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국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Contextual Relations)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황제|고종]]의 비.  
+
【1905년 7월】. 신정국문(新訂國文). 1905년 7월 지석영이 고종 황제에게 올린 국어맞춤법 통일안. 지석영이 참정대신 심상훈(沈相薰)과 학부대신 민영철(閔泳喆)을 통해 고종황제에게 올려 1905년 7월 19일에 결재함으로써 실시하게 된 국어맞춤법이다. 전문가의 검토도 거치지 않은 채 실시되자, 학식가들의 반대가 적지 않았다. 모두 6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① 오음상형변(五音象形辨), ② 초중종삼성변(初中終三聲辨), ③ 합자변(合字辨), ④ 고저변(高低辨), ⑤ 첩음산정변(疊音刪正辨), ⑥ 중성이정변(重聲釐正辨) 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규정이다. 새로운 글자 창조 등의 문제점 지적이나 시정 요구로 적지않은 갈등이 있었다.
본관 여흥. 아버지는 [[민치록 | 민치록(閔致祿)]], 어머니는 [[한창부부인_이씨|한창부부인 이씨]]이다.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_이하응|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_민씨|부대부인 민씨]]에 의해 왕비로 간택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 [[임오군란]] 때 궁중을 탈출했다가 돌아온 적이 있고 <u>[[갑신정변]]이 무위에 그치는 데 일조를 했다</u><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297 명성황후(明成皇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는 평가가 있다. 19세기 말 내외의 격동 속에서 고종과 함께 국정을 주도하고자 했으나 1895년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되었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고종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_洪陵|홍릉]]에 합장되어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1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공립협회]] || Actor || 단체 ||  || 공립협회(共立協會)|| 공립협회 || 共立協會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공립협회 ||   
+
| [[신정국문]] || Record || 문헌 ||  || 신정국문(新訂國文) || 신정국문 || 新訂國文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신정국문 ||   
 
|-
 
|-
 
|}
 
|}
  
 
* [[Ontology:Class 2021]]
 
* [[Ontology:Class 2021]]
 +
 +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민치록]] || [[명성황후]]  || [[hasDaughter]]  || -||
+
| [[지석영]] || [[신정국문]]  || [[creator]]  || ||
 +
|-
 +
| [[대한국문설]] || [[신정국문]]  || [[isPartOf]]  ||  || 신정국문의 이론편에 해당하는 논설로서 1907년 5월과 7월에 발표
 +
|-
 +
| [[홍양호_경세정음도설서]] || [[신정국문]]  || [[references]]  ||  || 經世正音圖說序. 여기에 덧붙인 초성상형도가 신정국문의 오음상형변과 같음.
 +
|-
 +
| [[박성원_정음통석]] || [[신정국문]]  || [[references]]  ||  || 부록 참조
 +
|-
 +
| [[주시경_대한국어문법]] || [[신정국문]]  || [[references]]  ||  || 이 책에 감화되어 새로운 문자 '='을 창조
 +
|-
 +
| [[석범_언음첩고]] || [[신정국문]]  || [[references]]  ||  || 諺音捷考. 초종성통용팔자의 명칭이 같음
 +
|-
 +
| [[강위_동문자모분해]] || [[신정국문]]  || [[references]]  ||  || 東文字母分解. 초종성통용팔자의 명칭이 같음
 
|-
 
|-
| [[한창부부인_이씨]] || [[명성황후]] || [[hasDaughter]] || 모-녀 ||
+
| [[어제소학언해]] || [[신정국문]] || [[references]] || || 1744년(영조 20) 갑자본(甲子本) 『어제소학언해』 범례의 방점법을 참조하여 고저변의 규정을 만듦
 
|-
 
|-
| [[고종황제]] || [[명성황후]] || [[hasWife]] ||  ||
+
| [[국문연구소]] || [[신정국문]] || [[deliberateOn]] ||  || 시정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설립
 
|-
 
|-
| [[명성황후]] || [[로즈_푸트]] || [[isMentionedBy]] || ||초대 미국 공사 루시어스 푸트(Lucius Foote, 재임: 1883~1885)의 부인.
+
| [[신정국문]] || [[국문정식]] || [[hasExplanation]] || || 國文正式. 신정국문 해설본.
 
|-
 
|-
 
 
|}
 
|}
  
 
* [[Ontology:Relation 2021]]
 
* [[Ontology:Relation 2021]]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Web Resource==
40번째 줄: 50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명성황후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297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신정국문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357
|-
 
| 해설 || 위키백과 || 명성황후 ||  || https://ko.wikipedia.org/wiki/명성황후
 
|-
 
| 해설 || 두산백과 || 명성황후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683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e조선궁중여성 || 명성황후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70841&cid=49236&categoryId=49236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네이버캐스트 > 인물한국사 || 명성황후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412&cid=59015&categoryId=59015
 
|-
 
| 참고 || 국가문화유산포털 || 명성황후생가(明成皇后生家)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100460000
 
 
|-
 
|-
| 참고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민속신앙사전 || 인왕산국사당(仁王山國師堂)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2674
+
| 원문 || 고종실록 || 지석영의 상소문(고종 42년 7월 8일) ||  || http://sillok.history.go.kr/id/kza_14207008_004
|-
 
| 원문 || 디지털 장서각 || 명성황후홍릉비(明成皇后洪陵碑)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ROY_G002%2BJSK%2BKSM-WH.1897.4136-20160515.25316
 
|-
 
| 그림 || 서울신문 || 권오창 화백의 명성황후 영정 ||  ||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14/SSI_20170814154630_O2.jpg
 
 
|-
 
|-
 
|}
 
|}
67번째 줄: 63번째 줄:
 
| 논문 || 김민수, 「新訂國文에 關한 硏究-特히 ꡒ이으ꡓ 合音과 아래아를 問題로 하여-」, 『아세아연구』 6-1,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3. ||  ||
 
| 논문 || 김민수, 「新訂國文에 關한 硏究-特히 ꡒ이으ꡓ 合音과 아래아를 問題로 하여-」, 『아세아연구』 6-1,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3. ||  ||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백채원, 「지석영의 <신정국문> 이본 텍스트의 비교 연구 -관보본, 실록본, 대한국문설본, 아학편본을 중심으로-, 『국어학』 98, 국어학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467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 「」, 『』 , , . || KCI ||
 
 
|-
 
|-
 
| 단행본 || 김민수, 『周時經硏究』, 탑출판사, 1977. ||  ||  
 
| 단행본 || 김민수, 『周時經硏究』, 탑출판사, 1977. ||  ||  
 
|-
 
|-
| 단행본 || , 『』, , . ||  ||
+
| 단행본 ||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0. ||  ||  
|-
 
| 단행본 || , 『』, , . ||  ||
 
|-
 
| 단행본 || , 『』, , . ||  ||
 
|-
 
| 단행본 || , 『』, , . ||  ||
 
|-
 
| 단행본 || , 『』, , . ||  ||  
 
 
|-
 
|-
 
|}
 
|}
 +
 +
==Notes==
 +
 +
<references/>
 +
 +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신정국문"></iframe><br/>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신정국문'">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Record]] [[분류:임민혁]]

2021년 11월 22일 (월) 21:1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905년 7월】. 신정국문(新訂國文). 1905년 7월 지석영이 고종 황제에게 올린 국어맞춤법 통일안. 지석영이 참정대신 심상훈(沈相薰)과 학부대신 민영철(閔泳喆)을 통해 고종황제에게 올려 1905년 7월 19일에 결재함으로써 실시하게 된 국어맞춤법이다. 전문가의 검토도 거치지 않은 채 실시되자, 학식가들의 반대가 적지 않았다. 모두 6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① 오음상형변(五音象形辨), ② 초중종삼성변(初中終三聲辨), ③ 합자변(合字辨), ④ 고저변(高低辨), ⑤ 첩음산정변(疊音刪正辨), ⑥ 중성이정변(重聲釐正辨) 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규정이다. 새로운 글자 창조 등의 문제점 지적이나 시정 요구로 적지않은 갈등이 있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신정국문 Record 문헌 신정국문(新訂國文) 신정국문 新訂國文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신정국문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지석영 신정국문 creator
대한국문설 신정국문 isPartOf 신정국문의 이론편에 해당하는 논설로서 1907년 5월과 7월에 발표
홍양호_경세정음도설서 신정국문 references 經世正音圖說序. 여기에 덧붙인 초성상형도가 신정국문의 오음상형변과 같음.
박성원_정음통석 신정국문 references 부록 참조
주시경_대한국어문법 신정국문 references 이 책에 감화되어 새로운 문자 '='을 창조
석범_언음첩고 신정국문 references 諺音捷考. 초종성통용팔자의 명칭이 같음
강위_동문자모분해 신정국문 references 東文字母分解. 초종성통용팔자의 명칭이 같음
어제소학언해 신정국문 references 1744년(영조 20) 갑자본(甲子本) 『어제소학언해』 범례의 방점법을 참조하여 고저변의 규정을 만듦
국문연구소 신정국문 deliberateOn 시정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설립
신정국문 국문정식 hasExplanation 國文正式. 신정국문 해설본.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신정국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357
원문 고종실록 지석영의 상소문(고종 42년 7월 8일) http://sillok.history.go.kr/id/kza_14207008_004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김민수, 「新訂國文에 關한 硏究-特히 ꡒ이으ꡓ 合音과 아래아를 問題로 하여-」, 『아세아연구』 6-1,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3.
논문 백채원, 「지석영의 <신정국문> 이본 텍스트의 비교 연구 -관보본, 실록본, 대한국문설본, 아학편본을 중심으로-」, 『국어학』 98, 국어학회, 20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467
단행본 김민수, 『周時經硏究』, 탑출판사, 1977.
단행본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0.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