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관의 상복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의 백관이 평상시 집무할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 조회, 조계(朝啓), 동궁에게 조참 하는날, 칙서를 받을 때, 회례연, 사신을 영접할 때, 관리들이 임금께 나아갈 때, 중국에 입조 할 때 등 특정한 국가 의례에 착용하기도 한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백관의_상복 Clothing 복장 백관 백관의 상복(常服) 백관의 상복 常服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백관의_상복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백관의_상복
대표명칭 백관의 상복
한자표기 百官의 常服
이칭/별칭
분류 예복
착용신분 백관, 종친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백관의_상복 사모 hasPart
백관의_상복 단령 hasPart
백관의_상복 흉배 hasPart
백관의_상복 품대 hasPart
백관의_상복 흑피화 hasPar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백관의 상복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백관의_상복
해설 위키 실록사전 상복(常服)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상복(常服)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상복(常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59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상복(常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104
도해 AKS Encyves 백관의 상복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4/41/궁중기록화_복장_백관의_상복_김아람.png
도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상복(常服) 남구만 초상 https://folkency.nfm.go.kr/upload/img/20180822/20180822100412_w_.jpg
도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상복(常服) 상복 차림의 사대부들, 기영회도 중 부분 https://folkency.nfm.go.kr/upload/img/20180822/20180822100451_w_.jpg
도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상복(常服) 신헌(1810-1888)이 입고 있는 상복 모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GetImage?t=origin&id=d6c3062a-0ff1-4697-9382-7b98b8a4b37b&w=878&h=582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經國大典
國朝五禮儀補序例
大典會通
續大典
樂學軌範
朝鮮王朝實錄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高光林,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論文集』 14집, 인천교육대학교, 1979.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金東旭, 「團領의 發生」, 『服飾』 10호, 한국복식학회, 1986.
김동욱, 『증보한국복식사연구』, 아세아문화사, 1973.
김미자, 「개화기의 문관복에 대한 연구」, 『服飾』 창간호, 한국복식학회, 1979.
류희경,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 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文光姬, 「曲領과 團領의 比較硏究」, 『東義論集』 19권, 동의대학교, 1992.
文光姬,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석주선, 『한국복식사연구』, 보진재, 1978.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02.
유송옥, 『한국복식사』, 수학사, 1998.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李恩珠,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권 2호, 복식문화학회, 1998.
이은주, 「조선시대 무관의 길짐승흉배제도와 실제」, 『服飾』 58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08.
이은주,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 제도 변천」, 『服飾』 55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05.
이은주·조효숙·하명은,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2005.
이은주·하명은, 「날짐승흉배의 감정을 위한 기준 설명」, 『한복문화』 10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7.
林栽永,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4.
조효순, 「朝鮮時代의 官服-肖像畵를 中心으로-」, 『明大論文集』 11권, 명지대학교, 1978.
조효순, 「胸背小考-朝鮮時代 肖像畵를 中心으로-」, 『明大論文集』 10권, 명지대학교, 1977.
최은수,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 민속원, 2007.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황의숙·김소현·이윤주·진선희·김혜수·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

Notes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24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