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차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그는 북경주재 러시아공사관의 무관을 지냈고 야마가타의 모스코바 방문시 러시아의 수행참모역을 한 바 있다. 뿌챠타는 현지에서 러시아 군사교관에 의한 조선군의 훈련과 조직 등에 관하여 형식상으로는 전권을 위임받은 셈이었다. 이들 교관단의 장교·하사관 모두가 조선정부로부터 공식적으로 고용되었지만, 뿌챠타만은 조선정부에 고용된 것이 아니었다. 뿌챠타는 출발전 고종의 신변경비와 조선군의 훈련을 위해 필요한 러시아군의 파견을 정부에 요청하였다. 그가 파견을 요청한 군사의 수는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에서 규정하고 있던 조선내 주둔 일본군과 같은 수인 800명이었다. 그러나 그의 요청은 로바노프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보류되고 있었다. 로바노프는 군부대신 반노프스키나 뿌챠탸의 거듭된 주장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상황이 좀더 명료해진 뒤에야 군사교관의 파견이 가능하다는 입장하에 이를 보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군부의 주장을 견제하던 로바노프가 갑자기 사망하자 군부의 입김이 작용할 여지가 확대되었다.로바노프가 사망한 것은 민영환특사가 귀환중이던 8월 31일, 사행이 로바노프를 작별한지 약 2주만이었다. 민영환과 동행했던 뿌챠타는 하바로프스크에 이르러 급한 일로 뒤에 남았다가, 뒤에 블라디보스톡에서 민영환 일행과 다시 합류하였다. 러시아가 13명의 군사교관을 출발시키기로 한 것은 민영환특사가 블라디보스톡에 도착한 바로 그 직후였다. 즉 민영환과 합류한 뿌챠타는 거기서 러시아 당국에 군사교관을 출발시킬 것을 요청하였고, 이후 그들은 군사교관들과 동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 + | 【1855~1915】. 그는 북경주재 러시아공사관의 무관을 지냈고 야마가타의 모스코바 방문시 러시아의 수행참모역을 한 바 있다. 뿌챠타는 현지에서 러시아 군사교관에 의한 조선군의 훈련과 조직 등에 관하여 형식상으로는 전권을 위임받은 셈이었다. 이들 교관단의 장교·하사관 모두가 조선정부로부터 공식적으로 고용되었지만, 뿌챠타만은 조선정부에 고용된 것이 아니었다. 뿌챠타는 출발전 고종의 신변경비와 조선군의 훈련을 위해 필요한 러시아군의 파견을 정부에 요청하였다. 그가 파견을 요청한 군사의 수는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에서 규정하고 있던 조선내 주둔 일본군과 같은 수인 800명이었다. 그러나 그의 요청은 로바노프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보류되고 있었다. 로바노프는 군부대신 반노프스키나 뿌챠탸의 거듭된 주장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상황이 좀더 명료해진 뒤에야 군사교관의 파견이 가능하다는 입장하에 이를 보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군부의 주장을 견제하던 로바노프가 갑자기 사망하자 군부의 입김이 작용할 여지가 확대되었다.로바노프가 사망한 것은 민영환특사가 귀환중이던 8월 31일, 사행이 로바노프를 작별한지 약 2주만이었다. 민영환과 동행했던 뿌챠타는 하바로프스크에 이르러 급한 일로 뒤에 남았다가, 뒤에 블라디보스톡에서 민영환 일행과 다시 합류하였다. 러시아가 13명의 군사교관을 출발시키기로 한 것은 민영환특사가 블라디보스톡에 도착한 바로 그 직후였다. 즉 민영환과 합류한 뿌챠타는 거기서 러시아 당국에 군사교관을 출발시킬 것을 요청하였고, 이후 그들은 군사교관들과 동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푸차타 || Actor || 인물 || 외국인 || 푸차타(Poutiata, 1855~1915) || 푸차타 || || Poutiata || | + | | 푸차타 || Actor || 인물 || 외국인 || 푸차타(Poutiata, 1855~1915) || 푸차타 || || Poutiata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푸차타 || |
|} | |}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푸차타 || | + | | 푸차타 || 로바노프_야마가타_의정서 || [[isRelatedTo]] || || 푸차타는 로바노프_야마가타 의정서에 의해 군사 800명과 함께 조선에 파견되었다. |
|- | |- | ||
− | | 푸차타 || [[민영환]] || | + | | 푸차타 || [[민영환]] || [[isRelatedTo]] || || 푸차타는 러시아특사로 파견된 민영환과 동행하던 중에 같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나 조선으로 왔다. |
|- | |- | ||
− | | 푸차타 || [[스페이에르]] || | + | | 푸차타 || [[스페이에르]] || [[isRelatedTo]] || || 푸차타는 스페이에르의 주선으로 조선에 군사교관을 파견했다. |
|- | |- | ||
− | + | | 푸차타 || [[아관파천]] || [[isRelatedTo]] || || 푸차타는 아관파천기에 군사교관으로 파견되었다. | |
− | |||
− | | 푸차타 || [[아관파천]] || | ||
|} | |} | ||
37번째 줄: | 35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신편 한국사 41 || 신편 한국사 41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Ⅰ. 러·일간의 각축 > 2. 아관파천 > 4) 고종의 환궁 > (1) 러시아 군사교관의 초빙 || || | + | | 해설 || 신편 한국사 41 || 신편 한국사 41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Ⅰ. 러·일간의 각축 > 2. 아관파천 > 4) 고종의 환궁 > (1) 러시아 군사교관의 초빙 || || http://db.history.go.kr/id/nh_041_0020_0020_0040_0010 |
− | |||
|} | |} | ||
− | |||
==Bibliography== | ==Bibliography== | ||
47번째 줄: | 43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김영수, 「러시아군사교관 단장 뿌짜따와 조선군대」, | + | | 논문 || 김영수, 「러시아군사교관 단장 뿌짜따와 조선군대」, 『군사』 6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 || |
|- | |- | ||
− | | | + | | 단행본 || 이민원, 「조선의 러시아군사교관 초빙과 고종의 환궁」, 『죽당 李炫熙敎授 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1997. || || |
− | |||
− | |||
|- | |- | ||
+ | | 논문 || 이민원, 「19세기말 러시아 군사교관단의 활동과 역할」, 『군사』 44,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 || | ||
|} | |} | ||
− | |||
==Notes== | ==Notes== | ||
63번째 줄: | 57번째 줄: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푸차타"></iframe><br/>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푸차타'"> |
</html> | </html> | ||
2021년 12월 2일 (목) 18:11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1855~1915】. 그는 북경주재 러시아공사관의 무관을 지냈고 야마가타의 모스코바 방문시 러시아의 수행참모역을 한 바 있다. 뿌챠타는 현지에서 러시아 군사교관에 의한 조선군의 훈련과 조직 등에 관하여 형식상으로는 전권을 위임받은 셈이었다. 이들 교관단의 장교·하사관 모두가 조선정부로부터 공식적으로 고용되었지만, 뿌챠타만은 조선정부에 고용된 것이 아니었다. 뿌챠타는 출발전 고종의 신변경비와 조선군의 훈련을 위해 필요한 러시아군의 파견을 정부에 요청하였다. 그가 파견을 요청한 군사의 수는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에서 규정하고 있던 조선내 주둔 일본군과 같은 수인 800명이었다. 그러나 그의 요청은 로바노프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보류되고 있었다. 로바노프는 군부대신 반노프스키나 뿌챠탸의 거듭된 주장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상황이 좀더 명료해진 뒤에야 군사교관의 파견이 가능하다는 입장하에 이를 보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군부의 주장을 견제하던 로바노프가 갑자기 사망하자 군부의 입김이 작용할 여지가 확대되었다.로바노프가 사망한 것은 민영환특사가 귀환중이던 8월 31일, 사행이 로바노프를 작별한지 약 2주만이었다. 민영환과 동행했던 뿌챠타는 하바로프스크에 이르러 급한 일로 뒤에 남았다가, 뒤에 블라디보스톡에서 민영환 일행과 다시 합류하였다. 러시아가 13명의 군사교관을 출발시키기로 한 것은 민영환특사가 블라디보스톡에 도착한 바로 그 직후였다. 즉 민영환과 합류한 뿌챠타는 거기서 러시아 당국에 군사교관을 출발시킬 것을 요청하였고, 이후 그들은 군사교관들과 동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푸차타 | Actor | 인물 | 외국인 | 푸차타(Poutiata, 1855~1915) | 푸차타 | Poutiata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푸차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푸차타 | 로바노프_야마가타_의정서 | isRelatedTo | 푸차타는 로바노프_야마가타 의정서에 의해 군사 800명과 함께 조선에 파견되었다. | |
푸차타 | 민영환 | isRelatedTo | 푸차타는 러시아특사로 파견된 민영환과 동행하던 중에 같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나 조선으로 왔다. | |
푸차타 | 스페이에르 | isRelatedTo | 푸차타는 스페이에르의 주선으로 조선에 군사교관을 파견했다. | |
푸차타 | 아관파천 | isRelatedTo | 푸차타는 아관파천기에 군사교관으로 파견되었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신편 한국사 41 | 신편 한국사 41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Ⅰ. 러·일간의 각축 > 2. 아관파천 > 4) 고종의 환궁 > (1) 러시아 군사교관의 초빙 | http://db.history.go.kr/id/nh_041_0020_0020_0040_0010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김영수, 「러시아군사교관 단장 뿌짜따와 조선군대」, 『군사』 6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 ||
단행본 | 이민원, 「조선의 러시아군사교관 초빙과 고종의 환궁」, 『죽당 李炫熙敎授 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1997. | ||
논문 | 이민원, 「19세기말 러시아 군사교관단의 활동과 역할」, 『군사』 44,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