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호준(壺尊)은 국가 제사 때 입구가 넓고 몸체가 불룩하며 음기(陰氣)가 사방을 둘러싸서 만물을 간직하는 모습을 상징하는 문양을 새긴 술동이로 쓰이는 제기이다. 국가 제례에서 사용된 6종의 준(尊) 가운데 한 종류이다. 6준은 몸체의 외형이나 몸체 표면에 새겨 넣는 문양에 따라, 희생의 문양이 있는 희준(犧尊), 코끼리 문양의 상준(象尊), 몸체가 불룩한 호준(壺尊), 산에 구름이 낄 형세의 문양이 있는 산준(山尊)과 입구가 넓고 몸체가 불룩하며 문양이나 장식을 새기지 않은 밋밋한 모양의 대준(大尊)과 착준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에서 음기가 만물을 간직하는 모습을 상징하는 호준은, 양기가 내려와 땅에 닿은 모습을 상징하는 착준과 함께 진설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음양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1]
세종실록오례 ◎ 호준(壺尊) :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호준(壺尊)은 무게가 4근 1냥 4전(錢), 높이가 8촌 4푼이요, 아가리의 직경(直徑)이 4촌 5푼, 중복(中腹)의 직경이 6촌이요, 깊이는 7촌 1푼이다."고 하였다. 그 나머지 해설은 착준(著尊)의 해설에 나타나 있다. ◎ 壺尊 : 《釋奠儀》云: "壺尊, 重四斤一兩二錢, 高八寸四分, 口徑四寸五分, 腹徑六寸, 深七寸一分。" 餘見著尊說。[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착준
|
이칭/별칭 |
|
재질 |
|
색상 |
|
사용 신분 |
국가제사, 왕실제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세종실록오례』 |
착준 |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3] |
국사편찬위원회[2]
|
『국조오례의』 |
착준 |
documents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4] |
|
『대한예전』 |
호준 |
documents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호준(壺尊)은 무게가 4斤 1兩 2錢, 높이는 8寸 4分이다. 입지름은 4寸 5分, 배지름은 6寸, 깊이는 7寸 1分이다.”라고 했다. 나머지는 저준(著奠)의 해설에 보인다. 釋奠儀云壺尊重四斤一兩一錢高八寸四分口徑四寸五分腹徑六寸湥七寸一分餘見著尊說[5] |
|
『종묘의궤』 |
착준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6] |
규장각한국학연구원[3]
|
『사직서의궤』 |
착준 |
documents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7] |
|
『국조상례보편』 |
착준 |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8] |
|
『경모궁의궤』 |
착준 |
documents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9] |
규장각한국학연구원[4]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박수정, |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최순권, |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