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중화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3D모델 지리정보 참고자료)
39번째 줄: 39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
 
|-
 
|-
| || || [[]] || 지리정보 ||  
+
| 보고서-문화재청-2006-덕수궁_덕수궁복원정비계획_경운궁중건배치도 || 3D_덕수궁_중화전 || [[references]] || 지리정보 ||  
 
|}
 
|}
  

2022년 4월 7일 (목) 23:42 판

Definition

덕수궁의 중심 건물이다. 임금이 조회를 비롯해 하례(賀禮)를 받거나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등 나라의 중요한 행사나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다른 건물과 달리 두 단의 돌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지었는데, 1902년에 지은 것은 1904년 화재로 소실됐고, 지금 것은 1906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중화전 안에는 ‘닫집’ 혹은 ‘당가’라고 불리는 집 속의 집이 있고, 그 안에 임금이 앉던 어좌가 있다. 어좌 뒤로는 세 번 접었다하여 ‘섬절 곡병’이라 불리는 병풍이, 그 뒤로는 왕을 상징하는 병풍인 일월오악도(日月崑崙圖) 가 놓여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덕수궁_중화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덕수궁 중화전(德壽宮 中和殿) 덕수궁 중화전 德壽宮 中和殿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덕수궁_중화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덕수궁 덕수궁_중화전 hasPart
덕수궁_중화전 3D-덕수궁_중화전_및_중화문1 isShownBy 3D모델
덕수궁_중화전 3D-덕수궁_중화전_및_중화문2 isShownBy 3D모델
덕수궁_중화전 3D-덕수궁_중화전_서행각 isShownBy 3D모델
덕수궁_중화전 3D-덕수궁_중화전_남행각 isShownBy 3D모델
덕수궁_중화전 3D-덕수궁_중화전_동행각1 isShownBy 3D모델
덕수궁_중화전 3D-덕수궁_중화전_동행각2 isShownBy 3D모델

3D모델 지리정보 참고자료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remark
보고서-문화재청-2006-덕수궁_덕수궁복원정비계획_경운궁중건배치도 3D_덕수궁_중화전 references 지리정보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