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 대성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문묘(文廟)|문묘]]의 정전(正殿)으로 공자를 비롯해 증자·맹자·안자·자사 등 4대 성인과 공자의 뛰어난 제자들인 10철, 송조 6현, 그리고 우리나라 명현 18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곳이다. 대성전에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이라 적힌 공자의 신위가 중앙 가장 높은 곳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고, 안자(顔子)·자사(子思)의 신위는 공자 앞 동쪽, 증자(曾子)·맹자(孟子)는 서쪽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동·서의 양 벽에는 십철과 육현이 각각 8위씩 나누어 배향(配享)되어 있다.
+
[[문묘(文廟)|문묘]]의 정전(正殿)으로 공자를 비롯해 증자·맹자·안자·자사 등 4대 성인과 공자의 뛰어난 제자들인 10철, 송조 6현, 그리고 우리나라 명현 18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곳이다. 대성전에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이라 적힌 공자의 신위가 중앙 가장 높은 곳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고, 안자(顔子)·자사(子思)의 신위는 공자 앞 동쪽, 증자(曾子)·맹자(孟子)는 서쪽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동·서의 양 벽에는 십철과 육현이 각각 8위씩 나누어 배향(配享)되어 있다. 태조(太祖) 7년(1398)에 창건되었다가 2년 후에 소실되고 다시 중건했다가 임진왜란 때에 또 소실되어 선조(宣祖) 34년(1601년)에 재차 건립된 것으로 [[서울_문묘]]를 비롯해 전국 231개 향교마다 세워져 있다. 남향한 삼문(신문)을 들어서면 좌우에 동무·서무가 길게 남북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 북쪽 중앙에 대성전이 있으며, 서무 북쪽으로 제기고(祭器庫)·잡사(雜舍) 등이 있고, 동무 북쪽으로는 동삼문(東三門)이 있어 외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기단 앞 마당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삼강목(三綱木)과 오륜목(五倫木)이라 이름한 향나무가 심겨 있는데, 이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을 상징한다. 대성전 기단 아래에는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가 심겨져 있다. 처음에는 대성인(大聖人)을 모신 곳이라 해서 대성전(大聖殿)이라 했는데, 중국 사신이 공자는 온갖 학문을 집대성(集大成)하였으므로 대성전(大成殿)이라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태조(太祖) 7년(1398)에 창건되었다가 2년 후에 소실되고 다시 중건했다가 임진왜란 때에 또 소실되어 선조(宣祖) 34년(1601년)에 재차 건립된 것으로 [[서울_문묘]]를 비롯해 전국 231개 향교마다 세워져 있다. 남향한 삼문(신문)을 들어서면 좌우에 동무·서무가 길게 남북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 북쪽 중앙에 대성전이 있으며, 서무 북쪽으로 제기고(祭器庫)·잡사(雜舍) 등이 있고, 동무 북쪽으로는 동삼문(東三門)이 있어 외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기단 앞 마당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삼강목(三綱木)과 오륜목(五倫木)이라 이름한 향나무가 심겨 있는데, 이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을 상징한다. 대성전 기단 아래에는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가 심겨져 있다. 처음에는 대성인(大聖人)을 모신 곳이라 해서 대성전(大聖殿)이라 했는데, 중국 사신이 공자는 온갖 학문을 집대성(集大成)하였으므로 대성전(大成殿)이라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
남향으로 배치된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로, 건물 전면의 한 칸은 퇴칸으로 개방되어 당(堂)을 이루고 있고, 그 뒤의 실(室)은 벽으로 둘러싸인 감실형(龕室形) 공간을 이룬 묘당건축(廟堂建築)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데, 벽 아래 부분에 돌아가면서 낮은 벽담이 둘러져 있다. 전면의 퇴칸에서 실(室)로 들어가는 문은 홀수 칸마다 3곳에 두 짝 판문을, 나머지 칸에는 살창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이중 기단으로 조성된 석계를 올라서면 다시 한 단의 낮은 장대석 기단을 설치하였다 기단 위에 전돌을 깔고 원형 초석을 놓은 다음, 그 위에 원기둥을 세웠으며, 공포는 내·외 2출목으로 짜인 다포계이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을 하였으며, 지붕의 용마루와 추녀마루에는 양성을 하고, 용두와 잡상들을 장식하였다. 단청은 가칠단청으로 위엄있고 소박하여 유교의 성전임을 나타낸다.
남향으로 배치된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로, 건물 전면의 한 칸은 퇴칸으로 개방되어 당(堂)을 이루고 있고, 그 뒤의 실(室)은 벽으로 둘러싸인 감실형(龕室形) 공간을 이룬 묘당건축(廟堂建築)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데, 벽 아래 부분에 돌아가면서 낮은 벽담이 둘러져 있다. 전면의 퇴칸에서 실(室)로 들어가는 문은 홀수 칸마다 3곳에 두 짝 판문을, 나머지 칸에는 살창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이중 기단으로 조성된 석계를 올라서면 다시 한 단의 낮은 장대석 기단을 설치하였다 기단 위에 전돌을 깔고 원형 초석을 놓은 다음, 그 위에 원기둥을 세웠으며, 공포는 내·외 2출목으로 짜인 다포계이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을 하였으며, 지붕의 용마루와 추녀마루에는 양성을 하고, 용두와 잡상들을 장식하였다. 단청은 가칠단청으로 위엄있고 소박하여 유교의 성전임을 나타낸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1년 11월 7일 (일) 13:27 판

Definition

문묘의 정전(正殿)으로 공자를 비롯해 증자·맹자·안자·자사 등 4대 성인과 공자의 뛰어난 제자들인 10철, 송조 6현, 그리고 우리나라 명현 18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곳이다. 대성전에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이라 적힌 공자의 신위가 중앙 가장 높은 곳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고, 안자(顔子)·자사(子思)의 신위는 공자 앞 동쪽, 증자(曾子)·맹자(孟子)는 서쪽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동·서의 양 벽에는 십철과 육현이 각각 8위씩 나누어 배향(配享)되어 있다. 태조(太祖) 7년(1398)에 창건되었다가 2년 후에 소실되고 다시 중건했다가 임진왜란 때에 또 소실되어 선조(宣祖) 34년(1601년)에 재차 건립된 것으로 서울_문묘를 비롯해 전국 231개 향교마다 세워져 있다. 남향한 삼문(신문)을 들어서면 좌우에 동무·서무가 길게 남북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 북쪽 중앙에 대성전이 있으며, 서무 북쪽으로 제기고(祭器庫)·잡사(雜舍) 등이 있고, 동무 북쪽으로는 동삼문(東三門)이 있어 외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기단 앞 마당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삼강목(三綱木)과 오륜목(五倫木)이라 이름한 향나무가 심겨 있는데, 이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을 상징한다. 대성전 기단 아래에는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가 심겨져 있다. 처음에는 대성인(大聖人)을 모신 곳이라 해서 대성전(大聖殿)이라 했는데, 중국 사신이 공자는 온갖 학문을 집대성(集大成)하였으므로 대성전(大成殿)이라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남향으로 배치된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로, 건물 전면의 한 칸은 퇴칸으로 개방되어 당(堂)을 이루고 있고, 그 뒤의 실(室)은 벽으로 둘러싸인 감실형(龕室形) 공간을 이룬 묘당건축(廟堂建築)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데, 벽 아래 부분에 돌아가면서 낮은 벽담이 둘러져 있다. 전면의 퇴칸에서 실(室)로 들어가는 문은 홀수 칸마다 3곳에 두 짝 판문을, 나머지 칸에는 살창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이중 기단으로 조성된 석계를 올라서면 다시 한 단의 낮은 장대석 기단을 설치하였다 기단 위에 전돌을 깔고 원형 초석을 놓은 다음, 그 위에 원기둥을 세웠으며, 공포는 내·외 2출목으로 짜인 다포계이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을 하였으며, 지붕의 용마루와 추녀마루에는 양성을 하고, 용두와 잡상들을 장식하였다. 단청은 가칠단청으로 위엄있고 소박하여 유교의 성전임을 나타낸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문묘_대성전 Architecture 건축 유교건축물 문묘_대성전 문묘_대성전 文廟_大成殿 http://dh.aks.ac.kr/hanyang88/wiki/index.php/대성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문묘_대성전 서울_문묘 isLocatedIn
문묘_대성전 문묘_동무 hasPart
문묘_대성전 문묘_서무 hasPart
문묘_대성전 석전제 hasPerformance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성전(大成殿)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517
해설 위키실록사전 대성전(大成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성전(大成殿)
해설 위키백과 서울 문묘 https://ko.wikipedia.org/wiki/서울 문묘
참고 한국콘텐츠진흥원>문화콘텐츠닷컴 문묘제례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310&index_id=문묘제례
참고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 서울 문묘 및 성균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121101410000#
동영상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 서울 문묘(한국의 옛 정취) http://www.heritage.go.kr/heri/cul/popHeritage.do?fileNm=서울 문묘(한국의 옛 정취)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박정해·한동수, 「서울 문묘입지의 풍수적 특징 분석」,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21), 2011.10, pp.139~18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97971
논문 강봉진, 「서울문묘 대성전 실측보고」, 대한건축학회, 『건축』. 12,30 (1968.12) pp.65-72. 국회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1976160280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