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원삼(圓衫)은 조선시대 왕실과 반가 여인들의 예복이며, 서민들에게는 신부의 혼례복이었다. 수의(壽衣)로 왕실과 민간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또한 무당들의 무복(巫服)으로 착용되기도 하였고, 궁중연회 등에서는 여기(女妓)들이 춤을 출 때 입는 의상으로도 착용되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외명부의_예복-원삼
|
대표명칭 |
외명부의 예복-원삼
|
한자표기 |
外命婦의 禮服-圓衫
|
이칭별칭 |
원삼
|
분류 |
예복
|
착용신분 |
외명부
|
착용성별 |
여성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유송옥, |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
수학사, 1991. |
|
|
이민주,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
국립고궁박물관 편집부, |
『영친왕 일가 복식』, |
국립고궁박물관, 2010. |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
교문사, 2011. |
|
|
김소현, |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59권 3호, |
한국복식학회, 2009. |
|
|
朴東媛, |
「圓衫에 관한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
|
|
송미경, |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
한국복식학회, 2002. |
|
|
任賢珠, |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
|
전정희ㆍ박현정, |
「靑色 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2권, |
한복문화학회, 1999. |
|
|
Notes
- ↑ 홍나영, "원삼(圓衫)",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