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de Description) |
|||
156번째 줄: | 156번째 줄: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현승]] |
2021년 2월 24일 (수) 23:47 판
Definition
조선의 사대부들이 일반적으로 심의(深衣)와 함께 쓰던 건(巾)의 하나로, 관례에도 착용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복건 | Clothing | 복식 | 쓰개 | 복건(幅巾) | 복건 | 幅巾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복건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복건 |
대표명칭 | 복건 |
한자표기 | 幅巾 |
이칭별칭 | |
구분 | 쓰개 |
착용신분 | 왕세자, 사대부 |
착용성별 | 남성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가례집람(家禮輯覽)』 | ||||
『사례편람(四禮便覽)』 | ||||
『삼재도회(三才圖會)』 |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 ||||
『주자가례(朱子家禮)』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 『한국복식사전』, | 민속원, 2015. | ||
국립고궁박물관, | 『영친왕 일가 복식』, | 국립고궁박물관, 2010. | ||
국립민속박물관, | 『한민족역사문화도감-의생활』, | 국립민속박물관, 2005. | ||
金仁淑, | 「深衣考」, 『의류직물연구』 제 5권, |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회, 1977 | ||
김혜경, | 「韓國 冠禮와 그 服飾 硏究」, 『한복문화』 제5권 1호, | 한복문화학회, 2002.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한국전통 어린이 복식』, | 단국대학교출판부, 2000. | ||
李永馥, | 「深衣에 關한 硏究」,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
朴垈洵, | 「朝鮮時代 冠禮의 史的硏究」,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
孫機, | 『中國古與服論叢』, | 文物出版社, 2001. | ||
유희경, | 『한국복식사연구』,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 ||
이명은, | 「궁중발기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李倫姃, | 「冠禮의 節次·服飾에 內在된 意味」,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정혜경, | 『심의(深衣)』, |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 ||
최남선, | 『조선상식』, | 현암사, 1973.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