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현학기는 장수를 상징하는 현학을 그린 깃발이다. 현학은 회학 灰鶴 의 별칭이다. 중국 진대 晉代 의 『고금주 古今注 』에 따르면 ‘학이 천세 千歲 가 되면 푸른색이 되고, 이천세가 되면 흑색이 되는데 이른바 원학 元鶴 이다’라고 하였다. 『삼재도회』에 따르면 ‘설산 雪山 에 있는 원학은 옻 [漆] 과 같이 검은데, 모두 360세가 되면 순흑색이 된다.’고 하였다. 왕과 왕세자의 의장에 중기 中旗 로 사용되었다. 현학기는 항상 백학기와 짝을 이루어 사용되었는데 현학기는 왼쪽, 백학기는 오른쪽에 배치되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현학기
한자표기
玄鶴旗
이칭별칭
ㄴ
구분
의장
착용신분
국왕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세종실록 오례의
현학기
documents
백색의 바탕에 백학(白鶴)과 운기(雲氣)를 그리고, 청색·적색·황색·백색의 네 가지의 빛깔로 채색을 하고, 화염각이 있다.
기 가로: 182.5cm, 세로: 205cm, 깃대: 308cm
깃대의 상부 부분은 둥근 구슬 모양
깃발을 깃대에 매는 부분은 홍색 무명줄. (색=홍색)
깃(깃발 부분과 깃대를 연결하는 부분)은 황색
자루는 홍색
현학은 백학기의 백학을 회색으로 그림.
기의 테두리는 적색, 기 바탕색은 백색. 백학 및 오색 구름은 <사진>을 참조.
현학기 [2]
Online Reference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백영자
『황제를 수호하는 자들-궁중의장기의 부활』
경춘사 2010
김지영
「조선 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백영자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7
김정진, 백영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14-2 1990
백영자
「조선왕조 鹵簿(어가행렬) 儀禮에 관한 硏究 : 형식구조의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13-2 1989
백영자
「朝鮮王朝 儀仗旗에 관한 硏究(Ⅰ)」
『한국의류학회지』5-1 198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의장』
국립고궁박물관 2018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의장제도의 정비와 상징」
『사총』77 2012
이민기
「고려시대 법가노부의 운용과 의미」
『한국중세사연구』48 2017
정척(鄭陟), 변효문(卞孝文) 등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
1454년(단종 2)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
신숙주(申叔舟), 정척(鄭陟)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1475
유의양(柳義養)
춘관통고(春官通考)
1788
Notes
↑ 국립고궁박물관, 2018, 『왕실문화도감 의장』, 137쪽.
↑ "현학기 ", 세종실록오례의 online 국사편찬위원회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