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 친경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Definition)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1909년(순종 2) 4월 5일, 1910년(순종 3) 5월 5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친경식(親耕式)을 행하였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4005_001 순종 2년 4월 5일: 동적전에 나가 밭을 가는 의식을 진행하다]<br/>[http://sillok.history.go.kr/id/kzb_10305005_001 순종 3년 5월 5일: 동적전에 나가 친경하는 의식을 진행하다]</ref> | + | 【1909년(순종 2) 4월 5일, 1910년(순종 3) 5월 5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친경식(親耕式)을 행하였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4005_001 순종 2년 4월 5일: 동적전에 나가 밭을 가는 의식을 진행하다]<br/>[http://sillok.history.go.kr/id/kzb_10305005_001 순종 3년 5월 5일: 동적전에 나가 친경하는 의식을 진행하다]</ref> 1909년 4월 5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행차를 했다. 밭을 직접 갈고 농사를 권장하는 친경식(親耕式)을 위해서다. 농사를 중시 여기는 임금의 뜻을 농부들에게 알리고 백성들의 고통을 달래주기 위함이었다. 고종 31년(1894년) 이래 오랫동안 행하지 않았던 행사였다. 순종은 이날 오전 10시 돈화문을 지나 선농단 남단의 동적전(東籍田)으로 가서 쌍우(雙牛)에 멍에를 씌운 뒤 연장을 직접 잡고 밭을 갈았다.<br/> |
+ | 황족과 각 대신들도 한 번씩 돌아가면서 밭을 가는 예식을 행했다. 다음으로 70세 이상 고령의 농부들이 일제히 경전하는 행사가 이어졌다. 순종은 동적전 근처에 설치한 관경대(觀耕臺)에 올라 신하들이 밭 가는 모습을 바라보았다. 오후에는 뽕나무와 소나무, 전나무 등 여러 종류의 나무를 심고 오후 2시 30분 환궁했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3510985 중앙선데이, 〔GALLERY〕100년 전 임금님의 밭 갈기-순종의 친경식(親耕式) 행사, 중앙일보 2009-02-28]</ref> | ||
순종의 순행, 친경식을 비롯한 각종 행차가 많이 행해진 이유를, 말을 타고 서양식 머리와 옷차림을 한 황제를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충군정신을 이끌어내어 당시의 정치적 불안과 저항을 타개하려는 이토의 정치적 전략으로 보기도 한다.<ref>권행가, 「근대적 시각체제의 형성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3.</ref> | 순종의 순행, 친경식을 비롯한 각종 행차가 많이 행해진 이유를, 말을 타고 서양식 머리와 옷차림을 한 황제를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충군정신을 이끌어내어 당시의 정치적 불안과 저항을 타개하려는 이토의 정치적 전략으로 보기도 한다.<ref>권행가, 「근대적 시각체제의 형성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3.</ref> | ||
2021년 7월 29일 (목) 23:22 판
목차
Definition
【1909년(순종 2) 4월 5일, 1910년(순종 3) 5월 5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친경식(親耕式)을 행하였다.[1] 1909년 4월 5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행차를 했다. 밭을 직접 갈고 농사를 권장하는 친경식(親耕式)을 위해서다. 농사를 중시 여기는 임금의 뜻을 농부들에게 알리고 백성들의 고통을 달래주기 위함이었다. 고종 31년(1894년) 이래 오랫동안 행하지 않았던 행사였다. 순종은 이날 오전 10시 돈화문을 지나 선농단 남단의 동적전(東籍田)으로 가서 쌍우(雙牛)에 멍에를 씌운 뒤 연장을 직접 잡고 밭을 갈았다.
황족과 각 대신들도 한 번씩 돌아가면서 밭을 가는 예식을 행했다. 다음으로 70세 이상 고령의 농부들이 일제히 경전하는 행사가 이어졌다. 순종은 동적전 근처에 설치한 관경대(觀耕臺)에 올라 신하들이 밭 가는 모습을 바라보았다. 오후에는 뽕나무와 소나무, 전나무 등 여러 종류의 나무를 심고 오후 2시 30분 환궁했다.[2]
순종의 순행, 친경식을 비롯한 각종 행차가 많이 행해진 이유를, 말을 타고 서양식 머리와 옷차림을 한 황제를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충군정신을 이끌어내어 당시의 정치적 불안과 저항을 타개하려는 이토의 정치적 전략으로 보기도 한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순종_친경식 | Event | 사건 | 순종 친경식 | 순종 친경식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순종_친경식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김지영, 「영조대 친경의식 거행과 『친경의궤』」, 『한국학보』 28-2, 일지사, 2002.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975421 |
논문 | 한형주, 「조선시대의 先蠶祭와 親蠶의식」, 『韓國史學報』 58, 고려사학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68343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순종 2년 4월 5일: 동적전에 나가 밭을 가는 의식을 진행하다
순종 3년 5월 5일: 동적전에 나가 친경하는 의식을 진행하다 - ↑ 중앙선데이, 〔GALLERY〕100년 전 임금님의 밭 갈기-순종의 친경식(親耕式) 행사, 중앙일보 2009-02-28
- ↑ 권행가, 「근대적 시각체제의 형성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3.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