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정040 항목

hanyang
박수정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31일 (토) 16:54 판 (새 문서: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세종실록오례_등 || || type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세종실록오례_등 type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진씨(陳氏)의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등(登)은 와두(瓦豆)이다. 『의례(儀禮)』에는 ‘등(鐙)’자를 썼으니, 그것은 대갱(大羹)을 담는 것이다.”고 하였다. 陳氏禮書云登瓦豆也儀禮作鐙其實大羹[1]
국사편찬위원회[1]
세종실록오례_형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형정(鉶鼎)은 국[羹]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를 갖추어 끓인 국이다. 국으로써 이를 말한다면 형갱(鉶羹)이라 하고, 그릇으로써 이를 말한다면 형정(鉶鼎)이라 한다.”고 하였다. 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2]
국사편찬위원회[2]
세종실록오례_비-匕 세종실록오례_등 goesWith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비(匕)는 길이가 3尺이나 혹은 5尺이나 되니, 서직(黍稷)의 비가 있고, 생체(牲體)의 비가 있고, 소비(疏匕)가 있으니, 세 가지의 비는 가시나무로써 한다. 늠인(廩人) 의 개(槪) 는 서직(黍稷)의 비(匕)요, 옹인(雍人)의 개(槪)는 생체(牲體)의 비(匕)이니, 생체의 비는 도비(挑匕)이다. 그 제도는, 서직의 비는 도비보다 작고, 도비는 소비보다 작다. 유사(有司)가 제찬(祭饌)을 걷어치우면, 사마(司馬)가 두 손으로 도비의 자루를 잡고 청주(淸酒)를 떠내어 소비에 붓는데, 이와 같이 하기를 세 번 한다. 도비로써 떠난 뒤에 소비에 붓는 것이 세 번이나 된다면, 소비가 큰 것이다.” 고 하였다. 禮書云匕長三尺或五尺有黍稷之匕有牲體之匕有疏匕三匕以棘廩人之槪黍稷之匕也雍人之所槪牲體之匕也牲體之匕挑匕也其制則黍稷之匕小於挑匕桃匕小於疏有司徹司馬以二手執挑匕柄以挹渣사注于疏匕若是者三挹之以挑匕然後注于疏匕者三則疏匕大矣 [3]
국사편찬위원회[3]
국조오례의_등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진씨예서(陳氏禮書)』에 말하기를, “등(㽅)은 와두(瓦豆)이다.” 했다. 『의례(儀禮)』에는 등(㽅)이라 했는데, 그것은 대갱(大羹)을 담는 것이다. 陳氏禮書云登瓦豆也儀禮作㽅其實大羹[4]
한국전통지식포탈[4]
대한예전_등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진씨(陳氏)『예서(禮書)』에 말하기를, “등(㽅)은 와두(瓦豆)이다.”라고 했다. 의례(儀禮)』에는 등(㽅)이라 했는데, 그것은 대갱(大羹)을 담는 것이다. 陳氏禮書云登瓦豆也儀禮作㽅其實大羹 [5]
한국전통지식포탈[5]
종묘의궤_등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진씨(陳氏)의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등(登)은 와두(瓦豆)이다. 의례(儀禮)에는‘등(㽅)’으로 되어 있다. 대갱(大羹)을 담는다. 陳氏禮書云登瓦豆也儀禮作㽅其實大羹[祭器圖][6]
규장각한국학연구원[6]
사직서의궤_등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항목 없음.[7]
경모궁의궤_등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진씨(陳氏)의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등(登)은 와두(瓦豆)이다.”라고 하였다. 『의례(儀禮)』에는 ‘등(鐙)’으로 되어 있다. 대갱(大羹)을 담는다. 陳氏禮書云登瓦豆也儀禮作㽅其實大羹[8]
한국전통지식포탈[7]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등[9]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AKS Encyves[8]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형 세종실록오례_등 isRelatedTo
AKS Encyves[9]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등 사직제 isUsedIn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등 길례 isUsedIn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등 대갱 goesWith
제기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등 hasPart
세종실록오례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등 hasPart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등 세종실록오례_등 documents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등 예서 references
  1.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등,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2.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형,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3.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비,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4. 『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조오례의서례』 1권, 길례 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5. 『대한예전』 3권, 길례 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6. 『종묘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7. 『사직서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8. 『경모궁의궤』 1권, 제기도설, ,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9.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