁 대화재가 이 곳에서 시작됐다. 당시 함녕전의 온돌을 수리하고 이를 말리기 위해 지핀 불로 화재가 났고, 불길이 주위로 번지면서 함녕전을 포함해 경운궁 일대가 모두 소실됐다. 지금 것은 같은 해 중건해 1905년 1월에 상량한 것이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2년 4월 8일 (금) 22:45 판

Definition

중화전 동쪽에 있는, 고종 황제의 침전이다. 고종은 1919년 1월 22일 이 곳에서 승하했다. 1901년 7월, 황태자(순종)가 고종의 오순(五旬)을 경하하며 함녕전에서 잔치를 열었는데, 그 장면이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으로 남아 있다. 함녕전은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던 고종이 환궁하여 1897년에 세운 것으로, 1904년 경운궁 대화재가 이 곳에서 시작됐다. 당시 함녕전의 온돌을 수리하고 이를 말리기 위해 지핀 불로 화재가 났고, 불길이 주위로 번지면서 함녕전을 포함해 경운궁 일대가 모두 소실됐다. 지금 것은 같은 해 중건해 1905년 1월에 상량한 것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해당 위키주소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 [[]] [[]]
[[]] [[]] [[]]

3D모델 지리정보 참고자료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remark
[[]] 지리정보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