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승 (토론 | 기여 ) 님의 2020년 11월 17일 (화) 03:00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Definition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시복(時服)에 신는다고 하였다. 국상 시에는 백색 단령 과 함께 신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백피화
대표명칭
백피화
한자표기
白皮靴
이칭별칭
백목화(白木靴), 백화(白靴), 백녹피화(白鹿皮靴)
구분
신발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朝鮮王朝實錄』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곽경희·홍나영,
「조선시대 남자용 靴에 관한 연구」, 『服飾』 56권 1호,
한국복식학회, 2006.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김문자·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1981.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99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靴·鞋·履』,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이경자·장숙환·홍나영,
『우리 옷과 장신구』,
열화당, 2003.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이훈종,
『국학도감』,
일조각, 1968.
조선희,
「東北아시아 신 文化에 關한 硏究 -靴ㆍ鞋ㆍ履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조선희,
「한·몽 신문화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9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06.
조선희,
『화혜장』,
민속원, 2007.
조효순,
「화제(靴制)」, 『한국의 복식』,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2.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홍나영·신혜성·이은진,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Notes
↑ "화(靴) ",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