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 자료 현황
경복궁, 광화문, 6조거리, 종친부, 사직단 등의 고건축물과 해당 고건축물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 행사, 물품, 인물, 복식의 복원 및 재현은 조선왕실 고문헌자료 및 근대(일제강점기) 기록물에 근거한 정밀한 고증의 과정을 통해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고증 작업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기록물은 다음과 같다.
목차
경복궁/광화문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건립에 따라 창건된 조선 전기의 정궁(正宮)이다. 임진왜란 때 전소된 후 오랫동안 폐허로 남아 있다가 조선 말기 고종 때 중건되어 다시 궁궐로 이용되었다. 일제에 의해 훼손되었으나, 많은 부분이 복원되고 있다. 광화문은 경복궁의 남쪽 정문으로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고종 때 중건하였으나, 일제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었고, 6.25때 파손되었다가, 1968년과 2010년에 두 차례 복원되었다.
경복궁의 실측, 복원 자료
경복궁 내 복원 및 실측된 건조물 (고종 때 중건된 규모의 약 25%로 추정)
소주방권역, 사정전, 천추전, 만춘전, 사정문, 향오문, 부속 행각, 향원정, 석조조형물 실측도면(근정전 품계석·서수상, 경회루 석주·서수상, 교태전 석물, 자경전 서수상, 향원정 거북수조, 집옥재 서수상·용판석, 광화문 해치상, 영제교 난간석주 용상, 영제교 서수상, 근정문 답도 서수상, 근정전 답도 서수상 등), 동십자각, 자경전, 청연루, 협경당, 복안당, 행각, 협문, 풍기대, 함화당, 집경당, 건천궁, 태원전, 영사재, 공묵재, 숙문당, 경안문, 행각, 건숙문, 광림문, 세답방, 사주문, 집옥재, 협길당, 팔우정, 동궁(자선당, 비현각), 흥례문, 유화문, 기별청, 영제교, 근정전, 근정문, 경회루, 제수합, 수정전, 흥복전,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연길당, 응지당, 동서행각, 교태전, 건순각, 원길헌, 함홍각, 체인당, 승순당, 보선당, 내순당, 양의문, 흠경각, 함원전
관련 자료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
1 | 북궐도형(北闕圖形) | 19세기 말 | 경복궁의 평면 배치도. 대원군이 1865년 경복궁을 중건한 뒤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 고궁박물관 | |
2 | 궁궐지(宮闕志) | 17∼18세기(조선 숙종 연간), 19세기(조선 고종 연간) | 조선시대 궁궐의 각 전각의 명칭·위치·연혁을 기록한 사적기 | 장서각, 규장각 | |
3 | 조선고적도보(朝鮮古跡圖譜) | 1933년 | 조선총독부가 한국의 고적조사사업을 진행하고 그 성과를 사진과 도면으로 간행한 책. | 국립문화재연구소 |
문화재청 실측조사보고서
- 『경복궁 건천궁 중건보고서』
- 『경복궁 경회루 창호복원공사 수리보고서』
- 『경복궁 광화문』
- 『경복궁 근정전』
-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보고서』
- 『경복궁 동십자각 실측조사보고서』
- 『경복궁 발굴조사보고서』<협생문지, 영군직소지, 초관처소지, 용성문지, 서수문장청지, 궁장지, 광화문지, 월대지, 어도지>
- 『경복궁 복원기본계획』
- 『경복궁 사정전 권역 수리보고서』
- 『경복궁 사정전일곽 정밀실측보고서』
- 『경복궁 석조조형물 연도별 문화콘텐츠화 방안』
- 『경복궁 석조조형물 학술연구 및 보존관리방안 연구』
- 『경복궁 소주방 활용계획수립연구』
- 『경복궁 소주방』
-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보고서』
- 『경복궁 수목대장』
- 『경복궁 수환경조사보고서』
- 『경복궁 자경전 및 자경전 십장생 굴뚝 실측조사보고서』
- 『경복궁 醬庫址 정비계획 학술조사연구』
- 『경복궁 집옥재』
- 『경복궁 취향교지 발굴조사보고서』
- 『경복궁 태원전 권역 중건보고서』
- 『경복궁 태원전 권역』
-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보고서』
-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발굴조사보고서』
- 『경복궁』<함화당·집경당 권역 보수복원공사 보고서>
- 『경복궁발굴조사보고서』<소주방지, 흥복전지, 함화당·집경당 행각지>
- 『경복궁변천사』
- 『경복궁영건일기』 번역본
- 『고궁 건물막새 등 문양조사』
- 『궁궐 조형물 교육홍보용 문화콘텐츠활용 웹사이트개발』
- 『궁궐 특성에 따른 이용자 분석조사연구』
- 『보물 제1761호 경복궁 향원정 정밀실측보고서』
-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 『흥복전』
경복궁 중심 왕실 문화 재현 자료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
1 | 경복궁지 | 고종연간 | 경복궁의 연혁 | 규장각 | |
2 | 경복궁창덕궁증건도감의궤 | 1901년 | 경복궁과 창덕궁에 소재한 선원전의 제1실을 증건한 전말을 기록한 의궤 | 태조·숙종·영조·정조·순조·문조·헌종 등 7실에 어진 봉안 | 장서각 |
3 | 경복궁창덕궁증건도감의궤 | 1901년 | 경복궁과 창덕궁에 소재한 선원전의 제1실을 증건한 전말을 기록한 의궤 | 태조·숙종·영조·정조·순조·문조·헌종 등 7실에 어진 봉안 | 규장각 |
4 | 명성황후 국장·빈전혼전·산릉도감의궤 | 1905년 | 명성황후 시해 후 2개월 정도 지나 국장을 반포하고 빈전을 경복궁의 태원전, 혼전을 문경전으로 정하였다. 상장례의 진행 중에 아관파천 등으로 지연되다가 1896년 9월에 황후의 시신을 경운궁 경효전으로 옮겼으며 대한제국의 탄생으로 다시 늦추어지다가 1897년 11월에 발인하여 매장되었다. | 염습과 성복까지 진행되다가 후에 경복궁에서 경운궁으로 시신을 옮기기까지의 의례 | 규장각 |
5 | 명성황후 발인반차도 | 1905년 | 명성왕후의 상례 발인 반차도.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내용은 같으나 크기가 한층 크다. | 등장인원 2천여 명 | 장서각 |
6 | 보사공신 녹훈도감의궤 | 1680년(숙종6) | 허견 등이 복선군을 왕으로 추대하려다가 발각된 반역사건을 제압한 공신들의 녹훈 의궤. | 경복궁 북문 밖의 회맹단에서 회맹제를 지냄 |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 |
7 | 보인소의궤 | 1877년(고종14) | 고종 10년과 13년 경복궁의 대화재로 소실된 보인(寶印)의 제작 내용 수록 | 장서각, 규장각 | |
8 | 상호도감의궤 | 1872년(고종9)~1890년(고종27)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익종·신정왕후·효정왕후·철인왕후·명성왕후 등에게 존호나 시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강녕전 등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9 | 신정왕후 국장·빈전혼전·산릉·상호·부묘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10 | 의주등록 | 경복궁 친림 과거시험, 육상궁 등의 전배 등에 관한 의주 기록 | 장서각 | ||
11 | 의화군가례등록 | 1893년(고종30) | 고종의 아들 의화군(귀인장씨 소생) 이강의 관례와 혼례 | 장서각 | |
12 | 이십일공신회맹록 | 1728년(영조4) | 경복궁 신무문 앞에서 회맹 | 장서각 | |
13 | 자경전 진작정례의궤 | 1828년(순조28) | 원손의 탄생을 경하하여 국왕과 왕비에게 존호를 올리고 자경전에서 진작례를 거행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이다. | 연향 참석자, 기물 위치, 악기 배치, 음식재료와 양, 고임 높이, 조화(造花)의 종류와 수량 등 매우 상세한 시각자료 | 장서각 |
14 | 정축·정해·임진진찬의궤 | 1877년(고종14), 1886년(고종23), 1892년(고종29) | 칠순과 망오 등을 맞은 대비 등에게 진찬하는 의례 | 근정전에서 존호를 올리고, 만경전·강녕전에서 진찬 | 장서각, 장서각 |
15 | 진연의궤 | 1902년 | 고종이 영조의 예에 따라 망육(望六)에 기로소에 입소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함녕전에서 설행한 외진연과 이후 이어진 내진연, 야진연, 황태자 회작(會酌)과 야연(夜讌) 등에 대한 기록이다. | 반차도, 정재도, 악기도, 의장도, 복식도 등이 자세하며, 찬품과 채화, 기용 등의 항목도 수록. | 규장각 |
16 | 친림(의)정부시의궤 | 고종2년 | 고종2년에 중건된 의정부에 고종이 친림한 사실에 대한 기록 | 규장각 | |
17 | 친잠의궤 | 1767년(영조43) | 영조 43년에 정순왕후가 경복궁의 후원에서 선잠제와 친잠례를 거행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 제단도, 진설도, 채상단도, 각종 잠구(蠶具)의 도해, 제기도 등이 자세하다. | 장서각, 규장각 |
18 | 태조원종이모도감의궤 | 1872년(고종9) | 개국 8주갑 기념으로 태조와 원종의 어진을 모사하는 작업 거행 | 경복궁 태원전에서 이모 | 장서각, 규장각 |
19 | 환어경복궁시 중궁전 출궁의(還御景福宮時中宮殿出宮儀) | 미상 | 왕이 경복궁으로 돌아올 때 왕비가 나가서 맞이하는 의식을 정리한 책 | 규장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