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제도 칙임관1등 대례복 상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38번째 줄: 38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적의&ridx=2&tot=129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문관대례복(文官大禮服)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09
 
|-
 
|-
| 해설 || 두산백과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499
+
| 참고 || 국립민속박물관 || 대례복 ||  || https://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6281800000
|-
 
| 해설 || AKS Encyves ||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적의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8895&cid=46671&categoryId=46671
+
| 참고 || 문화재청 > 국가문화유산포털 || 박기종 대례복 일괄 (朴琪淙 大禮服 一括)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80000,21&pageNo__=5_1_1_0&pageNo=1_1_2_0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9225&cid=40942&categoryId=32079
+
| 참고 || 한국 복식사전 || 대례복(大禮服) ||  ||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25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용어해설 > 패션전문자료사전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5274&cid=42822&categoryId=42822
 
|-
 
| 참고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65
 
|-
 
| 참고 || 한국 복식사전 || ||  || http://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213
 
 
|}
 
|}
  
62번째 줄: 54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단행본 || 경운박물관, 『아름다운 시작』, 경운박물관, 2010. ||  ||
+
| 단행본 || 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  ||
|-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2. ||  ||
 
|-
 
| 단행본 || 이욱, 장을연, 김봉좌, 이민주, 구혜인, 제송희,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와 의물』,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  ||
 
 
|-
 
|-
| 단행본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
| 단행본 || 경운박물관, 『대한제국 남성예복』, 경운박물관, 2012. ||  ||  
 
|-
 
|-
| 단행본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 문화재청, 2006. ||  ||
+
| 논문 || 이경미,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상의의 제작에 관한 연구」, 『복식』66(6), 한국복식학회, 2016. ||  ||
 
|-
 
|-
 
|}
 
|}
88번째 줄: 76번째 줄: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Clothing]] [[분류:김아람]] [[분류:]]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Clothing]] [[분류:김아람]] [[분류:완료]]

2021년 11월 22일 (월) 00:04 판

Definition

칙임관 대례복의 상의 표장은 1900년 제도에서는 근화의 종류가 반근화(半槿花), 전근화(全槿花)로 나누어지고 그 숫자도 등급별로 다양했지만, 1905년 제도에서 반근화가 없어지고 전근화를 의미하는 근화[무궁화] 하나로 통일되고 칙임관 1등은 6송이 이다. 상의에 금선으로 장식하는데 금선의 너비가 칙임관 1등은 5분(分)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1905년제도_칙임관1등_대례복_상의 Clothing 복식 1905년제도 칙임관1등 대례복 상의(1905年制度 勅任官一等 大禮服 上衣) 1905년제도 칙임관1등 대례복 상의 1905年制度 勅任官一等 大禮服 上衣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905년제도_칙임관1등_대례복_상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905년제도_칙임관1등_대례복_상의 3D-1905년제도_칙임관1등_대례복_상의 isShownBy
3D-1905년제도_칙임관1등_대례복_상의 1905년제도_칙임관1등_대례복_상의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문관대례복(文官大禮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09
참고 국립민속박물관 대례복 https://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6281800000
참고 문화재청 > 국가문화유산포털 박기종 대례복 일괄 (朴琪淙 大禮服 一括)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80000,21&pageNo__=5_1_1_0&pageNo=1_1_2_0
참고 한국 복식사전 대례복(大禮服)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25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단행본 경운박물관, 『대한제국 남성예복』, 경운박물관, 2012.
논문 이경미,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상의의 제작에 관한 연구」, 『복식』66(6), 한국복식학회, 2016.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188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