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전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904년 ~ 1905년】. 러일전쟁(露日戰爭). 만주와 한국의 지배권을 두고 러시아와 일본이 벌인 제국주의 전쟁.
+
【1904년 ~ 1905년】. 러일전쟁(露日戰爭). 만주와 한국의 지배권을 두고 러시아와 일본이 벌인 제국주의 전쟁. 1904년 2월 8일에 일본함대가 뤼순군항[旅順軍港]기습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어, 1905년 9월 5일에 강화를 하게 된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이다. 한국과 만주(중국 동북지방)의 분할을 둘러싸고 싸운 것이지만, 그 배후에는 영일동맹(英日同盟)과 러시아프랑스 동맹이 있었고, 제1차 세계대전의 전초전이었다. 러시아는 패배의 결과로 혁명운동이 진행되었고,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만주로 진출할 있게 되었으나 미국과 대립이 시작되었다.
                
+
 
 
청일전쟁 결과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이 체결됨으로써 일본이 요동반도(遼東半島) 영유를 확정하였다.이에 러시아는 삼국간섭을 주도함으로써 이를 좌절시키고 일본에 대항하기 위한 러·청비밀동맹을 체결함과 아울러 동청철도부설권(東淸鐵道敷設權)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독일의 자오저우만(膠州灣) 조차를 계기로 1898년 여순(旅順)과 대련(大連)을 25년간 조차, 만주를 세력권화하려 하였다.한국에서도 을미사변 이후 4개월 만에 아관파천을 성공시켜 친러정권이 수립되기는 하였지만, 러시아는 시베리아 철도가 완성될 때까지는 일본과의 타협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폈다.한국 문제를 둘러싸고 러·일이 1896∼1898년 사이에 맺은 베베르·고무라(Weber·小村)각서, 로바노프·야마가타(Lobanov·山縣)협정 및 로젠·니시(Rosen·西)협정 등이 바로 이것들이다.그러나 북중국에서 일어난 의화단란(義和團亂)이 만주로 파급되자(1900), 러시아는 동청철도를 보호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만주를 무력 점령하고, 난이 진압된 뒤에도 철수를 거부하였다. 이에 대해 일본에서는 영일동맹론과 러일협상론으로 대응 방안이 갈렸으나, 결국 1902년 1월 영일동맹이 체결되기에 이르렀다.이에 러시아는 러불동맹의 적용 범위를 아시아로 확대시키려 하였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결국 이 해 4월 러청철병협정(露淸撤兵協定)을 맺어 스스로의 약세를 드러내었다. 그러나 러시아는 제1차철병까지만 이행했을 뿐, 2차철병 약속을 위배, 도리어 봉천성(奉天省) 남부와 길림성(吉林省) 전역을 점령하였다.러시아가 동아시아정책을 밀고나간 것은 니콜라이 2세의 신임을 얻은 베조브라조프(Bezobrazov, A.M.)를 비롯한 강경파가 실권을 장악한 데서 비롯되었다.이들은 이처럼 만주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압록강 유역으로 군대를 이동시킨 뒤 압록강삼림채벌권 실행을 명목으로 용암포(龍巖浦)를 군사기지화함으로써 한국에 대해서까지 야욕을 노골화하였다.이러한 분위기는 계속되어 8월 위테(Witte, S.Y.)가 해임되고 여순에 극동총독부가 신설되는 등 이른바 신노선(New Course)에 의한 대일적극정책이 전개되었다.베조브라조프 일파의 이와 같은 모험주의노선이 전쟁을 촉발시켰다는 견해는 일본의 북진정책,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그 책임을 돌리는 견해와 함께 러일전쟁의 원인에 대한 전통적 해석의 하나이다.그러나 러시아의 진출 방향을 아시아로 돌리려는 독일외교를 비롯한 국제 역학 관계와, 혁명이 우려되던 국내 위기를 밖의 문제로 희석시키려 했던 차르(tzar)의 계략이 전쟁의 원인으로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1903년 8월부터 개전에 이르기까지 양국은 여러 차례 만주와 한국 문제에 관하여 공식적인 교섭을 가졌다. 일본의 기본입장은 한국을 자국의 보호령으로 하는 대신, 만주에서 러시아의 우월권은 인정하되, 기회균등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었다.반면, 러시아는 자국의 만주독점권과 아울러 중립지대(한국의 39° 이북) 설정 및 한국령의 전략적 사용불가 입장을 고수하였다. 일본의 8월 제1차 협상안은 청·한 양국의 독립 보전과 상업상의 기회 균등, 한·만에 있어서의 러·일의 상호 이익보장 등을 골자로 하였다.이에 대해 러시아는 10월에 만주를 일본의 세력 범위에서 제외시키고, 한국에서의 일본의 군사활동 제한 및 39° 이북의 중립지대 설정을 주장하였다.고무라(小村壽太郞) 외상은 10월 1차 수정안에서 만한교환론(滿韓交換論)을 더욱 분명히 하여, 일본의 대한파병권(對韓派兵權)은 물론 한·만국경에 중립지대 설치를 요구하였다.12월 중순에야 제시된 러시아의 반대 제안은 청나라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이, 한국 북부의 중립지대 설정 및 한국 영토의 전략적 사용 불가 등 한국 문제에만 국한되어 있었다.12월 하순 일본의 2차 수정안과 1904년 1월 초 러시아의 회답도 다 같이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함으로써 양자의 타협 여지는 거의 없었다. 1904년 1월 일본의 어전회의에서는 개전론이 유력하였고, 최후 제안에 대한 러시아의 회답이 알려지기도 전인 2월 임시각의를 통해 개전이 결정되었다.경과전쟁은 2월 8일 밤 여순에 대한 일본군의 기습으로 시작되었다. 일본은 9일 인천 앞바다에 있던 두 척의 러시아군함을 격침시킨 다음날인 10일에야 선전을 포고하였다. 여순 봉쇄에 성공한 도고(東鄕平八郞)함대는 5월 5일 요동반도에 상륙하고, 4월 말 한국을 거쳐 북진한 제1부대는 압록강을 건너 만주로 진입하였다.6월 만주군총사령부를 설치하여 총병력이 15개 사단에 이른 일본군은 9월에 랴오양(遼陽)점령하였다. 노기(乃木希典) 대장 지휘하의 제3부대는 1905년 1월 1일 여순을 함락하였다. 일본군은 이어 3월의 봉천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육전을 사실상 마무리지었다. 양측의 전력은 다음과 같다.전시 약 120만 명의 일본군은 3개 보병단과 13개 예비여단으로 이루어졌고, 이 중 사상자는 68만 9000명(전사자 13만 5000명)이었다.해군은 전함 7척, 무장순양함 8척, 경순양함 17척, 구축함 19척, 어뢰정 28척, 포함 11척을 보유하였다. 이에 반해 대부분의 함정이 여순에 기항하고 있던 러시아 극동해군은 전함 7척, 무장순양함 4척, 어뢰정 37척, 포함 7척으로 이루어졌다.개전 직전 러시아 극동군의 배치 상황은 정규군 9만 8000명과 총 148정, 기관총 8대였다. 철도수비대 2만 4000명은 동청철도 연변의 광활한 지역에 분산되어 있었고, 전쟁 초기 시베리아 철도의 군 수송률은 하루 6량에 불과하였다. 만주로 이동한 120만의 병력은 대부분 1905년에 이동한 것으로, 총 40여 만 명의 사상자를 내었다.전쟁이 장기화되자 일본 역시 지탱할 여력이 없어졌다. 일본은 재정면에서 1년간의 전비를 4억 5000만 원 정도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2년 동안 19억 원을 지출하였다. 또, 전선의 확대로 보급로가 길어져 전술상의 취약점이 노출됨으로써 러시아의 주력부대가 하얼빈에 집결, 반격할 기회를 노리는 형세였다.봉천전투 이래 일본은 더 이상 전쟁을 계속할 전력을 상실, 종전을 서둘러야만 할 입장이었다. 1905년 국내에서 일어난 혁명으로 러시아 역시 더 이상 전쟁을 수행할 능력을 상실함으로써, 양국 사이에는 이제 강화가 불가피한 형편이 되었다. 이에 일본은 결정적인 승기(勝機)를 잡은 뒤 미국에 중재를 의뢰하기로 결정하였다.그 전투가 바로 리바우(Libau)항을 떠나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오느라 전력과 전의가 극도로 떨어진 발틱함대와의 대마도해전(對馬島海戰)이었다.1905년 5월 27일 새벽 4시 45분, 진해만에서 대기하고 있던 일본 연합함대의 도고 사령관은 24시간 계속된 해전에서 발틱함대를 격파, 사령관 로제스트벤스키(Rozhestvensky,Z.P.) 제독을 포로로 잡았다.그러나 당시까지도 러시아 육군은 완전히 손상되지 않았고, 보급도 비교적 원활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포츠머스강화회의에서 러시아측 대표 위테가 패전을 조금도 인정하지 않으려 한 것은 이 때문이다.결과러시아와의 대결에 있어 일본을 적극 지원한 세력은 영국과 미국이었다. 이 점에서 구 소련학자들은, 러시아를 상대로 한 영국과 미국의 전쟁을 일본이 대리로 수행했다고 주장하였다.1904년 4월과 1905년 5월 사이에 영·미가 네 차례에 걸쳐 일본에게 제공한 총 4억 1000만 달러의 차관 중 약 40%가 일본의 전비로 충당되었다. 특히, 영국은 동맹자로서의 구실을 충실히 이행하였다.러일교섭시 제3국이 관여하지 못하도록 해달라는 일본의 요청을 받은 영국은 프랑스외상 델카세(Delcass, T.)와 러시아외상 람스도르프(Lamsdorff, V.)의 개입 요청을 모두 거절하였다.영국은 엄정중립을 선언하였으나, 러시아에 대한 제3국의 석탄공급 및 원조제공을 저지하는 등 일본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전쟁이 발발하면 중립을 지키겠다고 공언했던 미국도 예외가 아니었다.루스벨트(Roosevelt, T.) 대통령은 독일과 프랑스가 만일 삼국간섭 당시처럼 일본에 간섭할 경우, 즉각 일본편에 가담하겠다고 공언하였다. 또한 당사국인 러·일에 대해서는 전쟁의 범위를 확대시키지 말며, 북중국을 포함한 전중국의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만주에 대한 러시아의 기득권을 부정하였다.아울러 그가 한반도에 대한 언급을 회피한 사실은 주미러시아대사 카시니(Cassini)의 항의처럼, 미국은 “러시아로부터 만주를 빼앗으려 하면서, 일본으로부터는 한국을 빼앗으려 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이는 일본이 개전과 동시에 루스벨트의 하버드 동창생인 가네코(金子堅太郞)를 미국특사로 파견, 미국의 친일여론을 주도하게 한 데도 원인이 있었다. 한편, 러시아와 동맹관계에 있던 프랑스는 전쟁으로 인한 영국과의 충돌을 피하고자 하였다.여기에서 프랑스는 아시아에서의 전쟁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중립을 선언하고 4월 8일 영·불협약(Entente Cordiale)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프랑스로서는 발틱함대에 대한 석탄공급 등 동맹국으로서의 편의제공은 불가피하였다.이에 반해, 전통적으로 러시아의 진출 방향을 아시아로 돌리고자 노력했던 독일은 러시아가 ‘극동에서 공격받을 경우 독일의 지원을 기대해도 좋다○는 뜻을 1903년 7월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러시아에게 암시하였다.그러면서도 1904년 1월 일본 쪽에는 이번 전쟁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통보했으며, 실제로 개전과 더불어 중립을 표방하였다. 독일의 이러한 태도가 러일전쟁을 부추긴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는 아직까지도 논란의 대상이다. 더욱이, 발틱함대에 대한 연료보급이라든가, 도거 뱅크(Dogger Bank)사건 때 보인 독일의 노골적인 대러시아 지지 등은 열강의 불신을 가중시켰다.결국, 러일전쟁은 영·불협상과 영·러협상을 맺게 하여 대독포위망(對獨包圍網)을 구축, 마침내 제1차세계대전에 이르는 과도적 전쟁의 성격을 띠게 된 셈이었다.대마도해전 직후 일본은 미국에 중재를 의뢰했고, 국제정세도 전쟁을 끝낼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과의 대항을 위해 러시아 군사력이 약해지는 것을 바라지 않았고, 미국 역시 일본이 동아시아에서 강자로 전면에 나서는 것을 위험시하였다.이에 전쟁이 끝날 기미가 보이자, 열강은 제각기 종전 이전에 자신들의 이익을 확보해 두려고 하였는데, 뵈르케(Bjorke)밀약, 영일동맹 개정, 그리고 태프트·가쓰라(Taft·桂)밀약 등이 모두 그러한 연장선상에 나온 것들이다.러·일 양국은 6월 8일과 10일 각각 루스벨트의 평화제의를 수락했고, 미국은 12일자로 강화를 알선할 것임을 발표하였다.회담장소 선정과 전권대표 선임에 양측 모두 곤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일본은 7월 7일 사할린상륙을 결행, 러시아를 강압하였다. 그리하여 일본을 대표한 고무라·다카히라(高平)와 러시아를 대표한 위테·로젠 사이에 약 4주간(8.9.∼9.5.)에 걸쳐 진행된 강화교섭은 일본이 러시아에 제한 12개 강화안을 토대로 진행되었다.양측은 한국에서의 일본의 가장 우월한(paramount) 이익 보유, 요동반도 조차권, 장춘(長春)∼여순(旅順) 간의 동청철도 및 그 지선의 양도 문제 등은 쉽게 합의하였다. 그러나 ① 사할린 문제, ② 전비배상 문제, ③ 중립국에 억류된 러시아 군함의 인도 문제, ④ 극동 해군의 제한 문제 등에서는 쉽게 의견을 조율하지 못하였다.일본은 특히 1·2항을 합쳐 50° 이북의 북부 사할린을 러시아에 돌려 주는 대가로 12억 원을 일본에 지불하라는 새로운 요구안을 내놓았다. 회의가 결렬될 위기에 놓이자, 일본군은 군비지출 문제는 철회하고 사할린 남부를 요구하였다. 여기에서 양국 사이에 4주 만에 성립된 것이 9월 5일의 포츠머스강화조약이다.전쟁의 직접적인 결과는 한국에서는 물론이고 남만주에서 일본이 지배권을 확립하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에 을사조약을 강요한 뒤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얻지 못한 것을 청나라로부터 보상받으려고 하였다.고무라·우치다(內田康哉)와 경친왕(慶親王)·위안스카이(袁世凱) 사이에 12월 12일 체결된 만주에 관한 청일조약은 길림(吉林)∼장춘(長春) 및 신민둔(新民屯)∼봉천(奉天) 철도에 관한 비밀합의가 포함되어 있었다.이 문서는 1930년까지 비밀에 붙여졌으나, 일본은 그들이 주장해 온 문호개방, 기회균등 원칙을 스스로 파기함으로써 열강 모두를 적으로 돌렸다.영·미가 일본을 지원한 이유가 동북아시아에서 러·일 양국의 상호견제를 통해 러시아의 남하를 일본으로 하여금 막자는 데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의 위협이 사라진 직후 일본이 선택한 배타적인 만주 진출은 즉각 영·미의 제재를 불러올 수밖에 없었다.이에 일본은 다시 러시아와의 직접 교섭의 길을 택하였는데, 그것이 1907년에 체결된 러일협상이다. 패전으로 동아시아로의 세력 확장이 저지된 러시아는 그 진출 방향을 중앙아시아와 발칸 지역으로 전환하였다.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진출은 1907년 영국과의 협상으로 타협을 보았으나, 열강의 이해가 쉽게 조정될 없었던 발칸반도로의 팽창은 분쟁의 소지를 남길 수밖에 없었다. 러일전쟁은 결국 동아시아정세를 크게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제1차세계대전으로 가는 세력구도의 형성을 촉진시킨 셈이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러일전쟁(露日戰爭))]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3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러일전쟁]] || Event || 사건 ||  || 러일전쟁(1904~1905)||  러일전쟁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러일전쟁|| <html><img src="http://dh.aks.ac.kr/Encyves/Graph/icons/joseon_queen_mid2.png"/></html>  
+
| [[러일전쟁]] || Event || 사건 ||  || 러일전쟁(1904~1905)||  러일전쟁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러일전쟁|| <html><img width="60"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html>
|-
 
 
|}
 
|}
  
22번째 줄: 18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  || [[ ]]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뤼순군항]]  || [[isRelatedTo]]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만주]]  || [[isRelatedTo]]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영일동맹]]  || [[isRelatedTo]]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러시아프랑스동맹]]  || [[isRelatedTo]]  || ||
 
|-
 
|-
| [[러일전쟁]] || [[]]  || [[ ]]  || ||
+
| [[러일전쟁]] || [[제1차세계대전]]  || [[isRelatedTo]]  || ||
 
|-
 
|-
 
|}
 
|}
61번째 줄: 43번째 줄:
 
| 해설 || 위키백과 || 러일전쟁 ||  || https://ko.wikipedia.org/wiki/러일전쟁
 
| 해설 || 위키백과 || 러일전쟁 ||  || https://ko.wikipedia.org/wiki/러일전쟁
 
|-
 
|-
| 해설 || 두산백과 || 러일전쟁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683
+
| 해설 || 두산백과 || 러일전쟁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2864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e조선궁중여성 || 명성황후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70841&cid=49236&categoryId=49236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네이버캐스트 > 인물한국사 || 명성황후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412&cid=59015&categoryId=59015
 
|-
 
| 참고 || 국가문화유산포털 || 명성황후생가(明成皇后生家)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100460000
 
|-
 
| 참고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민속신앙사전 || 인왕산국사당(仁王山國師堂)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2674
 
|-
 
| 원문 || 디지털 장서각 || 명성황후홍릉비(明成皇后洪陵碑)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ROY_G002%2BJSK%2BKSM-WH.1897.4136-20160515.25316
 
|-
 
| 그림 || 서울신문 || 권오창 화백의 명성황후 영정 ||  ||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14/SSI_20170814154630_O2.jpg
 
|-
 
 
|}
 
|}
  
90번째 줄: 59번째 줄:
 
| 논문 ||  이종호. 전쟁과정 이론을 통해 본 러일전쟁 開戰과정에 관한 연구. 군사연구, 138, 2014. ||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6097
 
| 논문 ||  이종호. 전쟁과정 이론을 통해 본 러일전쟁 開戰과정에 관한 연구. 군사연구, 138, 2014. ||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6097
 
|-
 
|-
| 논문 ||  신복룡. "러일전쟁의 한 단면 - 그것은 어떻게 대한제국의 망국과 연관되었나?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2, no.1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1906
+
| 논문 ||  신복룡. "러일전쟁의 한 단면 - 그것은 어떻게 대한제국의 망국과 연관되었나?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2, no.1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45468
 
|-
 
|-
| 논문 ||  최덕규. "러일전쟁과 청국의 전시 중립"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no.49,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09539
+
| 논문 ||  최덕규. "러일전쟁과 청국의 전시 중립"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no.49,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1906
 
|-
 
|-
 
| 논문 ||  김원수. "러일전쟁과 외교혁명의 국제관계, 1904~1907" 군사 no.97,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55841
 
| 논문 ||  김원수. "러일전쟁과 외교혁명의 국제관계, 1904~1907" 군사 no.97,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55841
 
|-
 
|-
| 논문 ||  임경화.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인문논총 72, no.2,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81000
+
| 논문 ||  임경화.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인문논총 72, no.2,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91872
 
|-
 
|-
| 논문 ||  이주천. "러일전쟁 11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10년 동안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no.33,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81000
+
| 논문 ||  이주천. "러일전쟁 11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10년 동안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no.33,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5776
 
|-
 
|-
 
| 논문 ||  최철영. "러일전쟁과 일본의 대한제국 영토주권침탈" 독도연구 no.18,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0558
 
| 논문 ||  최철영. "러일전쟁과 일본의 대한제국 영토주권침탈" 독도연구 no.18,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0558
 
|-
 
|-
 
| 단행본 || 이성환, 『러일전쟁-일본과 러시아 틈새의 한국』, 살림, 2021. ||  ||
 
| 단행본 || 이성환, 『러일전쟁-일본과 러시아 틈새의 한국』, 살림, 2021. ||  ||
 +
|-
 +
| 단행본 || 앵거스 해밀튼, 지음, 이형식 옮김, 『러일 전쟁 당시 조선에 대한 보고서 1899-1905년 사이의 격동과 성장』, 살림, 2020. ||  ||
 
|-
 
|-
 
|}
 
|}
116번째 줄: 87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명성황후"></iframe><br/>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러일전쟁"></iframe><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명성황후'">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러일전쟁'">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ctor]] [[분류:김혁]]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ctor]] [[분류:김혁]]

2021년 11월 22일 (월) 18:1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904년 ~ 1905년】. 러일전쟁(露日戰爭). 만주와 한국의 지배권을 두고 러시아와 일본이 벌인 제국주의 전쟁. 1904년 2월 8일에 일본함대가 뤼순군항[旅順軍港]을 기습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어, 1905년 9월 5일에 강화를 하게 된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이다. 한국과 만주(중국 동북지방)의 분할을 둘러싸고 싸운 것이지만, 그 배후에는 영일동맹(英日同盟)과 러시아프랑스 동맹이 있었고, 제1차 세계대전의 전초전이었다. 러시아는 패배의 결과로 혁명운동이 진행되었고,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만주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으나 미국과 대립이 시작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러일전쟁 Event 사건 러일전쟁(1904~1905) 러일전쟁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러일전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러일전쟁 뤼순군항 isRelatedTo
러일전쟁 만주 isRelatedTo
러일전쟁 영일동맹 isRelatedTo
러일전쟁 러시아프랑스동맹 isRelatedTo
러일전쟁 제1차세계대전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러일전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7238
해설 위키백과 러일전쟁 https://ko.wikipedia.org/wiki/러일전쟁
해설 두산백과 러일전쟁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2864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서영희. "청일전쟁·러일전쟁-한반도에서 벌어진 국제전을 바라보는 한국학계의 시각" 군사 no.10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44586
논문 윤지원. "러일전쟁에 대한 인식과 재조명에 대한 고찰- 러일의 언론과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9(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6881
논문 이종호. 전쟁과정 이론을 통해 본 러일전쟁 開戰과정에 관한 연구. 군사연구, 138,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6097
논문 신복룡. "러일전쟁의 한 단면 - 그것은 어떻게 대한제국의 망국과 연관되었나?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2, no.1 202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45468
논문 최덕규. "러일전쟁과 청국의 전시 중립"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no.49,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1906
논문 김원수. "러일전쟁과 외교혁명의 국제관계, 1904~1907" 군사 no.97,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5.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55841
논문 임경화.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인문논총 72, no.2,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 2015.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91872
논문 이주천. "러일전쟁 11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10년 동안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no.33,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5776
논문 최철영. "러일전쟁과 일본의 대한제국 영토주권침탈" 독도연구 no.18,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0558
단행본 이성환, 『러일전쟁-일본과 러시아 틈새의 한국』, 살림, 2021.
단행본 앵거스 해밀튼, 지음, 이형식 옮김, 『러일 전쟁 당시 조선에 대한 보고서 1899-1905년 사이의 격동과 성장』, 살림, 2020.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