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계이(鷄彝)는 국가 제사 때 술과 맑은 물을 담는 제기로 표면에 닭[鷄] 모양을 새긴다.[1]
세종실록오례 ◎ 계이(鷄彝) :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계이(鷄彝)와 조이(鳥彝)는 술잔에 새겨 그림을 그려서 닭과 봉(鳳)의 형상을 만든다. 봄 제사[春祀]와 여름 제사[夏禴]의 관향(祼享)에 계이와 조이를 사용한다. 대저 닭은 동방(東方)의 생물(生物)이니 인(仁)이요, 새[鳥]는 남방(南方)의 생물(生物)이니 예(禮)이다. 이것이 선왕께서 봄 제사와 여름 제사에 사용하는 까닭이다. 봄에는 계이(鷄彝)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조이(鳥彝)에 울창(鬱鬯)을 채우며, 여름에는 조이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계이(鷄彝)에 울창(鬱鬯)을 채운다. 가이(斝彝)와 황이(黃彝)의 서로 사용됨도 역시 이와 같다."고 하였다. ◎鷄彛 : 《禮書》云: "鷄彝鳥彝, 謂刻而畫之, 爲鷄鳳之形。 春祀夏禴, 祼用鷄彝鳥彝。 夫鷄, 東方之物, 仁也; 鳥, 南方之物, 禮也, 此先王所以用祀禴也。 春則鷄彝盛明水, 鳥彝盛鬱鬯;夏則鳥彝盛明水, 鷄彝盛鬱鬯。 斝黃之相爲用, 亦若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계이
|
이칭/별칭 |
|
재질 |
|
색상 |
|
사용 신분 |
국가제사, 왕실제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세종실록오례 |
계이 |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3]
|
국사편찬위원회[2]
|
국조상례보편 |
계이 |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계이(雞彛)[명수(明水)와 울창(欝鬯)을 담는 것이다. ○ 봄에는 계이(雞彛)에 명수(明水)를 담고 조이(鳥彛)에 울창을 담는다. 여름에는 조이(鳥彛)에 명수(明水)를 담고, 계이(雞彛)에 울창(欝鬯)을 담는다]. 계이(雞彛)[『의궤(儀軌)』에는 무게가 6斤으로 되어 있다]의 입지름은 6寸 4分, 깊이는 6寸 7分이다. 발지름은 4寸 3分, 족부까지 포함한 높이가 8寸이다. 앞뒤[前後]에는 닭 모양[鷄]을 새긴다. 雞彛[所以實明水欝鬯者○春則鷄彛盛明水鳥彛盛欝鬯夏則鳥彛盛明水鷄彛盛欝鬯]鷄彛[儀軌重六斤]口圓徑六寸四分深六寸七分足圓徑四寸三分通足高八寸前後鏤鷄形[4] |
조선후기 1758년(영조 34)에 영조(英祖)는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를 편찬하고 그중 흉례(凶禮)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을 편찬하였다.
|
국조오례의 |
계이 |
documents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5]
|
|
대한예전 |
계이 |
documents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6] |
|
종묘의궤 |
계이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7] |
규장각한국학연구원[3]
|
사직서의궤 |
계이 |
documents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항목 없음.[8]
|
|
제기도감의궤[9]
|
계이(鷄彝) |
documents |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10] |
1611년(광해군 3) 8월 24일 건원릉(健元陵)과 현릉(顯陵)에 친제(親祭)를 거행하기 위해 제기가 부족하자, 그해 9월 9일부터 이듬해 11월까지 이듬해까지 제기도감을 설치하여 각종 제기를 만든 전말을 기록하고 있음./ 계이(鷄彜)는 조선시대에 왕실의 제사에 사용한다. 봄 · 여름 제사의 강신에 명수나 울창을 담는데 쓰는 그릇이다. 영녕전(永寧殿)에 8개, 종묘(宗廟)에 9개를 만들어 사용한다.
|
경모궁의궤 |
계이 |
documents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11] |
규장각한국학연구원[4]
|
정조국장도감의궤[12] |
계이 |
documents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3, 삼방 제기질> 한국전통지식포털에서 검색 안 됨. AKS Encyves 계이 이미지 있음.[13] |
|
순조국장도감의궤 |
계이 |
documents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계이 |
documents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14] |
계이 |
documents |
|
|
조이 |
계이 |
isRelatedTo |
|
|
용작 |
계이 |
goesWith |
|
|
멱 |
계이 |
goesWith |
|
|
계이 |
사직제 |
isUsedIn |
|
|
계이 |
길례 |
isUsedIn |
|
|
제기 |
계이 |
hasPart |
|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
박수정, |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최순권, |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
김종일, |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
김종임, |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
손명희, |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
이귀영, |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
윤방언, |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
문화재청, 2002. |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Notes
- ↑ 박봉주, "계이",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계이,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계이,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鷄彛,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조오례의서례』 1권, 길례 제기도설,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대한예전』 3권, 길례 제기도설,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종묘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사직서의궤』 1권, 제기도설,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제기도감의궤",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제기도감의궤』 1권, 도감(都監),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경모궁의궤』 1권, 제기도설,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정조국장도감의궤",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3, 삼방 제기질, 계이,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특허청.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