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춘관통고(春官通考)』는 1788년(정조 12)경 유의양(柳義養)이 왕명을 받아, 예조(禮曹)가 관장하는 모든 예제와 예무를 길(吉)ㆍ가(嘉)ㆍ빈(賓)ㆍ군(軍)ㆍ흉(凶)의 오례로 나누어, 정리하여 편찬한 책.[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춘관통고
|
한자표기 |
春官通考
|
이칭/별칭 |
|
유형 |
예서(禮書)
|
저자 |
유의양
|
간행시기 |
1788년(정조 12) 경
|
수량 |
|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김지영, |
「18세기 후반 국가전례의 정비와 춘관통고」, 『한국학보』114, |
2004. |
|
|
송지원, |
「정조대 의례 정비와 『춘관통고』 편찬」, 『규장각』 제38집, |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11. |
|
|
이숙희, |
「『춘관통고』 소재 문묘제례 일무도의 사료적 가치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42집, |
한국국악학회, 2007. |
|
|
조재모, |
「『春官通考』를 이용한 조선시대 관영 건축 연구: 자료성격과 가치를 중심으로」, 『학술행사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지』, |
, 한국건축역사학회, 2007. |
|
|
조재모, |
「『춘관통고』를 통해 살펴본 경희궁의 의례공간」, 『대한건축학회지』 제24권 제5호 통권 제235호, |
대한건축학회, 2008. |
|
|
진성수, |
「문묘 일무의 심미형상-『춘관통고』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유학연구』 제21집,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
|
|
Notes
- ↑ "춘관통고", 『위키 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