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사직서(社稷署)면적 1.23㎢, 인구 9,943명(2008)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속한 동이다. 인왕산 남동쪽 기슭에 있으며, 동쪽은 필운동·내자동·내수동, 서쪽은 행촌동·무악동, 남쪽은 송월동·신문로2가, 북쪽으로는 필운동·누상동과 접해 있다. 동 이름은 조선시대에 설치한 사직단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초에는 한성부 서부 인달방(仁達坊) 지역이었다. 1914년에는 창평동(昌平洞)·무덕문(武德門)·사직동·박정동(朴井洞)의 각 일부를 합쳐 사직동이라고 하였고, 1936년에 사직정(社稷町)으로 바뀌었다. 1943년에는 출장소 제도를 폐지하는 대신 구(區)제도를 실시, 종로구에 편입되었고, 1946년 다시 사직동으로 바뀌었다.
행정동인 사직동은 법정동인 사직동·체부동(體府洞)·필운동(弼雲洞)·내자동(內資洞)·통의동(通義洞)·적선동(積善洞)·도렴동(都染洞)·당주동(唐株洞)·내수동(內需洞)·세종로(世宗路)·신문로(新門路)1~2가로 이루어져 있다.
사직1-28번지에 있는 사직단은 1395년(태조 4)에 세운 것으로 왕이 직접 나와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사직단 정문(보물 177)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단층문으로 되어 있다. 사직공원 뒷산에는 활터 정자인 황학정(黃鶴亭:서울유형문화재 25)이 있다. 사직공원 북쪽에 있는 필운동의 이름은 필운대(弼雲臺)에서 유래한다. 필운은 인왕산(仁旺山)을 뜻하지만, 인왕이란 산 이름은 변하지 않고 동과 필운대의 지명만 남아 있다.
서울지방경찰청이 있는 내자동의 명칭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쓰는 여러 식품과 직조(織造) 및 궁중 잔치를 맡아 보던 내자시(內資寺)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통의동 7번지에는 관상감(觀象監)과 사재감(司宰監)이 있었고,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태어난 곳이다. 정부중앙청사 서쪽에 있는 적선동의 명칭은 '적선지가(積善之家) 필유여경(必有餘慶)'이라는 옛 글귀를 인용한 것으로, 세종로 사거리 남측 일대를 여경이라고 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사직동
|
아문 |
|
이칭 |
|
설치시기 |
|
폐지시기 |
|
시대 |
|
소속관직 |
|
관사위치 |
|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강문식·이현진, |
『종묘와 사직』, |
책과함께, 2011. |
|
|
지두환, |
『사직대제』, |
국립문화재연구소, 민속원, 2007. |
|
|
김동욱, |
『종묘와 사직』, |
대원사, 1990. |
|
|
김문식 외, |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대원사, 1990. |
|
|
김문식·한형주·이현진·심재우·이민주, |
『조선의 국가 제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
정옥자 외, |
『조선시대문화사(상)』, |
일지사, 2007. |
|
|
박례경, |
「조선시대 국가 전례에서 社稷祭 의례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규장각』29,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6. |
|
|
이욱, |
「조선후기 祈穀祭 설행의 의미-장서각 소장 사직서의궤와 등록을 중심으로-」, 『장서각』4,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0. |
|
|
Notes
- ↑ "사직동", 『두산백과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