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릉-徽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Node Descrip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 제16대 국왕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씨(趙氏)를 단릉 형식으로 조성한 왕비릉으로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하나로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다. 장렬왕후는 1659년(효종 10)에 효종이 승하할 때와 또 1674년(현종 15)에 효종의 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승하할 때, 상복을 입는 기간을 놓고 벌어진 예송 논쟁의 중심이 된 인물이었다. 휘릉의 현궁(玄宮)은 회격분(灰隔墳)으로 조성되었다. 능상은 봉분을 만들어 난간석을 둘렀으며, 뒤쪽에는 곡장(曲墻)을 설치했다. 봉분의 사방에는 양석과 호석 각 4개씩을 두었다. 봉분 상계(上階)에는 혼유석과 망주석 1쌍을 설치하고, 중계(中階)에는 장명등과 문인석, 마석 1쌍씩을, 하계(下階)에는 무인석과 마석 1쌍씩을 배치했다. 맞배지붕의 정자각은 정전(正殿) 3칸에 좌우 익각(翼閣), 배위청(拜位廳) 3칸으로 이루어진 8칸 규모로 조성되었다. 봉분 앞 혼유석(魂遊石)을 받치고 있는 고석(鼓石)은 5개로, 도깨비가 새겨져 있다. 조선 태조에서 세종에 이르는 왕릉의 고석은 모두 5개였다가 이후 왕릉부터 4개로 줄었는데 휘릉 때부터 다시 초기의 형식을 따라 5개가 조성되었다.
+
조선 제16대 국왕 [[조선_인조|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장렬왕후]][[단릉]] 형식으로 조성한 왕비릉으로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하나로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다. 장렬왕후는 1659년(효종 10)에 효종이 승하할 때와 또 1674년(현종 15)에 [[조선_효종|효종]]의 [[인선왕후|인선왕후(仁宣王后)]]가 승하할 때, 상복을 입는 기간을 놓고 벌어진 예송 논쟁의 중심이 된 인물이었다. 휘릉의 현궁(玄宮)은 회격분(灰隔墳)으로 조성되었다. 능상은 봉분을 만들어 난간석을 둘렀으며, 뒤쪽에는 곡장(曲墻)을 설치했다. 봉분의 사방에는 양석과 호석 각 4개씩을 두었다. 봉분 상계(上階)에는 혼유석과 망주석 1쌍을 설치하고, 중계(中階)에는 장명등과 문인석, 마석 1쌍씩을, 하계(下階)에는 무인석과 마석 1쌍씩을 배치했다. 맞배지붕의 정자각은 정전(正殿) 3칸에 좌우 익각(翼閣), 배위청(拜位廳) 3칸으로 이루어진 8칸 규모로 조성되었다. 봉분 앞 혼유석(魂遊石)을 받치고 있는 고석(鼓石)은 5개로, 도깨비가 새겨져 있다. [[조선_태조]]에서 [[조선_세종]]에 이르는 왕릉의 고석은 모두 5개였다가 이후 왕릉부터 4개로 줄었는데 휘릉 때부터 다시 초기의 형식을 따라 5개가 조성되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9번째 줄: 9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휘릉-徽陵]] || Place || 능묘 || 왕비릉 || 휘릉-徽陵 || 휘릉-휘릉 || 徽陵-徽陵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휘릉-徽陵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place.png"/></html>  
+
| [[휘릉-徽陵]] || Place || 능묘 || 왕비릉 || 휘릉(徽陵) || 휘릉 || 徽陵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휘릉-徽陵 ||   <html><img src="http://dh.aks.ac.kr/Encyves/Graph/icons/royal_tomb.png"/></html>  
 
|-
 
|-
 
|}
 
|}
24번째 줄: 24번째 줄:
 
| [[휘릉-徽陵]] || [[ 장렬왕후_조씨 ]] ||  [[ isTombOf ]]  ||    ||
 
| [[휘릉-徽陵]] || [[ 장렬왕후_조씨 ]] ||  [[ isTombOf ]]  ||    ||
 
|-
 
|-
| [[휘릉-徽陵]] || [[ 동구릉 ]] ||  [[ isPartOf ]]  ||    ||
+
| [[ 동구릉 ]] || [[휘릉-徽陵]] ||  [[ hasPart ]]  ||    ||
 
|-
 
|-
 
| [[휘릉-徽陵]] || [[ 장릉-長陵 ]] ||  [[ isRelatedTo ]]  ||    || 인조의 계비와 원비의 능
 
| [[휘릉-徽陵]] || [[ 장릉-長陵 ]] ||  [[ isRelatedTo ]]  ||    || 인조의 계비와 원비의 능
71번째 줄: 71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해당id"></iframe><br/>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휘릉-徽陵"></iframe><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해당id'">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휘릉-徽陵'">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Place]] [[분류:박지윤]]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Place]] [[분류:박지윤]]

2021년 12월 4일 (토) 12:3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 제16대 국왕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단릉 형식으로 조성한 왕비릉으로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하나로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다. 장렬왕후는 1659년(효종 10)에 효종이 승하할 때와 또 1674년(현종 15)에 효종의 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승하할 때, 상복을 입는 기간을 놓고 벌어진 예송 논쟁의 중심이 된 인물이었다. 휘릉의 현궁(玄宮)은 회격분(灰隔墳)으로 조성되었다. 능상은 봉분을 만들어 난간석을 둘렀으며, 뒤쪽에는 곡장(曲墻)을 설치했다. 봉분의 사방에는 양석과 호석 각 4개씩을 두었다. 봉분 상계(上階)에는 혼유석과 망주석 1쌍을 설치하고, 중계(中階)에는 장명등과 문인석, 마석 1쌍씩을, 하계(下階)에는 무인석과 마석 1쌍씩을 배치했다. 맞배지붕의 정자각은 정전(正殿) 3칸에 좌우 익각(翼閣), 배위청(拜位廳) 3칸으로 이루어진 8칸 규모로 조성되었다. 봉분 앞 혼유석(魂遊石)을 받치고 있는 고석(鼓石)은 5개로, 도깨비가 새겨져 있다. 조선_태조에서 조선_세종에 이르는 왕릉의 고석은 모두 5개였다가 이후 왕릉부터 4개로 줄었는데 휘릉 때부터 다시 초기의 형식을 따라 5개가 조성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휘릉-徽陵 Place 능묘 왕비릉 휘릉(徽陵) 휘릉 徽陵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휘릉-徽陵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휘릉-徽陵 단릉 type
휘릉-徽陵 장렬왕후_조씨 isTombOf
동구릉 휘릉-徽陵 hasPart
휘릉-徽陵 장릉-長陵 isRelatedTo 인조의 계비와 원비의 능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휘릉(徽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5829
해설 위키실록사전 휘릉(徽陵)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휘릉(徽陵)
해설 위키백과 휘릉 (조선) https://ko.wikipedia.org/wiki/휘릉 (조선)
해설 두산백과 휘릉(徽陵)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5001
참고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구리 동구릉 동구릉 이야기>휘릉 http://royaltombs.cha.go.kr/tombs/selectTombInfoList.do?tombseq=104&mn=RT_01_01_01
참고 주간동아>신의 정원 조선 왕릉25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휘릉 https://weekly.donga.com/3/all/11/90800/1
동영상 두산백과 휘릉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deoView&MAS_IDX=101013000865001&VID_IDX=201223000014766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한국문원 편집실, (문화유산)왕릉 : 왕릉 기행으로 엮은 조선왕조사, (주)한국문원, 1995 다음>책 https://search.daum.net/search?w=bookpage&bookId=1235005&tab=introduction&DA=LB2&q=한국문원 왕릉
단행본 이규원, 조선왕릉실록, 글로세움, 2012 다음>책 https://search.daum.net/search?w=bookpage&bookId=4811930&tab=introduction&DA=LB2&q=조선왕릉실록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