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대금(大笒)은 대표적인 향악기로, 세로로 부는 적(笛)이다. 젓대,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 수입된 당악기(唐樂器)로 당악을 연주할 때 사용하는 가로로 부는 당적(唐笛)과 구분된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는 취공(吹孔) 1개, 청공(淸孔) 1개, 지공(指孔) 6개, 칠성공(七星孔) 5개와 함께 13공으로 되어 있다. 묵은 황죽(黃竹) 또는 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든다. 조선후기 궁중연향에서 사용되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대표명칭 |
대금
|
한자표기 |
大笒
|
영문명칭 |
|
이칭 |
젓대, 만파식적
|
유형 |
|
시대 |
조선시대
|
용도 |
|
관련인물 |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
관련유물유적 |
|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민족문화추진위원회, |
『국역악학궤범』, |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9. |
|
|
장사훈, |
『한국악기대관』, |
문화재관리국, 1976. |
|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
인남순 역, |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 |
보고사, 2008. |
|
|
김종수 외,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김종수, |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
민속원, 2018. |
|
|
안태욱, |
『궁중연향도의 탄생』, |
민속원, 2014. |
|
|
서인화·박정혜·주디반자일, |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
국립국악원, 2000. |
|
|
Notes
- ↑ 이병원, "젓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