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戰服은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 황태자 그리고 백관 등이 착용한 옷이다. 조선 후기에 나타난 반소매 옷인 답호의 일종으로, 깃과 소매ㆍ섶이 없는 형태가 특징이다.[1]전복-戰服은 한자에서 볼 수 있듯이 전쟁과 관련이 있는데, 조선 중기 임진왜란을 전후로 백관 중 무관이 착용한 옷 중 소매가 좁은 협수(狹袖) 위에 덧입었던 소매 없는 옷이다. 왕실 남성들도 군사와 관련한 일이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전복을 갖추어 착용하였다. 깃과 소매가 없이 양옆에 무가 달리고 앞길이 대금형(對襟形)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양 옆선 일부와 등솔기의 진동선 이하에 트임이 있어 활동적이다. 조선후기 두루마기, 도포 등 평상시에 착용하는 포(袍) 위에 착용하였다.[2]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 때 사복(私服) 제도를 고쳐 도포, 직령, 창의, 중치막처럼 소매가 넓은 옷을 폐지하였다. 관리들은 소매가 좁은 두루마기에 전복을 입고 세조대를 띠도록 하여 전복을 평상복으로 입게 되었다. 그 해 6월에 전복의 명칭을 답호로 바꾸었다. 전쟁터에서 입는 옷으로 오해하여 입기를 꺼리는 등 반발이 있자 명칭을 바꾼 것으로, 당시 전복과 답호가 동일한 복식을 지칭하는 용어임을 알 수 있다.[3]중군, 초관, 고수, 호위군 등이 착용하는 전복은 각 방위를 나타내는 청색전복, 홍색전복, 황색전복, 백색전복, 흑색전복 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