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포 청색중단-황태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finition== 대한제국 황태자가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강사포 안에 입던 옷이다.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Clothing || 복식 || 옷 || | + | | [[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Clothing || 복식 || 옷 || 강사포 청색중단-황태자(絳紗袍 靑色中單) || 강사포 청색중단-황태자 || 絳紗袍 靑色中單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html><img width="60"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복식/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png"/></html> |
|- | |- | ||
|} | |}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재현물 제작 정보=== | ===재현물 제작 정보===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55쪽.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이미지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54_강사포_청색중단-황제-01.png"/></html> | ||
+ | |- | ||
+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9쪽.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사이즈(㎝)<br/> 뒷길이 133, 화장 117, 뒤품 62, 진동 30.5, 소매너비 76, 깃너비 11 ||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뒤)<br/> * 원단 색상은 어두운 청색이고, 깃, 고름, 소매선단, 도련선단은 붉은색.<br/> * 깃에 금색 불문(亞자문) 13개 장식. 목 뒤 중앙에 불문 1개를 중심으로 좌우 각 6개씩 장식.<br/> * 오른쪽 사진(십이장복 중단 재현품 착장모습)은 뒷모습 형태와 깃 모양 참고.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54_강사포_청색중단-황제-02.png"/></html> | ||
+ | |- | ||
+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69쪽.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앞)<br/> * 재현품 착장모습 사진으로 모델이 옷을 착장했을 때 옷의 형태 참고.(색상참고 x)<br/> ①목을 많이 감싸고,<br/> ②소매는 땅에 닿을 만큼 길어야 하며,<br/> ③옷을 타이트하게 잡아당기지 않아야 한다.<br/> ④전체적으로 옷의 품이 넉넉하다. || <html><img width="8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54_강사포_청색중단-황제-03.png"/></html>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깃 부분 확대)<br/> 바디에 착장시 깃 표현은 이 세 장의 사진을 참고.(한복 제작시 공통 부분)<br/> 한복 원단은 특성상 구김없이 펴져 있으려는 성질이 있음.<br/> 특히 ‘깃’은 속에 심감도 있어 최소 2겹 이상으로 제작되므로 다른 부분보다 더욱 힘이 있다.<br/> 따라서 목선을 따라 굴곡지지 않고 삼각형 형태로 직선을 유지한다.<br/> 3D 제작하면서 베이스 바디에 입힐 때에 이 부분을 유의.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54_강사포_청색중단-황제-04.png"/></html>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깃 부분 확대)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54_강사포_청색중단-황제-05.png"/></html>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깃 부분 확대)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54_강사포_청색중단-황제-06.png"/></html> | ||
+ | |- | ||
+ | |}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50번째 줄: | 67번째 줄: |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강사포(絳紗袍)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42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강사포(絳紗袍)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42 | ||
|- | |- | ||
−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중단(中單) || || | +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중단(中單)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88 |
|- | |- | ||
| 해설 || 한국복식사전 || 강사포 || ||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3 | | 해설 || 한국복식사전 || 강사포 || ||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3 | ||
60번째 줄: | 77번째 줄: | ||
| 해설 || AKS Encyves || 중단(왕실남성)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중단(왕실남성) | | 해설 || AKS Encyves || 중단(왕실남성)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중단(왕실남성) | ||
|- | |- | ||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 중단(中單)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548 |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 중단(中單)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826&docId=111548&categoryId=41826 |
|- | |-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패션전문자료사전 || 강사포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822&docId=275235&categoryId=42822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패션전문자료사전 || 강사포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822&docId=275235&categoryId=42822 | ||
125번째 줄: | 142번째 줄: | ||
</html> | </html>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Clothing]] [[분류:김현승]] [[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Clothing]] [[분류:김현승]] [[분류:김아람]] |
2021년 12월 18일 (토) 17:35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대한제국 황태자가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강사포 안에 입던 옷이다.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으며, 조선말까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상의와 하상이 완전히 하나로 통합된 옷으로, 요즘의 두루마기처럼 허리에 이음선 없이 위에서 아래까지 하나인 옷이다. 청색 중단의 깃·소매끝·길 가장자리에 붉은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11개 그려넣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Clothing | 복식 | 옷 | 강사포 청색중단-황태자(絳紗袍 靑色中單) | 강사포 청색중단-황태자 | 絳紗袍 靑色中單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hasReferenceNote | ||
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isShownBy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55쪽.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이미지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9쪽.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사이즈(㎝) 뒷길이 133, 화장 117, 뒤품 62, 진동 30.5, 소매너비 76, 깃너비 11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뒤) * 원단 색상은 어두운 청색이고, 깃, 고름, 소매선단, 도련선단은 붉은색. * 깃에 금색 불문(亞자문) 13개 장식. 목 뒤 중앙에 불문 1개를 중심으로 좌우 각 6개씩 장식. * 오른쪽 사진(십이장복 중단 재현품 착장모습)은 뒷모습 형태와 깃 모양 참고.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69쪽.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앞) * 재현품 착장모습 사진으로 모델이 옷을 착장했을 때 옷의 형태 참고.(색상참고 x) ①목을 많이 감싸고, ②소매는 땅에 닿을 만큼 길어야 하며, ③옷을 타이트하게 잡아당기지 않아야 한다. ④전체적으로 옷의 품이 넉넉하다.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깃 부분 확대) 바디에 착장시 깃 표현은 이 세 장의 사진을 참고.(한복 제작시 공통 부분) 한복 원단은 특성상 구김없이 펴져 있으려는 성질이 있음. 특히 ‘깃’은 속에 심감도 있어 최소 2겹 이상으로 제작되므로 다른 부분보다 더욱 힘이 있다. 따라서 목선을 따라 굴곡지지 않고 삼각형 형태로 직선을 유지한다. 3D 제작하면서 베이스 바디에 입힐 때에 이 부분을 유의.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깃 부분 확대) | |
경운박물관 | 3D-강사포_청색중단-황태자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모습(깃 부분 확대) |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bbsSeq=4466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기획총서 |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bbsSeq=4259 |
단행본 |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상방정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
단행본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
단행본 | 남윤자,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적색계 색명의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
단행본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
단행본 | 류희경,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 ||
단행본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단행본 | 소종·정완진·김순영·문공화·이경미, 『국역 중국정사여복지』, 민속원, 2014. | ||
단행본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
단행본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단행본 | 홍나영·신혜성·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
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도록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5901 |
도록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명선(名選)-중(中)』,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도록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문화재청 문화재도서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507&bbsId=BBSMSTR_1021 |
도록 |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대한제국 황제복식』,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8. | 문화재청 문화재도서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3209&bbsId=BBSMSTR_1021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