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1887년(고종 24) 1월에 고종(高宗 1852~1919) 이 대왕대비 신정왕후 의 팔순을 축하하는 궁중연향 (宮中宴享)인 진찬(進饌)을 거행하였다.
궁중정재(宮中呈才) 중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은 목단화준(牧丹花樽)을 가운데 두고 모란[목단] 꽃을 꺾으며 추는 놀이형식의 춤으로[1] 정재여령(呈才女伶)의 복식은 각 춤의 정재여령 복식과 같이 화관(花冠)을 쓰고 황초단삼(黃綃單衫), 남색치마[藍色裳], 홍색웃치마[紅綃裳]를 입고 허리에는 홍색금루수대(紅緞金縷繡)를 두르며 초록혜(草綠鞋)를 신었으며, 옥색한삼(玉色汗衫)을 착용했다.[2] 또한 머리에는 수공화(首拱花)를 꽂는데, 수파련(水波蓮)과 내하(內下)한 당가화(唐假花) 이지(二枝)를 더하여 사용했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가인전목단
대표명칭
정재여령복장-가인전목단
한자표기
丁亥年進饌 呈才女伶服-佳人剪牧丹
이칭별칭
분류
복장
착용신분
여령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丁亥)進饌儀軌』
강민정,
「朝鮮時代 宮中呈才에 나타난 童妓服飾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글항아리, 2009.
김경실,
『조선시대 궁중진연 복식』,
경춘사, 2003.
김소현,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服飾』 제61권 10호,
2011, 55-71쪽.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민속원, 2018.
박가영,
『조선시대 궁중 패션』,
민속원, 2017.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
민속원, 2014.
이경희·이은주,
「1829년 〈명정전친찬도〉 의장차비(儀仗差備)와 의장군(儀仗軍) 복식」, 『한복문화』 제20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17, 85-104쪽.
이경희·이은주,
「1829년 〈명정전친찬도〉의 산선시위(繖扇侍衛) 복식 유형」, 『한복문화』 제19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16, 123-142쪽.
이경희·이은주,
「1829년 〈명정전친찬도〉의 정재차비(呈才差備)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19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16, 151-169쪽.
이경희·이은주,
「1829년 자경전 진찬에 참여한 왕실 구성원과 내외빈(內外賓)의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20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17, 61-80쪽.
인남순,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
보고사, 2008.
趙美羅,
「조선후기 純祖대 궁중연향 복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진덕순·이은주,
「『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국악원논문집』 제37집,
국립국악원, 2018, 353-388쪽.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2,
민속원, 2005.
한복려·이효지·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황진영,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韓國服飾』 제4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8.
Notes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6쪽
↑ 『(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進饌時…各舞呈才女伶戴花冠著黃綃單衫裏藍色裳表紅綃裳紅緞金縷繡帶繫五色汗衫草綠鞋…佳人剪牧丹呈才女伶服色並同呈才女伶而繫玉色汗衫…】
↑ 『(丁亥)進饌儀軌』 卷2 '饌品' "綵花【…呈才女伶首拱花用水波蓮內下唐假花二枝添入…】"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